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 집 채소 생활 - 집에서도 쑥쑥 크는 향긋한 채소들, 기르는 법부터 먹는 법까지
이윤선 지음 / 지콜론북 / 2022년 4월
평점 :

어느 작은 시골에 숨은 듯이 사는 지인에게 왜 그곳에 사느냐 물은 적이 있어. 그랬더니 이곳은 눈이 오면 참 예쁘다고 대답하더라. 눈이 오는 찰나의 풍경을 위해 불편함을 감수하면서 시골에 사는 거야.” “엄마, 자연이 가지고 있는 색이 얼마나 아름다운지 알아? 농촌에 산다는 건 그게 전부야. (p.73)
나는 채식을 선호한다. 채식을 좋아한다고 하면 '좋아한다고 시작해서 채식주의자가 되는 거다', '채소만 먹어서 비리비리(?)하다'라느니 이상한 말을 하는 사람이 종종 있는데 나는 절대 비리비리하지도 않고, 육식을 억지로 피하는 것도 아니다. 육식하면 소화를 잘 못 시켜 '덜'먹은 것이고, “아삭아삭”한 식감을 가진 채소를 좋아하는 거다. 굳이 말하자면 나는 '플렉시테리언'의 1단계 정도랄까. 아무튼, 나를 위한 고기를 사거나 요리하지 않다 보니, 단백질 섭취를 위해 두부 레시피를 다양하게 알고 싶어졌고, 여러 가지 콩을 즐겨 먹게 되었다. 그와 동시에 점점 다양한 채소를, 또 채소를 더욱 맛있게 먹는 법을 찾아보게 되었는데 그 관심이 이제는 '직접 농사짓기'까지 흘렀다. 심심해서 흙에 “꽂은” 파로 지난겨울을 잘 난 것도 한몫했다. 요즘 나의 주식은 아빠 텃밭에서 뜯어온 아기 상추로 만든 겉절이기도 하니, 상추쯤은 내가 지어야겠다, 생각하는 거다.
그러던 찰나, 이 책을 만났다. 만약 채소를 좋아한다면, 이 책이야말로 필독서라고 말해주고 싶다. 집에서도 잘 크는 채소들을 어찌나 다양하게, 잘 적어두셨는지 이 책 한 권만 있으면 “베란다 채소농장”하나 차리는 것쯤은 일도 없다. 이 책은 실내재배를 바탕에 두고 쓰였기에 집 방향에 따른 햇빛의 양, 적합한 화분과 흙의 종류까지 다 알려준다. 그뿐인가. 씨뿌리는 법도 알려준다. (다음 장날에는 시장에 가서 몇몇 씨를 사서 올 셈이다. 굳이 장날을 기다리는 것은, 농사짓는 집 딸인 친구 말이 이런 건 장에 가야 판단다.)
잎채소를 시작으로 허브 채소, 줄기채소, 꽃 채소, 열매채소, 뿌리채소까지 '이게 정말 실내에서 가능해?' 싶을 정도로 뚝딱 농사를 지어내는 작가님. 질투와 부러움을 반반 섞어 책을 읽다 보면 귀여운 일러스트와 사진들로 웃음이 배시시 나온다. 이 포인트가 꼭 채소를 기르지 않을 사람에게도 재미를 줄 수 있는데, 사진 속 채소들은 하나같이 작고 소중하다. 일러스트들은 또 얼마나 매력 넘치는지. 정말 일러스트나 사진마다 캘리를 쓱쓱 쓰고 싶을 만큼 예쁜 책이다.
한낮의 태양이 슬그머니 기울며 햇볕이 노란색, 보라색, 초록색 세 가지 색의 줄기 콩을 내리쬐고 있었다. 빛을 받은 줄기 콩의 색이 아름다워 이때가 아니면 알록달록한 색을 놓칠 것만 같아 곧바로 수확했다. 곧 다가올 여름의 기운으로 쑥쑥 자란 풀 틈에 줄기 콩을 놓고 사진을 찍었다. 그날의 풋풋한 기분과 색색의 설렘은 선명히 기억한다. (p.158)
나만 빼고 모두가 그대로인 것처럼 보였던 그날의 모습이 홍성으로 돌아오는 내내 알 수 없는 고립감에 휩싸이게 했다. (...) 아무도 없는 무인도에 서서히 들어가는 기분으로 매번 눈물을 훔쳤던 시절이 있다. (p.117)
이 책의 참 매력은 이거다. 채소를 기르는 '안내 책자'인 척하지만, 삶에 대해 툭툭 던지는 한마디, 한마디. 그래서 책을 읽으며 괜히 끄덕끄덕 고개를 흔들기도 하고 측은한 마음이 들기도 했다. 아무래도 작가님은 채소만 기른 게 아니라 자신의 마음도, 문장력도 함께 기르신 모양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