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회색 노트 ㅣ 푸른숲 징검다리 클래식 25
로제 마르탱 뒤 가르 지음, 이충훈 옮김 / 푸른숲주니어 / 2009년 6월
평점 :
<유진과 유진> 이라는 성장 소설을 읽은 후 나는 부모를 통해서 아이들이 사뭇 다른 방향으로 흘러가는 것을 배우며, 부모의 역할에 대해서 다시 한번 느낀 적이 있다.
성추행이라는 같은 일을 당한 큰 유진과 작은 유진은 두 아이가 겪은 고통은 같았으나, 아이들을 대했던 부모의 태도를 통해서 서로 다른 길을 걷게 되었다.
<회색 노트>을 읽으면서 나는 그때의 그 성장소설을 다시금 떠올리게 되었다. 부모가 아이에게 내세우는 권위의식이라는 것이 얼마나 쓸모없는 허영심같은가...
눈썹을 치켜 올리고 아이를 바라보는 아빠의 모습에 기죽은 한없이 작게만 보이는 소년의 모습.
아들에 대한 걱정보다는 자신을 바라보게 될 사람들의 시선이 더 걱정이였던 자신의 명예가 더 중요했던 티보씨, 권위의식에 사로잡힌 가톨릭의 가치관을 최고로 여기며 자식에 대한 사랑 표현은 한없이 작게 여기는 티보씨의 모습은 전형적인 우리나라의 가부장적인 아버지들의 모습과 비슷하게 닮아있는 듯 싶다.
사랑, 소통, 믿음이라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자크와 다니엘을 통해서 다시금 느껴본다. 자크와 다니엘의 입장이였던 어린 시절 읽었던 <회색 노트>가 아닌, 부모가 되어 읽는 <회색 노트>는 성장통을 앓고 있는 아이들을 이해하고, 그들에게 부모로서 다가서는 방법을 일깨워 주었다. 따스한 포옹! 세상의 모든 자크와 다니엘에게 필요한 것은 어쩌면 아주 쉬운 것이였는지도 모르겠다.
교환 일기를 통해서 자신의 마음을 표현하고, 힘이 되어주고 용기를 얻었던 자크와 다니엘의 가출은 <회색 노트>를 통해서 부모들에게 알려진다.
이 일이 세상에 알려져 자신의 명예가 실추 될까 걱정되는 자크의 아버지 티보씨와 달리 다니엘의 어머니는 다니엘을 걱정하며 다니엘을 믿으며, 아버지의 부재가 가져오는 아이들의 상처를 위해 외도한 남편을 찾으려고 노력한다.
반면 자크와 다니엘은 가출을 통해서 서로 다른 생각을 가지게 된다. 따스함이 존재하지 않는 집으로 돌아가고 싶지 않는 자크와 달리 다니엘은 사랑하는 동생과 엄마를 생각하며 집으로 돌아갈 수 있기를 희망하는 듯 보인다.
두 사람의 예기치 않은 헤어짐은 다니엘에게 ’성장’이라는 경험을 하게 한다.
순결한 사랑, 신비한 사랑, 그 속에서 그들의 청춘은 미래를 향해 똑같은 열정으로 융합하고 있었다. 그들 열네 살 소년의 마음을 휩쓸고 있던 격렬하고도 모순되는 감정-누에 기르기와 글자 맞추기 놀이 따위에 대한 열정에서부터 그들 내부의 은근한 비밀들, 그리고 하루하루를 살아가면서 들의 마음속에 샘솟던 삶에 대한 열광적인 호기심에 이르기까지 모든 감정이 두 소년에게는 공통되었던 것이다. 122p
자크와 다니엘이 헌병에 의해 집으로 돌아오게 되었을 때, 두 소년의 부모들은 각각 다른 방법으로 그들을 맞이한다.
두 손으로 아들의 얼굴을 어루만지며 입을 맞추고 꾸지람 한 마디 하지 않고 키스를 해 주는 다니엘의 엄마 퐁타냉 부인,
그와 달리 추잡한 일이라고 망나니 같은 놈이라며 눈을 내리깔고 아들을 바라보는 티보씨는 자크에게 카톨릭 신자로서의 생활을 강요하며 감화원으로 갈 것을 요구한다.
절망을 느낀 티보는 다니엘에게 죽음을 암시하는 글을 남기게 되는데, 그 후의 이야기는 <감화원>을 통해서 다루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가부장적인 부모의 모습이 남아있다. 엄격하고 권위적인 모습을 앞세우던 모습은 아이들에게 어른들 세계에 대한 방항심을 불러일으키고 자유를 찾고자 부르짖음으로 표출된다.
가족은 권위가 아닌 사랑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그 사랑은 마음속에만 담겨져야 하는 것이 아니라 전달해야한다. 말하지 않는 것을 알아주길 바라는 것은 아이들에게 더 큰 고통을 안겨주기도 한다. 부모이기에 가져도 된다는 이기심이나 권위의식은 과연 누구를 위한 것이란 말인가?
<회색 노트>와 <유진과 유진>은 그렇게 닮아있는 듯 하다. 서로 다른 부모의 모습과 사춘기 아이들의 성장통을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나는 부모들에게 두 권의 책을 모두 권하고 싶다.
책 표지 속에 담겨진 눈썹을 치켜 뜬 아버지의 모습속에 나 자신은 없었는지? 부모라는 이름하에 필요없는 권위를 내세운 적은 없는지?
어린 시절 <회색 노트>를 통해서 자크의 반항을 한없이 옹호했었던 나는 지금, <회색 노트>를 통해서 티보씨를 질책하며 또 나를 반성해본다.
나는 아이들에게 자크와 다니엘이 되어, 지금 겪고 있는 성장통이 올바른 길로 치유될 수 있도록 이 책을 권해보려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