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토록 멋진 휴식 - 32인의 창의성 대가에게 배우는 10가지 워라밸의 지혜
존 피치.맥스 프렌젤 지음, 마리야 스즈키 그림, 손현선 옮김 / 현대지성 / 2021년 7월
평점 :
주말이나 휴일에 쉬어도 만성 피로예요 워라밸을 제대로 추구하는 멋진 휴식을 기대했습니다

이 책은 단순히 휴식하는 시간을 늘리라고 하지 않아요. 양적인 시간인 크로노스에만 집중하지 말고 질적인 시간 카이로스를 키우려 노력하라고 합니다.
두 시간의 균형보다는 둘 사이를 매끄러운 리듬으로 오가는 능력을 향상시키는 게 목적이에요. 질적인 시간을 늘리기위한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쉼, 잠, 운동, 고독, 성찰, 놀이, 여행을 제시합니다.
1만 시간의 법칙은 앤더스 에릭슨과 동료들의 공동 연구로 탄생한 이래 숱하게 인용되었고 말콤 글래드웰의 책 아웃라이어로 대중의 주목을 크게 받았다. 이 법칙은 어떤 분야에서든 전문가 수준에 도달하려면 1만 시간의 의도적 연습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에릭슨의 실제 연구에는 매일의 의도적 연습이 효과적 수준을 넘지 않도록 제한해야 한다는 내용도 담겨 있다. 하루에 투입해야 할 이상적 시간으로 4시간을 제시했다. 창의적인 사람과 성공한 지도자 가운데 많은 사람이 4시간의 집중을 완수한 후 낮잠이라는 강력한 부화 도구를 활용한다 p.96

보다 효과적인 활동은 조용한 성찰에서 온다.
가장 유명한 비즈니스 컨설턴트로 기억되는 피터 드러커의 말이다. 준비와 부화의 주기, 밀물과 썰물처럼 일에 임하고 일을 내려놓는 것, 이 모든 것과 마찬가지로 성찰과 활동에도 올바른 균형이 있어야 한다.p.194

이세돌은 알파고가 예상을 뒤엎는 기상천외한 스타일로 계속 자신을 한계로 내몰아 자신도 초인적 수를 찾지 않을 수 없었다고 고백한다.
전략은 지식 근로의 핵심이다. 어떤 전략을 창조하고 업그레이드하려면 확산적 사고와 수렴적 사로 둘 다를 활용하는 능력이 요구된다.p.304

AI시대에 인간은 창의성, 전략적 문제 해결, 타인과의 연결과 공감, 사랑에 집중해야한다고 해요. 단지 AI와 겨뤄 살아남기 위해서가 아니라 상생하고 인류가 나아갈 방향을 찾기위해서 입니다. 많은 위인들의 사례를 예로 들어 그들이 타임오프를 어떻게 활용했는지도 알려줘서 좋습니다.
* 이 리뷰는 네이버 이북카페를 통해 출판사 서평단에 선정되어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