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는 평양의 모니카입니다
모니카 마시아스 지음 / 예담 / 2013년 8월
평점 :
절판
이국 만리 평양에서 성장하며 모국어는 잊어 버린지 오래이고 한국말로 살아가는 모니카 마시아스 그녀의 삶을 들여다 본다.그녀는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다.7살의 나이에 고향을 떠나 머나먼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으로 망명을 한다.아프리카의 작은나라 적도 기니 스페인으로부터 독립한 뒤 초대 대통령으로 10여 년간 권력을 잡아오던 대통령 프란시스코 마시아스 응게마
그는1979년 사촌이자 국방장관인 테오도르 오비앙 응게마의 쿠데타에 의해 실권하게 된다.이후 프란시스 마시아스 응게마는 가족과 함께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으로 망명하게 된다. 모니카 마시아스 그는 대통령의 딸이었다.평양의 16년, 그리고 적도기니, 스페인, 뉴욕을 거쳐 서울에 도착하기까지,악마의 딸이란 운명의 희생자에서 주인공으로 다시 태어난 모니카 마시아스,
그녀의 감동 스토리가 이 책에 전해지고 있다.유년시절부터 청년시기를 거치면서 그녀가 겪은 삶을 전해주는 책이다.자신의 삶에 주인공이 되기까지 16년의 시간은 짧은 것이 아니었다.저는 참 이상한 인생을 살았어요.저는 아버지가 둘입니다.적도기니의 프란시스코 대통령,북한의 김일성 주석입니다라고 그녀는 이 책에서 말하고 있다.기억의 배반은 모국어를 버리게 했다.
한국과 북한의 다른점은 경제수준과 정치이념을 빼고는 북한과 다를 바가 없다고 이 책에서 말하고 있다.모니카는 한국에서 2년동안 체류하며 의류회사에서 일했다.다른 것이 있다면 한국 사람들의 북한에 대한 거부감과 극단적인 선입관이었다.자유롭게 오갈 수 없는 북한 대신 모니카는 한국을 통해 북한에 대한 그리움을 달래곤 했다.어느덧 한국은 제2의 고향이 되었다고 고백한다.
조선말만 쓰다 보니 오랜만에 북한에 들른 어머니와 소통이 되지 않아 서로의 가슴에 상처를 입었던 일, 아버지를 죽인 삼촌을 미국이라는 타지에서 힘들게 용서했어야 했던 일, 그리고 북한을 비난하고 아버지를 저주하는 사람들 앞에서 그 증오의 허물을 벗긴 실체를 목도하자고 힘들게 설득하던 일들 모두가 자신에게 주어진 운명과 화해하는 과정이었음을 그녀는 토로한다.
아버지를 알고 싶어 절친인 스페인의 안토니오 교수로부터 아버지에 대한 진실을 듣는다.적도기니의 해방을 위해 독립운동을 하던 아버지와 프랑코 독재 정권에 대항하던 안토니오는 우정을 나누는 정치적 동지였다.모니카 마시아스의 마지막 종착지는 적도기니,그녀의 아버지는 누군가에게는 권위적인 폭군이었고,누군가에게는 스페인으로부터의 자주독립을 위해 헌신한 지도자였다.
그녀는 자신의 삶에 대해 정리가 되지 않은 상태였다.끝나지 않은 여정,빚을 다 갚지 못한 마음의 상태로는 세상의 증인처럼 나서고 싶지 않았다.그러나 이제 안토니오 변호사와 조우하면서 아버지와 가족을 둘러싼 어두운 과거를 용서하고 운명의 희생자에서 주인공으로 거듭나리라 결심하면서 그녀의 생각은 긍정적으로 바뀌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