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실리콘밸리의 실험실 - 하버드 경영대학원 교수가 찾은 최고 기업들의 혁신 비결
스테판 H. 톰키 지음, 안진환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23년 1월
평점 :
실리콘밸리는 세계의 변화를 주도하는 혁신의 중심이죠 미래를 이끄는 새로운 도전을 추구하는 실리콘밸리에 대한 이야기를 기대했습니다

이 책은 에디슨부터 현재 최고의 혁신 기업이라고 불리는 구글, 아마존, 넷플릭스 등의 기업에 이르기까지 실험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이야기해요. 에디슨은 실험실을 부품 장비 보급창과 기계 공장에 가까이 배치하면서 아이디어를 위한 실험에 필요한 모든 재료와 장비, 정보를 즉시 이용할 수 있게 했어요. 그는 아이디어를 즉시 테스트용 모델로 만들고 바로 피드백을 받도록 한 것이죠.
사람들은 자기 행동에 즉각적인 피드백이 주어질 때 가장 효율적으로 학습합니다. 피아노 연주를 하면서 소리가 한참 후에 들린다면 연주법을 배울 수 없는 것과 같아요.
요트를 제작하는 팀뉴질랜드는 실험의 피드백이 24시간 안에 가능하도록 했어요. 실험팀이 개선안을 만들면 시뮬레이션팀이 분석하고 가장 유망한 것은 밤사이에 프로토타입으로 제작되어 곧바로 실제 크기의 선박으로 테스트합니다.
변동성이 높은 혁신 프로세스는 자원 활용량이 증가하면 지연 시간이 극적으로 늘어나고 작업을 5%추가하면 작업 완료 시간이 100%늘어날 수 있어요. 반대로 자원을 5%추가하면 피드백은 50% 빨라질 수 있구요.
비즈니스 실험의 타당성을 높이고 인과 관계를 잘 파악하며 각 실험이 더 나은 결과를 낳는 데 도움이 되는 질문들이 있습니다. 실험이 테스트 가능한 경영 행위에 중점을 두는지, 실험에서 무엇을 배우기 원하는지, 필요한 샘플 크기는 어느 정도인지,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는 모든 변수를 염두에 두었는지 등이에요. p.88

마이크로소프트의 검색엔진 빙은 광고 헤드라인에 일부 텍스트를 추가해 길게 만드는 아이디어를 적용했어요. 테스트가 시작되고 몇 시간도 되지 않아 비정상적으로 높은 수익이 발생하여 사실일 리가 없다는 경고가 떴습니다. 분석 결과 그 변경이 12%에 달하는 놀라운 수익 증가를 가져왔어요. 그 아이디어는 6개월 이상 묵혀 있다가 해당 코드를 작성하는 데 드는 비용이 적어서 영향 평가를 위한 테스트에 들어갔던 것이었죠. 헤드라인 길이 변경은 빙 역사상 최고의 수익 창출 아이디어가 되었습니다. p. 125

비즈니스 실험의 힘을 이해하지 못하면 혁신을 저해할 수 있어요. 비즈니스 실험의 7가지 그릇된 신화 중 하나는 전형적인 오프라인 기업은 실험을 수행할 정도로 충분한 거래량을 보유하지 않았다는 것이에요. 사실은 비즈니스 실험은 거래량이 많고 적음과 무관하며 온라인 오프라인에서 모두 수행가능합니다. p.307

이 책은 380페이지 정도에 주석 해설이 30페이지 정도, 참고 문헌 목록이 15페이지 정도 됩니다. 실제 내용의 분량은 훨씬 많아요. 예로 든 기업들도 많고 실험 방법과 이론에 대한 설명도 방대합니다. 혁신 기업들은 겉으로는 무엇을 하는지 잘 모르겠지만 그 내부에선 끊임없이 비즈니스 실험을 하고 피드백을 받고 변화를 거듭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어요. 기업의 진정한 혁신과 생존은 실험에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내용이 무척 체계적이고 휼륭해서 별10개를 주고 싶어요.
* 이 리뷰는 네이버 이북카페를 통해 출판사 서평단에 선정되어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