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만화 마르크스 자본론 ㅣ 서울대 선정 만화 인문고전 50선 31
최성희 글, 손영목 그림, 손영운 기획 / 주니어김영사 / 2009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작년 여름 이맘때 <서울대 선정 인문고전 50선>을 처음 접한 후, 나는 이 시리즈가 가지는 매력에 푹 빠져있었다.
솔직히 학창 시절 나는 인문고전을 제대로 읽어본 적이 없다. 시험에서 높은 점수를 얻기에 급급해서 제목과 저자만 외워왔기에 인문고전들 속에 담겨진 좋은 의미와 내용은 뒷전이였다.
더 솔직하자면, 책을 읽어보겠다고 다짐 후에는 몇 페이지 넘기지 못하고 좌절하고 말았다.
그런 좌절로 인문고전은 나와는 어울리지 않는 책으로 낙인되어 버렸었다.
그리고 작년 여름,
이 시리즈를 접하면서, 나는 처음으로 인문고전을 제대로 읽을 수 있었다.
처음 접했던 7권 <정약용 목민심서>는 목민심서의 내용을 아주 쉽게 전달하고 있었다. 딸아이는 무척이나 편독이 심한 편이다. 편‘독’이라고 해봐야 다른 애들이 그렇듯 우리 아이 역시 만화와 구미에 맞는 창작물만 좋아하는 편이다. 당시 초등4학년인 딸아이 역시 재미있다며 이 시리즈를 더 보고싶어 했고, 그 후로 이 시리즈는 우리집 책꽂이에 한권두권 자리잡게 되었다.
이걸 본다고 설마 우리 아이가 서울대에 가게되는 건 아니겠지만 어쨌든 ‘서울대 선정’이라는 제목은 아이들 기르는 엄마 입장에서 꽤 멋진 말로 들렸다. 물론 엄마의 욕심이겠지만, 이 책을 읽으면서 우리 아이가 서울대를 꿈꾸지 않을까? 하는 기대감 또한 갖게 된다.
만화책만 보려하는 아이에게 또 만화책을 보여준다는 것이 어째 조금은 망설여지기도 하지만, 이 시리즈는 여느 만화와는 다르다. 예쁜 캐릭터도 아니고, 요즘 아이들이 좋아하는 내용도 아닌, 딸아이가 싫어하는 빡빡한 설명식이긴 하지만, 내용을 읽다보면, 설명을 쉽게 담아서 지루한 느낌은 전혀 없다. 또한 <자본론>에 대한 내용뿐만 아니라, <마르크스>에 대해서도 그 시대의 배경에 대해서도 자세히 설명되어 있어 역사적 지식도 함께 겸할 수 있다.
<마르크스의 자본론>에서는 <자본론>은 어떤 책인가?를 필두로 해서, 마르크스에 대해 알아본 후에 <자본론>의 내용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
선생님이 학생들에게 설명하는 식의 형식으로 담겨진 이 책에서는, <자본론>을 통해서 지금 우리 시대의 경제의 문제점까지 깨달을 수 있게 된다.
요즘 아이들에게 올바른 경제습관을 가질 수 있도록 경제관련 도서가 많이 출간되고 있는 실정이다. 자본, 화폐, 상품 등에 대한 경제도서에는 경제의 기본 지식에 대해서도 많이 담겨져 있는데, 이런 경제 도서보다는 자본주의가 무엇인가에 대해서 제대로 설명되어 있는 <자본론>이야 말로 경제가 무엇인가를 잘 알 수 있는 책은 아닌가 싶다.
마르크스가 말했듯이, 자본주의에는 많은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그의 예언처럼 자본주의가 붕괴되고 있는 것은 아니다. 마르크스가 자본주의의 모순을 이야기하면서 사회주의를 주장했고, 그로 인해 마르크스가 위험 인물이 되고, <자본론>은 금서가 되었다.
하지만 <자본론>은 우리 사회에 가장 많은 영향을 준 외국 책이며, 자본주의 사회를 살아가는 우리에게는 읽어봐야 할 필독서가 되었다.
솔직히, 인문고전을 읽는다는 것은 쉬운 일은 아니다. 중고등학교를 입학하면서 인문고전은 필독서가 되어지지만, 읽을 시간도 부족할 뿐만 아니라,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손이 쉽게 가는 책은 아님에는 확실하다.
구지 읽어야한다면, 좀더 재미있고 쉬운 책이라면 좋지 않을까?
이 책의 강점은 만화책이 가지고 있는 장점을 살려 지루하고 딱딱한 인문고전을 읽을 수 있도록 해준다는 것이다. 특히 아이들 수준에 딱 맞춰서 쉽게 친절하게 풀이가 되어있다는 것이다.
학창 시절 인문고전을 제대로 읽어보지 못했던 나는, 요즘 딸아이에게 책을 사주면서 같이 읽고 있다. 쉽게 담겨져 있고, 더군다나 만화로 되어있으니 이해도 쉽고 재미도 있다.
마르크스의 <자본론>은 아직도 옳고 그름을 따지는 논란을 겪고 있는 책이다. 자본주의 속에서 살아가고, 자본주의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으로 자본 시장이 어려워지는 요즘 <자본론>은 다시한번 영향력을 발휘할 듯 싶다.
(사진출처: '만화 마르크스 자본론' 본문에서 발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