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인 - 남의 것도 내 것으로 만드는 소유의 법칙
마이클 헬러.제임스 살츠먼 지음, 김선영 옮김 / 흐름출판 / 2022년 9월
평점 :

가치 있는 것은 한자리에 오래 머무는 법이 없다. 이 사람 저 사람 주인을 바꾸며 돌아다닌다. 어떻게 옮겨 다니는 걸까? 대개는 사고파는 과정을 거쳐 옮겨간다. 그렇다면 파는 사람은 그 물건을 어디서 얻었을까? 또 다른 판매자에게 얻었다. 이렇게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이어진다. (p.293)
소유권 논쟁. 무슨 생각이 먼저 떠오르는가. 나처럼 단순히 특정 '물리적인 어떤 것'에 대한 '주인'을 가리는 일만 떠오른다면 매우 1차원적인 '소유권'만을 알고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 (이 책을 읽고 나니, 가질 수 있는 '무형'을 떠올렸다고 해도 2차원은 아닌 것 같다) 소유권은 단순히 유형물을 가지는 것이 다가 아닌 귀속권, 자기 소유권, 상속권, 점유 등의 포괄적 개념이며 심지어는 선착순조차 깊게 들여다보면 소유권이란다. 무엇인가를 가져야 '부'도 가질 수 있는 시대에, 결국 소유권의 개념을 제대로 알지 못하면, 소유의 경쟁에서 뒤처지는 것은 당연한 귀결은 아닐까.
이 책을 읽으며 '선착순'에 대해서도 처음 생각이란 걸 해봤다. 단순히 '줄 선 순서'라는 정도의 개념만을 가지고 있던 나는 이 원칙에 대해서도, 이로 인한 경제적 이득에 대해서도 제대로 생각하지 못했던 것 같다. 우리가 단순히 햄버거 등을 사 먹는 줄을 섰다면, 누군가는 그 줄을 대신 서주는 사업으로 부자가 된다. 이 책을 읽고서야, 단순한 '줄서기 법칙'을 깨고 누군가의 시간을 돈으로 바꿔준 혁신들을 이미 수없이 경험해왔음을 깨달았다.
디즈니가 미키마우스 저작권 로비를 위해 쓴 자금은 모두 합해 수백만 달러에 이른다. 여기에는 1998년 저작권법을 개정을 발의한 의원 25명 중 19명에게 직접 건넨 정치 기부금도 들어있다. 이렇게 엄청난 자금을 쏟아부었지만, 디즈니와 그 동맹에게는 수지맞는 장사였다. 경제지 <포브스>에 따르면 미키 마우스는 2004년 한 해 매출만 5억 달러로, 생사를 불문하고 그 어떤 유명인보다 수입이 많아 세계에서 '가장 부자인 캐릭터'로 꼽힌다. (p.135)
원래라면 1984년에 '공유저작물'이 되어야 했다는 미키마우스는, 여전히 자신을 도용한 이들을 고소할 수 있는 캐릭터다. '미키마우스 보호법' 때문이다. 물론 2023년 이후에도 우리는 미키마우스를 마음껏 사용하지 못할지도 모른다. 디즈니는 여전히 부자고, 똑똑하며, 빠르기 때문이다. 디즈니가 디즈니의 재산을 챙기는 것이 왜? 라고 반문할지 모르나, 이면에는 볼모로 잡힌 '문화'가 존재했고, '고아 저작물'이 생겨난다고 한다. 나와는 거리가 먼일이라 생각했던 것들이 이미 내 삶에도 밀접히 자리 잡고 있고, 그로 인해 나 역시 영향을 받고 있었다. 나는 몰랐지만.
이 책을 읽으며 나도 모르게 내 주변을 에워싸는 수많은 '소유권'들이 놀랍게 느껴졌다. 어쩌면 소유권의 개념을 벗어나 하루라도 살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까지 들었다. 남의 것을 내 것으로 만들 욕심은 없으나, 내가 내 것을 제대로 지키기 위해서도 노력이 필요하다는 생각도 들었다.
귀여운 미키마우스가 치즈나 집어 먹듯 '깜찍한' 이 책 안에는, 명료하게 정리된 소유권 법칙이 가득 들어있다. 이 책을 열어 그 법칙을 배우고 배우지 않고는 개인의 몫이겠지만, '귀여운' 손으로 내 주머니에서 뭔가를 꺼내고자 하는 이들은 얼마든 있을 것이다. 책을 읽는 내내 눈과 머리가 바삐 움직였지만, 전혀 아깝지 않은 시간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