죽림칠현, 빼어난 속물들
짜오지엔민 지음, 곽복선 옮김 / 푸른역사 / 2007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전혀 의외의 책이었다.
죽림칠현이라고 알려진 인물들이 은둔자인 줄만 알았는데 은둔자의 명성을 얻으려면 일단 관직에 나가야만 한다는 것도 처음 알았고 이들이 실제 은둔자라기 보다는, 오히려 정계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지식인들 사이에서 명성을 얻은 유명인사라는 것도 처음 알았다.
하긴 그러니까 역사에 남아 1500여 년 전의 인물들을 내가 알고 있겠지만.
그렇다고 자극적인 책의 제목처럼 진짜 속물이라고 비판하는 건 아니다.
중국어 제목에는 속물이라는 단어는 없다.
번역하면서 좀 더 자극적인 제목을 붙인 셈. 

책의 특성을 살펴 보자면, 역사적 사실들 사이에서 행간을 읽고 있다.
오늘날의 관점에서 살펴 본 당대 인물들 이야기.
주인공들인 죽림칠현의 이야기도 재밌었지만, 사마씨 집안이 서진을 세우는 이야기가 더욱 흥미진진했다.
역시 나라를 개국한다는 건 아무나 할 수 있는 일이 아닌가 보다.
능력 있으면 왕위 찬탈해서 금방 최고권력자의 자리에 오를 것 같지만, 수많은 대중들이 인정하지 않으면 불가능한 일.
그래서 선양 형식을 취해 명분을 만들었던 모양이다.
일종의 여론 몰이라고 할까?
혜강과 완적, 산도 등이 자세한 기록을 남겨 주로 이들에게 초점을 맞췄다.
노장사상에 경도되어 무위자연을 추구했다고 하나 이들 역시 입신양명 하여 치국평천하를 이루고자 했던 보편적인 욕망의 소유자들이었다.
그러나 세상은 점잖은 지식인들이 예교의 전통에 맞춰 정치를 펼치기엔 너무나 어지러운 약육강식의 시대였으니, 위진남북조 시대의 혼란상을 온 몸으로 살아내야 했던 당시 선비들의 노력이 눈물겹다.
혜강 역시 마찬가지였다.
그는 위나라 황실의 사위로 위나라 조정에 충성을 바치려고 했으나 이미 대세는 사마씨에게 넘어갔고, 두 왕조를 섬길 수 없다는 명분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속세를 떠나야 했다.
결국 사마소에게 사형당하고 마는 불운한 운명이었으나 그의 이름은 역사에 남았다. 

재밌는 사실은, 구품중정제와 위진 사회였다.
예전에는 대체 어떻게 천거만으로 사람을 뽑나 이해가 안 됐는데 책을 보니 당시 사회상이 이해된다.
과거제가 전면적으로 시행되기 전이었고, 명성을 얻는 것이 중요한 사회였기 때문에 이름을 얻으면 주변의 추천을 받아 관리에 오른다.
이 때 한 번에 관리직을 수락하면 명성을 크게 못 얻는다.
여러번 겸양의 뜻을 밝히고 유비가 삼고초려 하듯 애를 좀 태운 다음에 수락해야 가치가 올라간다.
오늘날과 별반 다를 게 없는 정치 현실인 셈...
효자와 청렴한 자를 추천해 관리로 선발했기 때문에 제 살을 베는 사람이 많아져 오히려 국가에서 금지시켰다는 에피소드는 참 씁쓰름 하다.
어떤 사회든 시대든 명분과 이데올로기로부터 자유롭기는 어려운 모양이다. 

중국인이 직접 쓴 글을 읽으니 좀 더 생생하게 인물들이 살아서 다가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목칠공예 한국 미의 재발견 10
김동우.박영규 지음 / 솔출판사 / 2005년 3월
평점 :
품절


<한국 미의 재발견> 시리즈, 책이 너무 예쁘다.
정말 마음에 든다.
판형도 가지고 다니기 딱 좋게 아담하다.
선명한 도판이 젤 맘에 든다.
목공예 하면 고리타분하고 촌스럽다고만 생각했는데 국립중앙박물관에 전시된 목공예품을 보면서 생각이 완전히 바뀌었다.
조선 시대 사대부의 사랑방을 재현해 놨는데, 나즈막한 천정의 온돌방에 어쩜 그렇게 단아하게 잘 어울리는지, 품격이 느껴진다.
나무의 재질을 잘 살려 특별히 화려한 채색을 하지 않아도 검박하면서도 우아한 멋이 난다.
성리학을 숭상했던 조선 사대부들의 취향이 그대로 드러나는 것 같다.
특히 사방탁자는 정말 비례미가 뛰어나다.
나전칠기는 또 얼마나 아름다운지!
기회가 되면 나도 이런 목공예품을 써 보고 싶다.
지금은 플라스틱이나 합판으로 생활용품을 쓰지만 과거에는 하다 못해 그릇 하나 바구니 하나도 나무로부터 재료를 취했을 것이다.
목공예야 말로 전통이 녹아 있는 분야 같다. 

