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똑똑한 사람들이 왜 이상한 것을 믿을까 - 대체의학의 진실
사이먼 싱 외 지음, 한상연 옮김 / 윤출판 / 2015년 8월
평점 :
사람들은 도대체 왜 이상한 것을 믿는 것일까?
제목 한 번 잘 지었다.
스켑틱과도 통하는 책이고 마이클 셔머의 "왜 사람들은 이상한 것을 믿는가"를 떠올리는 책이다.
공동저자 중 한 명이 쓴 <대체의학이라 불리는 사기>를 먼저 읽어서 같은 내용이면 어쩌나 싶었는데 더 재밌고 이해하기 쉽다.
아주 명료하게 과학적 진실에 대해 이야기하고 일반 대중들이 어떤 선택을 해야 하는지 분명하게 알려 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서구권에서는 대체의학이라고 하고 한국에서는 한의학이 이 범주에 들어간다고 할 수 있겠다.
한국은 독특하게 의사 면허 외에 한의사라는 면허가 따로 있어 현대의학이라는 범주가 좀 애매한데 책 내용에 따르면 침술과 약초 요법이 해당되므로 대체의학 범주에 속한다.
한의학의 존재 때문인지 한국 사람들은 현대의학을 양의학이라고 따로 지칭하지만 현대의학, 주류의학이라는 표현이 정확할 것이다.
의사들은 전 세계의 표준적인 보편적 의학 교과서로 공부하고 있기 때문에 동양의학, 서양의학이 따로 있는 게 아니라 대체의학 혹은 전통의학과 현대의학으로 나눌 수 있을 것 같다.
서양의학도 20세기 들어서 치료 효과가 입증되기 전에는 사혈이나 체액설 등을 믿었다.
책에도 사례가 나온다.
조지 워싱턴이 사혈 요법을 받다가 지나친 체액 소실로 사망했다.
대체의학을 침술, 동종요법, 카이로프랙틱, 약초요법 네 가지로 나눠서 과연 이 치료들이 임상적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했다.
침술은 두통과 구역 증상에 효과가 있는 경우가 간혹 있고 동종요법은 전혀 효과가 없으며 카이로프랙틱은 허리 통증 완화에 한해서 효과가 있다.
약초요법은 약리효과가 있는 유효성분은 약으로 정제되어 사용하고 있으므로 약리학에 속하고 그 외에 전체 식물을 다 먹어야 하는 경우는 오히려 부작용을 걱정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저자들은 임상실험을 통해 임상효과를 내는지로 검증했다.
과학만능주의라는 말로 비판을 하는데 저자들은 과학이란 의견이 아니라 진리를 밝히는 과정이라고 주장한다.
정치적 공정성이나 문화다원주의 이런 의견적 영역이 아니라, 치료 효과가 있는지 없는지를 아무 감정없이 입증하는 것이 바로 임상실험이고 의학이고 과학이다.
그러므로 실험을 통해 치료 효과가 입증되면 현대의학의 영역에 받아들여 표준적인 치료법이 되는 것이고, 효과가 없다면 배제하는 것이다.
저자들은 무작위 이중 맹검법의 설계를 통해 효과를 입증하는데 이 방법이 얼마나 정확한지에 대해 공들여 설명한다.
침술의 경우 아픈 부위에 자극을 주면 통증이 경감되는 효과가 있을 수 있고, 그런 신경자극을 통한 치료가 IMS 기법이라고 알고 있다.
그렇지만 특정 부위에 침을 놔서 다른 장기의 질병을 낫게 한다는 방식에는 동의할 수가 없다고 주장한다.
간단히 말해 동양의학에서 주장하는 기라던가 혈자리, 경락 같은 개념이 의학적으로 무의미한 일종의 철학 체계라는 것이다.
서양의학과 동양의학이 이렇게 다른 길을 가게 된 것은 해부가 가능했는지 차이라고 한다.
일리있는 말 같다.
저자들은 동양에서는 신체 해부가 금기시됐기 때문에 당시 의사들이 신체에 대해 상상의 체계를 만들었으리라 추정한다.
오장육부나 기 같은 추상적인 철학 체계 말이다.
저자들은 대체의학이 효과가 있다고 느끼는 까닭이 전적으로 플라시보 효과라고 단언한다.
의미가 있는 치료라면 언제나 누구에게서나 일정한 효과를 내야 하는데 대체의학의 여러 시술들은 이러한 임상실험을 통과하지 못했고 그래서 현대의학에 들어오지 못했다.
괴혈병의 치료법이 라임을 먹는 것이고, 말라리아 치료법이 나무 껍질에서 추출한 키니네를 복용하는 것처럼 효과가 있으면 현대의학에 속하게 되고, 동일한 효과를 내지 못하면 배척된다.
플라시보 효과만으로 대체의학의 의미가 있지는 않을까?
저자들은 단호하게 안 된다고 주장한다.
1) 부작용 우려.
의사들이 처방하는 모든 약은 성분과 부작용, 사용 용량 등이 표기되어 누구나 열람할 수 있다.
그러나 대체의학에 사용되는 약초들은 위생당국의 규제로부터 벗어나 있다.
대체의학의 약초들이 정식의학으로 인정받으려면 임상실험을 통과하여 허가받은 약들과 똑같은 기준에 맞춰 그 성분을 공개해야 한다.
2) 잘못된 의학적 조언들
비근한 예로 예방접종을 못하게 하는 안아키 같은 경우다.
잘못된 조언이 건강에 치명적일 수 있다.
3) 과도한 비용
사실 이 부분이 가장 크다.
저자들은 카이로프랙틱과 물리치료가 큰 차이가 없지만 비용 면에서는 엄청난 차이가 있음을 지적한다.
우리나라로 치면 도수치료 같은 게 해당되려나?
효과의 차이가 미미한데도 환자들은 잘 모르기 때문에 많은 돈을 쓰게 된다.
이런 대체의학이 건강보험으로 허용이 된다면 국가 재정에 큰 부담이 될 것이다.
4) 진실의 문제
과학은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이 어떻게 돌아가고 있는지 우리 몸이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밝히는 과정이다.
단지 심리적 위안이라는 측면에서 마치 그것이 사실인양 현대의학 안으로 받아들인다면 우리는 앞으로 더 나아가기 힘들다.
현대의학이 가져다 준 엄청난 혜택, 이를테면 주산기 사망률 감소, 예방접종의 효과, 항생제, 외과적 수술, 당뇨, 고혈압 같은 만성질환 치료, 항암요법 등등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사람들은 의학을 불신하고 뭔가 다른 그럴 듯한 치료법이 있지 않을까 주변을 둘러본다.
꼭 같은 경우는 아니더라도 여전히 사람들이 종교적 심성을 갖고 있고 여전히 인류는 달에 가지 않았다고 믿고, 진화가 아닌 인격신이 목적을 가지고 인간을 만들었다는 창조론을 믿는 것과 비슷한 개념이 아닐까 생각해 봤다.
건강은 매우 중요한 문제이므로 올바른 의학적 선택을 하는 것도 중요하니 정치적 공정성, 도덕성 이런 추상적인 개념보다는 과연 이 치료가 부작용이 없는지 효과는 입증이 됐는지에 초점을 맞춰야 할 것이다.
번역이 매끄러워 잘 읽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