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남극에서 대한민국까지 - 코로나19로 남극해 고립된 알바트로스 호 탈출기
김태훈 지음 / 푸른향기 / 2021년 1월
평점 :

우리에게도 오랜 시간 고민하고 힘들게 떠나온 여행이었다. 그런 여행에서 부끄러운 기억을 남기고 싶지 않았다. 내가 처한 어려움 때문에 다른 이의 노력의 대가에 인색하지 말자고 스스로 생각해보았다. (p.206)
어느새 2년 가득. 직장생활도 했고 아이도 키우는 터라 완전히 세상과의 고립은 현실상 불가능했기에 야금야금 세상을 만나기는 했으나, 그 모든 순간 우리의 얼굴은 하~얀 상태였다. 우리의 소중한 시간과 추억은 늘 마스크를 쓰고 있었기 때문이다. 물론 나뿐만이 아니라 거의 전 세계가 그랬다. 그리고 지금도 우리는 마스크를 벗는 것이 허용된 야외에서도 마스크를 벗지 않고 살아간다. 이제는 피부처럼 느껴지는 마스크라니.
작년 초겨울 아이네 반 친구가 확진되며 반 전체가 격리하여야 했는데, 평소에 집순이 기질이 강했던 우리 모녀임에도 그 답답함은 이루 말할 수 없었다. 스스로 집에 있는 것과 타의로 집에 있는 것은 매우 다른 얘기였던 것. 그런데 그 격리장소가 바다라면? 심지어 언제 끝날지 알 수 없는 격리 기간이라면? 이 조건을 듣는 것만으로도 숨이 막히는 기분이었다. 그저 즐거운 남극 여행기라고 생각했던 이 책은 신나는 남극 여행 이야기와 배 위에서 여행 중단, 입항 거절, 국경 폐쇄, 공항 폐쇄를 겪은 두 명의 한국인 이야기다.
처음에는 마냥 즐거이 그들의 남극을 엿보았다. 남극을 여행하기 위해서는 배에서 내리기 전에 에어건을 써야 한다는 것에 감탄하며, 빙하나 펭귄의 사진에 감탄하며 1부를 죽죽 읽고 있었는데, 회의실에 찬물을 끼얹은 그 분위기처럼 엄청난 반전이 나를 맞이했다. 코로나바이러스가 각국에 퍼지고 있고, 배 안에서 기침을 하는 이들이 늘어나고 있으며, 그들의 하선은 허락받지 못했다. 그들은 결국 배 위에서 18일을 보내야 했고, 18일간의 우여곡절 끝에야 표조차 검색되지 않는 대한항공 특별기에 몸을 싣게 되었다. 책의 마지막 장에는 미역국과 비빔밥을 기내식으로 받은 그들의 이야기가 나온다. 하필 미역국이다. 나도 그 부분에서 울컥했는데, 아니나 다를까. 작가 역시 첫술을 뜨지도 못하고 울었다고 한다. 그 미역국을 보며 무슨 생각을 했을까. 돌아오지 못할까 불안했던 시간에서 다시 태어나는 기분은 아니었을까.
배에서 내릴 수 없는 우리는 배 위에서, 배에 오를 수 없는 영사님은 육지에서. 우리는 멀리서 서로의 안부를 물었다. 사실 멀리서 영사님이 말씀하시는 내용은 하나도 들리지 않았다. 하지만 무슨 말을 하시는지 알 것 같았다. (p.212)
유독 이 구절이 마음에 길게 남는 것은, 대화가 통하지 않아도 대화를 한 것 같은 마음을 알기 때문이 아니었을까. 어쩌면 그 망망대해에서 한국어가 들린 것만으로도 충분하지 않았을까 싶어서였다.
망망대해라는 말을, 비로소 실감하게 해준 책. 그러나 직접 경험해보고 싶지는 않은 일. 어쩌면 지금도 어느 곳에는 코로나 속에서 '망망대해'의 난처함을 겪는 이들이 있을지도 모른다 생각하니 먹먹하다. 부디 세계를 휩쓴 이 병이 종료되기를, 그럴 때도 있었다며 웃을 수 있는 시간이 오기를 바라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