한 가지 특이할만한 것은, 낙랑 문화에 관한 것이다.
우리 역사에서 낙랑군은 거의 없는 시대로 치부하고 심지어 평양이 아닌, 한반도 밖에 위치했다고까지 주장하는데 칠기 전통으로 보자면 낙랑군은 중국 문화를 받아들이는 중요한 거점으로 작용했다.
한 무제가 한4군을 설치한 기원전 108년 이래로 무려 400 여년 동안 한반도에 존재한 나라인데 무조건 무시하는 건 옳은 태도가 아닐 것 같다.
칠기 문화 역시 낙랑군을 통해 전해졌다고 한다.
백제가 일본에 문화를 전파한 것은 자랑스럽게 말하면서 왜 중국 문화를 받아들인 점에 대해서는 인색할까?
"우리 모두는 그리스인이다" 라는 말이 떠오르는 대목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 옛 도자기의 아름다움
윤용이 지음 / 돌베개 / 2007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주 쉽게 쓰여진 책이다.
350 페이지 정도 되는데 세 시간 만에 다 읽었다.
저자가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일반인에게 강의한 내용을 옮긴 책이라 문장도 구어체 그대로 사용했고 용어 설명도 일반인의 눈에 맞게 풀어 썼다.
컬러로 실린 도자기 사진들도 무척 유용했다. 

요즘 도자기에 관심이 생긴 것은 국립중앙박물관에 다니면서부터다.
서울 와서 제일 좋았던 게 박물관을 자주 갈 수 있다는 것.
더군다나 무료다.
특히 큐레이터와의 대화에 참여하면서 도자기의 아름다움에 대해 눈을 떴고 이런 관심이 모여 우리 전통 문화의 미학을 조금이나마 느낄 수 있게 됐다.
책으로만 보는 것보다 박물관에 가서 직접 눈으로 보는 것이 도자기의 매력을 훨씬 더 많이 느낄 수 있는 것 같다. 

사실 도자기가 뭘 가르치는지 대충은 짐작하지만 구체적으로 어떤 건지는 정확히 몰랐다.
책에 아주 자세히 용어가 설명되어 있는데 토기는 일제 시대 때 유입된 말로 정확한 명칭은 도기라고 한다.
도기, 즉 질그릇은 진흙으로 만들어져 1200도 이하의 온도로 굽는다.
선사시대 때부터 내려온 빗살무늬 토기 같은 게 여기에 속한다.
연질과 경질로 나뉜다.
유약을 시유하기도 한다.
자기는 자토로 만든 토기인데 돌가루에 진흙을 섞어 1300도 이상의 고온에서 주조하기 때문에 단단하고 얇게 구울 경우 투명한 느낌을 준다.
품질이 좋은 자토를 고령토라고 하는데, 우리나라 고령에서 많이 나는 흙이라 고령토가 아니고, 이 흙이 많이 나는 곳이 중국의 어떤 지방인데 거기에 고령산이 있어서 고령토라 이름 붙였다고 한다.
부안의 채석강처럼 중국에서 유래된 이름이란 걸 처음 알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연표와 사진으로 보는 중국사
심규호 지음 / 일빛 / 2002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방대한 분량의 책.
500 페이지나 되고 역사적 사건 보다는 인물에 초점을 맞춰 익숙하지 않아 시간이 꽤 걸렸다.
사실 궁금했던 건 중국 황제들이나 역사적 사건들이었는데 유명한 사건들은 연표에 개략적으로 소개하고, 대신 상대적으로 덜 알려진 중국사의 위인들에 대해 자세히 서술한다.
저자의 박학다식한 재능이 돋보이는 부분이다.
그동안 중국사에 대한 책을 몇 권 읽으면서 어지간히는 안다고 생각했는데, 역시 반 만 년의 역사는 방대하고 유구하다.
처음 들어본 이름들이 많았고 읽으면서 중국사 이해하는데 정말 많은 도움이 됐다.
저자의 다른 책들도 읽어 보고 싶다.
같은 시리즈로 나온 일본사나 세계사, 한국사도 이런 미시사 관점으로 읽어 보면 재밌을 것 같다.
특히 유용했던 부분은 중국 현대사.
아쉽게도 20세기 전반부에서 끝나, 개정판에는 최근 중국사 동향도 실어 줬음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시와 그림으로 읽는 중국 역사
이은상 지음 / 시공사 / 200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럴 수가...
감상문을 쓰려고 봤더니, 몇 년 전에 읽었던 책이다.
알라딘에 감상문을 올려 놓지 않았다면 까마득하게 몰랐을 뻔 하다.
읽었던 책은 대충 내용이라고 기억이 나는데, 이렇게 전혀 생각이 나지 않다니 좀 놀랍다.
그래서 재독을 하나 보다. 

중국사나 동양화에 대한 약간의 지식이 추가되서 그런지 몰라도 지난 번 보다는 훨씬 재밌게 읽었다.
역시 한시과 유교 경전에 대한 배경지식이 있어야 제대로 된 감상을 할 수 있는 것 같다.
그림과 어우러진 한시, 그리고 그 안에 녹아 있는 경전의 어우러짐이 동양화를 읽는 매력 같다.
마치 성경을 알아야 르네상스 시대 그림을 이해하듯 말이다.
항상 헷갈리고 어려웠던 북송 시대의 범관이나 명나라의 오파, 평원 산수화 등 어느 정도의 개념이 잡힌 것 같아 큰 소득이다.
직업적인 화가라기 보다는 대부분 문인화라서 품격있는 시와 곁들어져 우아한 예술 작품이 되는 것 같다.
중국화에 대해 좀 더 읽어 볼 생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