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성경 : 고고학인가 전설인가
이스라엘 핑컬스타인 & 닐 애셔 실버먼 지음, 오성환 옮김 / 까치 / 2002년 9월
평점 :
절판
오래 전에 사 놓은 책인데 이제서야 보고 있다.
뭐랄까, 내 돈 주고 사면 당장 읽기 보다는, 어느 때나 읽을 수 있다는 생각 때문에 자꾸 미루게 된다.
2002년에 나 온 책인데 작년부터 품절이었다.
너무 빨리 절판되는 게 아닌가 싶어 아쉽다.
책의 턴오버가 너무 빠르다.
학술적이고 어려울 것 같아 선뜻 읽혀지지 않았는데, 막상 책장을 넘겨 보니 오히려 평이한 수준이다.
발굴 내용이나 구체적인 증거를 세세하게 제시하기 보다는, 결론만 말하는 식이다.
대중을 위한 교양서 수준이다.
그렇지만 논리적으로 허점이 보인다거나 주장만 되풀이 하는 허접한 책은 절대로 아니다.
아마 유대인 고고학 교수라는 저자의 직업적 전문성 때문일 것이다.
그래서 이 책은 정통파이기도 하다.
어제 읽은 부분은 1부였다.
도입부와, 유다 왕국이 바빌로니아에 의해 멸망하는 열왕기 하까지의 설명으로 되어 있다.
모세 5경과 여호수아서, 사사기, 사무엘서, 열왕기 등이 기원전 7세기 유다 왕 요시아에 의해 정리됐다는 것이 저자의 핵심 주장이다.
모세 5경이 모세의 저작이 아님은 잘 알려져 있다.
왜냐면 모세가 죽은 후의 일도 세세히 기록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 아다시피, 하나님을 야훼로 부르는 버전, 엘로힘으로 부르는 버전 등등 총 4개의 원전이 모인 것이라고 알려졌다.
그러니까 모세 한 사람의 단독 저술이 아니라, 후대에 여러 자료들을 모아 편집한 것이라는 것이 정설이다.
그 점은 새로울 것이 없었는데, 그 후의 저술인 여호수아서나 사사기 등이 요시아 왕 때 정리됐다는 점이 신선했다.
저자는 요시아에게 초점을 맞춰서 성경을 설명한다.
모세 5경에 나오는 지명들, 특히 가나안 정복 당시 구체적인 촌락이나 지방들이 요시아 왕 때 정세와 거의 일치한다고 본다.
이를테면 이런 식이다.
여호수아가 나팔을 불어 성곽을 무너뜨렸다는 여리고는 여호수아 당시, 즉 후기 청동기 때는 성곽 자체가 있지도 않았고, 무너뜨리고 말 것도 없는, 그저 소수의 촌락 공동체에 불과했다고 본다.
여호수아가 정복한 많은 지방들은, 철기 시대인 유다 왕국 요시아 왕 때 강성한 나라들로 봐야 한다고 본다.
후기 청동기 시대 때는, 즉 여호수아가 활동할 때는, 촌락 자체가 거의 형성되지 않고 버려진 땅이었다는 것이다.
고고학적 발굴 성과를 가지고 하는 주장이기 때문에 일단은 한 번쯤 고려해 볼 만 하다.
좀 더 핵심적이고 충격적인 주장은, 이스라엘인이라는 민족 자체가 외부에서 가나안으로 온 이주민 집단이 아니라, 가나안에서 원래부터 살고 있던 토박이라는 주장이다.
그들이 유목민이었던 것은 확실하다.
왜냐면 성경에 묘사된 그들의 생활, 이를테면 샘을 가지고 싸운다거나 양과 염소를 방목하는 것 등이, 현재의 베두민족 삶과 거의 유사하다고 한다.
저자의 추리에 따르면, 이들은 고원지대에서 유목을 하던 집단이었고, 저지대의 농경민과 곡물 교환을 통해 살아갔다.
어떤 사건을 계기로 저지대 경제가 망하게 되자, 고원 지대는 더 이상 곡식을 얻을 수 없게 되자, 스스로 농사를 짓게 되면서 농경민으로 전환했다고 본다.
이 사건이란 에게인이라고 알려진 바다민족의 침입, 혹은 당시 가나안까지 이집트의 통치가 미쳤는데, 이집트가 분열을 겪으면서 더이상 행정 치안이 유지되지 못해 경제가 무너졌다고 본다.
하여튼 저지대가 몰락하면서 고원지대의 유목민들은 인구가 늘게 되고 자급자족을 달성하면서 서서히 하나의 민족으로 성장했다는 것이다.
이들을 다른 집단과 구별해 주는 가장 중요한 척도는, 바로 돼지고기를 안 먹는다는 풍습이었다.
고원 지대를 발굴해 보면 저지대에서는 흔하게 볼 수 있는 돼지뼈가 없다고 한다.
왜 돼지고기를 안 먹었는지는 명확히 설명할 수 없으나 하여튼 이런 금기가 그들의 구별표지로 작용한다.
남유다와 북이스라엘을 자매 국가로 본 점도 신선하다.
여호수아가 열 두 지파에게 땅을 분배할 때 북이스라엘은 남유다 보다 훨씬 풍족하고 넓은 영토를 지배했다.
저자의 설명에 따르면 이들은 처음부터 독립적으로 자란 집단이었고 다만 하나님이라는 유일신을 섬기는 점에서 같았다.
북이스라엘이 아시리아에게 멸망당한 후 남유다는, 특히 요시아 왕은 자신들이야 말로 잃어버린 옛 땅을 수복해 통일 왕국을 이룩할 수 있는 영웅이라고 믿는다.
그래서 과거 통일왕국 다윗과 솔로몬 시절을 화려하게 편집해서 다윗의 자손이 다시 왕국을 통일할 것이라고 백성들에게 자기암시를 한다.
고고학적 발굴에 따르면, 다윗과 솔로몬 시절의 화려함은 존재하지 않았다고 한다.
다윗 시절의 유다 왕국은 매우 가난했으며 솔로몬의 건축물이 있다고 알려진 므깃도 등도 훨씬 나중에 지어졌기 때문에 연도가 맞지 않는다.
그러니까 저자에 따르면 다윗과 솔로몬의 영화는, 요시아 시대인들에게 주입된 환상에 불과하다는 얘기다.
그러나 다행스럽게도 저자는 다윗과 솔로몬이 실존 인물이었다는 점은 인정한다.
이집트 등의 비문에 보면 솔로몬의 자손이라는 단어가 분명하게 언급되기 때문이다.
저자는 성경을 전면적으로 부정하거나 냉소적으로 바라보지 않는다.
오히려 대부분의 기록은 사실임을 인정하는데, 단 그 규모를 매우 축소해서 본다.
이런 침착한 태도가 설득력을 높힌다.
좀 더 읽어봐야겠으나 선동적인 책이 아니라는 점에서 안심이 된다.
다음에는 대체 어떻게 이 작은 민족의 종교가 전 세계인의 영혼을 책임지는 보편적인 종교로 발전했는지, 그 영향력은 어디에서 왔는지를 읽어봐야겠다.
다른 의견을 가진 고고학자의 책을 읽고 싶다.
당위성만 주장하는 교회 인사들의 책은 사양한다.
증거는 없고 주장만 난무하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