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네아이라 재판소동
데브라 하멜 지음, 류가미 옮김 / 북북서 / 2008년 2월
평점 :
절판
현대 민주정치의 근간의 토대를 이루고 있는 도시국가의 아테네에서 일어났던 재판을 소재로 한 책이다. 피고는 바로 매춘이 나라에서 인정하는 사업으로 번창했던 창녀 네아이라 란 50대 가량의 여인이다. 현대에서 행해지고 있는 재판과정과 비교해도 손색이 없는 연설의 과정을 통해서 그 당시의 사회상이라든가, 가정생활속에서의 여인의 위치, 창녀들의 계급층, 간통으로 걸릴 경우에 행해지는 법의 처벌, 증거를 찾기 위해서 자신이 고문을 당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노예가 대신 고문해서 받아내는데 동의하는 과정, 다만 일방적인 고문이 아닌 서로의 쌍방향이 인정하는 것을 토대로 고문을 실행한단 점등이 서술되고 있다. 이렇게 우리가 그 당시에 행해지고 있는 것을 잘 고 있는것은 바로 이 창녀를 고발한 테오므네스토스란 사람을 통해서이다. 좀 더 자세히 들어가면 본질적으로 고소한 사람은 그의 장인인 바로 주인공인 아폴로도로스란 사람이다. 자신을 대신해서 대리인을 세워서 법에 호소하는 과정은 그 당시엔 흔했던 것이었고 이 창녀를 고소한 이유는 다름이 아닌 당시 세력이 번성했던 마케도니아와의 세력번창에 따른 다른 도시국가들이 점차 그 복속으로 넘어가자 위기를 느낀 아테네에서 어떤 방식으로 이것을 해결할 것인가를 두고 아폴로도르스가 주장한 것과 네이아라와 30여년간 같이 산 스테파노스의 주장이 대립되면서 부터 앙금이 쌓인 것이 그 원인이다. 직접적으로 스테파노스를 고소하지 않고 이 여인을 대두시킴으로서 표면적으론 아테네시민이 아닌 외국인의 신분으로서 자신의 자식 3명을 스테파노스 자식처럼 키웠고 그들의 딸인 파노의 두 번에 걸친 결혼에 대한 부당설을 걸고 넘어짐으로써 인격에 치명적인 오명을 지우려한 목적에서였다. 과거 두 차례에 걸쳐서 고소를 당했던 아폴로도르스 입장에서는 이런 호기를 놓칠수 없었고 그래서 늙은 창녀를 내세워 배심원들 앞에서 일장 연설한 것이 오늘 날까지 남아서 우리가 알게된 사건이다. 겉으론 외국인 신분으로 오랜세월 아테네 신분으로 살아온 것처럼 위장했고 노예와도 섹스를 했다는, 당시 획기적인 성이 문란했던 그녀의 생활을 고발함으로써 호소를 하고 있다. 정확하게 자신이 법정에 나가서 자신을 변호할 기회조차 없었던 그녀이기에 그녀을 대신해서 변호를 담당했던 사람을 스테파노스라고 한다. 재판과정에서 배심원으로 뽑히기까지의 과정과 재판의 공정성을 위해서 배심원 수를 홀수로 정한점, 철저한 공직자들의 사전 자질정밀조사를 했던 도키마시아란 제도, 파노란 것을 가지고 형량을 결정하기까지의 절차, 연설과 변호, 재판장의 판결을 위한 모래시계격인 유리병 사용등이 아주 자세하게 그려지고 있다. 지금처럼 자유분방하게 자신의 의지대로 성에 대한 표현이 아주 부정적이었던 가정여인네들의 삶부터 그외의 성을 해소하기 위한 남자들의 매춘을 사는 방법, 창녀들의 계층도 거리매춘인 포르나이, 피리부는 소녀라고 해석되어지는 아우레트리테스, 가장 고급부류인 헤타이라라 불린 (=여성 동반자) 것 까지, 비록 고대이긴 했어도 어느정도 가부장적인 생활과 숨통이 조여오는 가정생활이 다워지고있다. 그나마 네아이라가 거의 고급창녀에 속했기때문에 아주 다양한 사람들을 만났을 수 있었고 , 그 때문에 이런 소송을 당할 수 있었던 사회적인 이면이 있었다. 하지만 이런 겉보기에 자신이 희생양이 된 것이고 본질적인 스테파노스에 대한 앙금을 보복하기 위한 재판과정이었다고 볼 때 지금이나 그때나 정치적인 정적에선 무불소위를 가리지 않는 소재가 다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양쪽 모두의 연설이 남았다면 어느 정도의 상황변론이 가능할 수 있었고 책을 읽는 입장에서도 판결을 내려보았을 수도 있었을텐데, 아쉽게도 아폴로도르스의 연설만 남아있기에 이것을 토대로 책을 쓸수 밖에 없었단 점에선 아쉬움이 남는다. 결과도 남겨진것이 없고, 그 후의 아폴로도르스의 정치활동에 대한 남겨진 것도 없어서 다만 후대에 내려온 이야기로 그 후의 네아이라의 생활이 남겨졌다고 하는데, 어떤 과정이었는지 모르지만 스테파노스와 여생을 보냈다고 하는데서 볼 때 , 아마도 사과를 받아냈거나, 벌금형을 냈고, 아니면 몇 년 아테나를 떠나서 살다가 말년에 죄가 사멸되면서 다시 돌아와 살게됬거나, 그도 저도 아니면, 확실한 증거를 확보해서 깨끗하단 판결을 받아냈을 수도 있단 가능성을 생각케보게 한다. 이것이 오늘 현대를 사는 우리들에게 인권이라든가, 여성의 발언권을 떠나서 그 당시에 행해진 다양하게 실행되어온 법률적인 모습을 보는 것 만으로도 아주 흥미로운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