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게토의 저항자들 - 유대인 여성 레지스탕스 투쟁기
주디 버탤리언 지음, 이진모 옮김 / 책과함께 / 2023년 6월
평점 :

내가 돌아온 건 기적이에요. 하지만 사람이 얼마나 자주 기적에 의존할 수 있을까요?
사람이 기적에 자주 의존할 수 없다는 것은 분명하다. 그리고 어떤 기적은 그저 신기루에 불과하다. (p.371)
유대인 투쟁기를 몇 권이나 읽었음에도 지식이 부족한 탓인지, 빙산의 일각을 읽어서인지 여전히 나는 이 내용에 적응하지 못한다. 특히나 이번 『게토의 저항자들』은 내가 상상도 해보지 못했던 이야기가 워낙 많았던 터라 읽으면서도 낯설고, 놀랍고, 안타깝고 등의 감정의 연속이었다. (물론 어려움과 불편함도 감정 중의 하나였다.)
몇 해 전, 한겨레출판사의 「싸우는 여자들, 역사가 되다(김이경)」을 읽을 당시 나는 많이 울었다. 그들이 자신의 이름은 공기 중으로 사라질지언정, 정신만은 지키겠다고 생각하지 않았더라면 지금의 우리는 없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때 느낀 복잡미묘한 감정을 『게토의 저항자들』에게서도 순간순간 느꼈다. 무엇을 위해, 누구를 대상으로 투쟁했는지를 앞서 신념을 위해 자신을 태워낸 이들의 이야기이기에 가슴이 먹먹해지고, 그들이 오늘날의 나에 비하면 너무 어린 나이였기에 애잔해진다. 『게토의 저항자들』은 논픽션임에도 불구하고 무척이나 생생하게 묘사되기 때문에 그 감정의 농도는 한층 짙었다. (스티븐 스필버그가 이 책의 내용을 영화화하기로 결정했다고 한다. 스티븐 스필버그도, 영화화도 놀라운 일이지만 놀랍지 않게 느껴지는 까닭은, 이 책 자체가 놀라워서 다른 놀라움은 별일 아닌 것처럼 느껴지기까지 한다.)
사실 『게토의 저항자들』은 읽기 쉬운 책은 아니다. 워낙 방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기도 하고, 폴란드의 소녀 이야기로 시작해 많은 레지스탕스 소녀들의 서사로, 또다시 목숨을 부지하고 저항의 역사를 쓴 여성 레지스탕스들의 이야기로 쉼 없이 전개된다. 책 내용 자체도 방대한데, 홀로코스트에 줄지어 등장하는 이야기들이 워낙 많으니 말이다. 어쩌면 『게토의 저항자들』은 홀로코스트라는 대서사시의 숨은 페이지 같다는 느낌이 들기도 했다. 그래, 작가가 우연히 그들의 이야기를 발견하지 않았더라면, 그들의 이야기에 큰 충격을 받아 증언을 모으고 인터뷰를 진행하지 않았더라면 이 이야기는 여전히 '숨겨진 페이지'였겠지.
한복 치마 아래 태극기를 숨겼던 한국의 소녀들처럼, 생리대에, 팬티에 수류탄을 숨겨 들어오는 이들의 이야기를 읽으며, 아우슈비츠에서도 지하저항운동을 조직하는 이들의 이야기를 읽으며 차라리 이 이야기가 픽션이길 바랐다. 살기 위해 유대인임을 숨겨야 하는 그들의 모습에서 우리의 역사를 발견하고 가슴이 아팠다. 픽션보다 더 픽션같은 이 안타까운 이야기는 여전히 온전한 마침표가 찍힌 것이 아님을 알기에, 더 가슴이 아프고 묵직하게 느껴진다. 우리의 아픈 과거도, 유대인들의 시간도 여전히 찾아야 할 이야기와 '제자리'가 많음을 알기에 이 이야기는 더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든다.
그들의 굵고 작은 승리가 완전히 통쾌해지려면 그들의 용기와 정신력이 제대로 평가받아야 한다는 생각을 해본다. 그 변화 없이는 저항자들은 나만 살아남았다는 죄책감을 그들을 기억하는 이가 남았다는 자랑스러움으로 바뀔 수 없을 것 같아 안타까운 마음이 든다. 내가 이 책을 온전히 소화했는지는 모르겠다. 사실 내용 면에서도 감정 면에서도 버거운 책이었다. 다만 한 가지 분명한 것은 여전히 다큐멘터리가 되지 못한 '숨은 저항자'들을 세상으로 꺼내왔다는 거다. 그들의 투쟁을 이제는 우리가 알고 있다는 사실이다.
스티븐 스필버그가 담아낼 『게토의 저항자들』들은 어떤 모습일지 기대해보며, 그사이 더 많은 '이름 없는 투쟁가'들의 이름을 찾아낼 수 있기를 바라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