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눈에 펼쳐보는 24절기 그림책 ㅣ 한눈에 펼쳐보는 그림책
지호진 지음, 이혁 그림 / 진선아이 / 2023년 1월
평점 :

아이가 글씨를 읽고 쓰는 게 가능해진 후, 나를 흉내 내며 하는 일 중 하나가 달력에 일정을 적는 것이다. 물론 일정이라기에는 '유치원에서 장구 수업'같은 '뻔한' 것들이지만, 입을 앙다물고 달력에 조그만 글씨로 계획을 적는 아이의 모습은 귀엽기만 하다. 달력을 가지고 놀기 시작하며 아이가 자주 묻는 것이 바로 '절기'. “엄마 동지는 뭐야?”, “대한은 뭐야?” 하고 묻는 아이와 앉아 국어사전으로 몇몇 절기를 찾아봤다. 그러던 중 우리 집에 생긴 새 책, <한눈에 펼쳐보는 24절기 그림책>은 아이의 궁금증을 완벽히 해결해주었다.
커다란 크기로 제작된 24절기 그림책은 봄부터 겨울까지, 순서대로 절기가 이어지기에 아이가 찾아보기 너무 좋을 뿐 아니라 이름만으로도 어느 계절의 절기인지를 유추할 수 있게 하여 자연스럽게 절기에 등장하는 한자들을 교육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내용은 얼마나 다채로운지! 한자의 풀이뿐 아니라, 각 절기에 해당하는 속담, 음식, 사자성어, 풍습, 속담 등까지 골고루 담고 있어 책 한 권으로 우리의 전통문화와 상식까지 재미있게 익힐 수 있다.
그림은 또 어찌나 상세하고 재미있는지! 앞쪽 페이지에는 절기에 대해 유추할 수 있는 일러스트를 한 페이지 가득 실어두어 제목을 가리고 어떤 절기인지 맞추어보는 놀이를 할 수 있고, 작은 그림들은 하나하나 살펴보며, 그림을 통해 더욱 쉽고 편하게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 책은 우리 아이 정도의 나이에 시작해, 꽤 오랫동안 여러 정보를 얻고 학습할 수 있는 책이라는 생각이 든다. 그림을 통해 각 절기가 어떤 의미인지를 깨우치는 것으로 시작하여, 연관된 속담이나 사자성어 배우기, 문화와 전통에 대해 학습하기, 한자 풀이 까지 학습할 수 있고, 다양한 용어 풀이까지 가능하여 어휘력을 높이는 데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심지어 어른들도 24절기를 다 모르는 경우가 있는데, 아이와 함께 이 책을 읽으면 온 가족이 절기에 대해 이해하고 풍습이나 먹거리를 함께 나누며 계절을 제대로 느끼게 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혹자는 24절기를 아이가 알 필요가 없다고 생각할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사계절이 뚜렷한 우리나라의 아름다움, 선조들이 살아온 지혜, 그에 따른 풍습과 먹거리, 속담 등까지 24절기는 24개의 단어가 아니라, 우리의 삶 그대로를 반영한 것으로 생각한다면, 아이뿐 아니라 어른에게도 반드시 알아야 할 것들이 아닐까? 이 책을 사두고 일 년에 24번씩, 몇 년간 아이와 꺼내 보며 “오늘은 큰 추위가 찾아오는 대한이네”, “오늘은 밤이 가장 긴 동지고, 팥죽을 먹는 날이야.” 등의 이야기를 나눈다면 우리의 1년은 한결 풍성해지리라 생각한다.
우리의 달력을 소복이 채우는 24절기처럼, 우리의 1년이 (어쩌면 선조들의 평생이) 꾹꾹 눌러 담긴 선물세트 같은 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