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적과 함께 사는 법 - 오늘을 살리는 과거 청산의 현대사
김지방 지음 / 이야기나무 / 2013년 10월
평점 :
우리의 현대사도 그리 만만치가 않았다.정권이 바뀔 때마다 우리는 숨소리를 죽여야했고 발걸음도 조심스러웠다.언제 부턴가 티.비에서 정치에 관한 뉴스가 나오면 나는 채널을 돌려버리는 습관이 생겼다.오늘을 살아가는 우리가 반드시 알아야 하는 세계의 현대사 친숙한 국가부터 생소한 국가까지 균형 있게 담아낸 작가의 노력이라고 소개하는 적과 함께 사는 법의 행간을 들여다 본다.
순탄치 않았던 나라의 일들은 언제나 씁쓸한 여운을 남기고 역사의 저 편으로 들어갔다.현직기자가 파헤쳐 본 지구촌의 일면들이 오늘 소개하는 책속에서 펼쳐지고 있다.과연 대한민국의 과거는 청산될 수 있을지 내용으로 들어가 보자.유럽과 아메리카 대륙,아프리카와 동남아시아까지 저자가 이끄는 대로 살피다보면 마침내 우리의 현대사를 마주하게 된다.여수.순천사건, 5.18광주민주화운동을 살펴보자.
과거를 인정한다는 것은 참으로 부끄러운 현실이다.올바르지 못했기 때문이다.그것을 우리가 드러내지 못하는 것은 은연중에 동조했거나 가담했던 가해자요,피해자이기 때문이다. 요즘 대자되고 있는 안녕하십니까? 를 보면 더욱더 그렇다.저자가 역사를 어떠한 시선으로 바라보고 있는 가를 알 수 있는 인간과 시대가 빚어내는 드라마,역사는 아름다운 결말로 나아갈 수 있는가?
남아프리카공화국의 과거청산 이야기,캄보디아의 좌파 독재 청산,아르헨티나의 우파 군사정권 청산,프랑스의 제2차세계대전 나치 부역자 청산등은 자유를 갈망하는 민중들의 자유를 억누르는 기만의 정치에서 비롯된 것이었다.마틴 루터는 말하기를 왜 우리가 적들을 사랑해야 합니까. 미움에 미움으로 답하는 것은 미움을 더하기 때문입니다. 이미 별들이 사라진 밤에 깊은 어둠을 더하기 때문입니다.
어둠은 어둠을 몰아낼 수 없습니다. 빛으로만 가능합니다. 미움이 미움을 몰아낼 수 없습니다.사랑으로만 가능합니다.증오는 증오를 낳고, 폭력은 폭력을 더하며 냉정은 냉정을 불러옵니다. 파괴의 소용돌이 안으로 끌려갑니다라고 미국의 흑인 차별 역사 청산을 외치며 말했던 것을 기억한다.한국의 여수·순천사건에 관하여는 역사의 비극은 개인의 비극과 무관하지 않다.
역사도 해결하지 못한 용서와 화해를 향해 나아가는 평범한 사람들의 이야기가 담담한 인터뷰를 통해 전달된다.역사를 뛰어넘는 박애정신을 지켜보며 역사가 반드시 정의로 향해 나아갈 것이라는 희망을 엿보게 된다.돈으로 보상했다고 하는데, 돈으로 보상하는 것은 가장 손쉬운 거죠.마음의 치유가 필요한 부분을 이야기 하고 있다.돌려 말하지 않고 정공법으로 써내려간 이 책은 그래서 더욱 값지다고 생각한다.
한국의 5·18 광주민주화운동에 관하여이 책의 마지막은 5•18 광주민주화운동이 장식하고 있다언론에 언급이 될 때마다 여전히 뜨러운 감자로 떠오르는 만큼 저자의 접근은 조심스럽다. 그러나 결말에 가까워질수록 5•18광주민주화운동은 물론 앞서 다룬 여섯 가지 이야기를 되돌아보게 하는 질문을 남긴다. 과거청산이 끝이 나는 시점은 언제인가? 과연 과거청산에는 끝이 존재하는가?
바람에 흔들리지 않는 나무잎은 없다.지나온 과거나 현대사를 볼때마다 느끼는 것은 언제나 그늘진곳에서 일어나는 일들은 그 진실들을 외곡하고 감추려고 한다는 것이다.그러나 그것을 밝혀내려는 집요한 사람들이 있으니 우리는 그들을 기자라고 부른다.간혹 그렇지못한 사람들도 있지만 오늘의 이 책은 과거청산의 이면에 숨어있던 것들을 과감하게 들추어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