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왕의 복식
유희경, 김혜순 지음 / 꼬레알리즘 / 2009년 11월
평점 :
무려 10만원이나 되는 책, 도서관에서가 아니면 읽기 힘들었을 것이다.
신간 코너에 있길래 얼른 집어서 읽었다.
문화관광부에서 후원을 받아 제작했는지 첫 장부터 유인촌 장관의 감사의 말씀이 나온다.
조선 시대 왕의 복식은 늘 궁금했지만 제대로 알기 어려웠던 부분인데 사진과 함께 상세한 설명이 달려 있어 굉장히 유익했다.
특히 즉위식 때 입던 면복의 12 문양이나 입는 순서 등을 자세히 서술해 놔서 손에 잡힐 듯 이해가 됐다.
황제는 12장복, 왕은 9장복, 세자는 7장복, 세손은 5장복으로 신분마다 차이가 있다.
면류관에 달린 유(旒)의 숫자도 황제는 12개, 왕은 9개로 차등을 뒀다.
열 두개의 문양은, 일, 월, 성신, 산, 용, 화(火), 화충(華蟲), 종이(宗彛), 조(藻), 분미(粉米), 보, 불인데 왕은 이 중에서 일, 월, 성신을 뺀 나머지 아홉 개의 문장을 새길 수 있고, 세자는 일, 월, 성신, 산, 용을 제외한 일곱 개, 그리고 세손은 일, 월, 성신, 산, 용, 화, 화충을 제외한 다섯 개를 새길 수 있다.
화충은 보통 꿩으로 나타내고, 종이는 종묘제례 때 술을 올리던 술잔인데 안에 용맹을 상징하는 호랑이와 지혜와 효성을 상징하는 원숭이를 그려 넣는다.
조는 수생식물을 그려 넣고, 분미는 백성을 뜻하는 것으로 여러 개의 쌀알을, 보는 결단을 상징하는 도끼를, 그리고 마지막으로 불은 亞 형으로 나타낸다.
일, 월, 성신은 천체를, 산과 용은 각각 지상과 물을 상징하므로 산천천하를 상징한다.
이 때도 황제는 용의 발톱을 다섯 개, 왕은 네 개만 그린다.
면복은 머리에 쓰는 면류관, 겉에 입는 의와 상, 안에 입는 중단, 무릎을 가리는 폐슬, 뒷쪽을 덮는 대대와 후수, 그 위에 늘어 뜨리는 패옥, 허리에 차는 옥대, 버선인 말, 신발인 석, 손에 드는 규, 목에 걸치는 방심곡령으로 이루어진다.
이 용어들을 제대로 몰랐는데 사진으로 상세히 나와 있어 이제야 감이 잡힌다.
백관들의 하례를 받거나 공식적인 의식을 치룰 때 입는 옷은 조복으로 영어로 formal dress로 번역했다.
이 때 쓰는 관이 황제는 통천관, 왕은 원유관인데 늘어뜨리는 구슬의 숫자가 다르다.
입는 옷은 강사포로 붉은 색이다.
드라마에서 흔히 등장하는 왕의 직무복인 상복은 매미 날개 모양의 익선관과 곤룡포인데 왕은 홍색, 세자는 흑색을 입는다.
능행 등 외출시에 입는 옷은 융복으로 갓과 같은 흑립에 철릭을 입는다.
철릭은 겉옷인 의와 치마인 상이 하나로 합쳐진 형태다.
전시에는 구군복을 입는데 머리에는 전립을 쓰고, 두루마기처럼 생긴 포에 붉은 소매를 덧댄 동달이에 팔이 없는 겉옷 전복을 입는다.
사극에 등장하는 무인복을 생각하면 될 것 같다.
도포와 두루마기의 차이가 약간 헷갈렸는데 도포가 삼면이 뚫린데 비해, 두루마기는 전부 막혔다는 정도로 이해하고 있다.
사진이 워낙 상세하게 잘 나와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