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식품 진단서 - 요리책에는 절대로 나오지 않는 식품의 모든 것
조 슈워츠 지음, 김명남 옮김 / 바다출판사 / 2009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뭔가 특별한 게 있을 거라고 기대하는 게 잘못, 결국은 상식 수준에서 생각해야 한다는 것을 새삼 느낌.
과학저술가답게 무리하지 않은 선에서 식단에 관한 충고를 한다.
평소 내 생각과 다르지 않아 기분좋게 읽었다.
가공 식품 많이 먹지 말고 종합 비타민 너무 좋아하지 말고, 가능하면 채소와 과일 같은 신선한 식품 섭취하고, 육류는 조금만, 대신 생선과 가금류로, 콩과 통곡물은 많이, 우유는 저지방으로, 올리브유 사용하고, 튀김은 조금만.
간단히 요약하면 이렇다.
그 외에 약간의 이슈가 될만한 것으로는, 농약 잔존물에 너무 민감할 필요 없다, 유기농이라는 말에 현혹되지 말아라, 유전자 변형 작물도 편익 대비 위험 면에서 나쁘지 않다 등등.
방사선 노출도 마찬가지지만, 농약 역시 양이 얼마나 되냐가 문제이기 때문에 식품에 남아 있는 잔존량에 너무 연연하지 않아도 된다고 한다.
마음이 좀 편해졌다.
유기농 과일이나 채소 역시 약간의 영양적 이득은 있을 수 있으나 워낙 미미한 차이이기 때문에 큰 의미는 없다고 본다.
유기농이 마치 고가 브랜드처럼 되어 버린 현실에 매우 적절한 비판이 아닐 수 없다.
유전자 번형 작물이야 말로 가장 이슈가 되고 있는 문제인데 DNA 조작은 안 되면서 왜 이종 교배는 거부감 없이 받아 들이냐는 저자의 질문을 한 번쯤 생각해 봐야 한다.
저자의 말대로 새로운 기술은 항상 논란을 가져 왔고 과학자들에게 모든 권한을 일임하는 것도 아니다.
다만 편익 대비 위험을 따져 볼 때, 영양학적 측면에서 개선된 쪽으로 과학 기술을 도입시키는 것은 어쨌든 유익하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육류 섭취가 많은 유럽의 경우 철결핍 빈혈이 적지만, 쌀을 주식으로 하는 동양인은 쌀에 철이 부족하기 때문에 매우 흔한 편이다.
유전자 조작을 통해 철분을 강화한 쌀이나, 시력에 필수적인 베타 카로틴을 함유한 품종을 개발해 영양학적 측면에 큰 도움을 주고 있다.
인공적으로 추출을 했던지, 자연에서 얻어진 것이든지 성분은 변함이 없다는 것도 명심해야 한다.
그러고 보면 식품에 대한 수많은 논란들은 과학적 토대를 근거로 했다기 보다는 사람들에게 받아 들여지는 거부감과 편견이 중요한 인자가 되는 게 아닌가 싶다.
제일 중요한 얘기는, 식품에 들어 있는 성분들은 굉장히 많기 때문에 특정 성분이 좋다고 해서 그 음식만 먹는다고 질병을 예방하거나 건강에 큰 도움이 될 수는 없다는 것이다.
중요한 것은 균형잡힌 식단이다.
정말 핵심적인 성분이 있다면 정제되어 질병의 치료제로 개발할 것이다.
몸에 들어가 어떤 작용을 일으키는지, 다른 인자들과 어떻게 상호 작용하는지 등도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기 때문에 수많은 논란이 여전히 존재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알려져 있는 상식 선에서 가능하면 다양한 음식을 섭취하고, 과식을 피하고, 가공 식품 보다는 신선한 제철 음식을 먹는 것, 이 정도만 지켜도 건강에 큰 도움이 될 것 같다.
논란이 되는 이야기들을 적절한 과학적 증거들과 함께 어렵지 않은 선에서 기술하고 있어 이해하기 쉬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