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쭈글쭈글 애벌레 ㅣ 과학 그림동화 9
샬럿 보크 그림, 비비언 프렌치 글, 장석봉 옮김, 김성수 감수 / 비룡소 / 2001년 9월
평점 :
품절

벌써 4월이다. 식목일이면 나무도 심고, 묘목도 나눠주고 했던 것 같은데 우리 아이들은 코로나 사태로 잃어버린 것들이 정말 너무나 많은 듯하다. 식목일에 개별적으로나마 마당이 있으면 나무를 심고, 아파트라면 화분이라도 좀 들이면 좋겠지만, 여력이 안 된다면 책으로라도 아이와 나무 한 권(!) 심어보면 어떨까? (나무를 베어 만드는 책으로 나무를 사랑하라고 하면 너무 모순일까) 아무튼 자연을 주제로 읽기 좋을 책을 소개하고자 한다..
오늘 소개할 책은 “쭈글쭈글 애벌레”이다. 아이의 눈으로 나비의 생애를 그려내는 책으로, 작은 풀잎 하나, 애벌레의 변화 하나 허투루 보지 않는 고운 눈으로 생명을 이야기한다. 아이는 우연히 만난 알에서 애벌레, 고치, 나비에 이르기까지 천천히 관찰하고 기다리며 자연과 하나가 되어간다. 일러스트도 매우 상세해, 아이와 읽는 재미가 쏠쏠하다.
글 밥이 적은 편은 아니다. 그러나 그 문장들 속에서 분명 자연의 소중함을 만날 수 있고, '나'가 관찰하는 시선을 따라간다면 다양한 표현, 어휘 등을 익히는 것도 가능하다. 완전한 관찰자의 시선으로 정원과 나비의 생장 과정을 묘사하기 때문에 마치 잘 기록된 관찰일지 같다. 작은 화초를 키우거나 생명체를 키우며 아이가 직접 관찰하고 기록하게 한다면 더할 나위 없이 좋은 교육이 되리라 생각하여, 아이가 유치원에서 받아온 화분 옆에 수첩을 가져다 두었다.
우리 집에서는 일러스트를 따라 자연관찰도서를 찾아보며 실사 상태로 쐐기풀, 완두콩 줄기, 애벌레, 번데기, 공작나비, 쐐기풀나비 등을 관찰하며 독서를 확장했다. 여아들이 성장할수록 자연관찰도서를 점점 멀리하는 경향이 많은데, 이렇게 다정한 일러스트의 그림책과 연계하니 거부감없이 자연관찰 책을 읽어 더욱 좋았다. 장기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밭이나 정원 등이 있으면 가장 좋고, 혹시 없다면 곤충박물관이나 식물원 등을 방문한다면 특별한 독후활동 없이도 아이가 자연의 소중함을, 생명의 귀함을 배울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더욱 확장한다면 마무리로 환경관까지 방문하여, 나비가 오래오래 살 수 있는 환경을 이어나가도록 하면 정말 완벽한 독후활동이다!
우리는 주말농장과 생태공원, 지구과학관 등을 연계하여 매우 알뜰히 독후활동을 할 수 있었다. 요즘 우리 아이의 최고 관심사는 “지구”로, 환경이 오염되어 지구의 온도가 5℃ 상승하면 지구는 정말 멸망하는지, 막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 지 등이었기에 우리에게는 더욱 알찬 독서였다. 실제 요즘 나비 개체 수가 많이 줄었다는 기사를 본 적이 있는데 이 책으로 나비를 보여준 후, 환경에 대해서도 다시 이야기해줄 수 있어 더욱 좋았다. 아이가 블로킹하며 나비 같은 작은 생명이 살기 좋은 지구를 만들어감에 일조하고 있다는 즐거운 마음을 갖게 하기도 했다.
우리가 어릴 때는 자연에서 쉽게 만나던 친구들을 이제는 만나기가 어렵다. 자연이 오염되며 점점 만나지 못할 친구들이 많아진다 생각하니 걱정이 앞선다. 이렇게 좋은 책들을 통해 아이에게 자연의 아름다움을, 자연의 소중함을 알려준다면 그 걱정이 줄어들 수 있겠지? 많은 엄마가 이렇게 고운 책을 아이들에게 많이 보여주시면 좋겠다.
우리는 이렇게 읽었어요.
1. 책의 일러스트를 따라 자연관찰 책을 같이 읽어요.
2. 할아버지의 농장, 식물원을 방문하고 집 근처 지구과학관에도 다녀왔어요.
3. 나비나 쐐기풀 등, 우리가 쉽게 지나칠 수 있는 작은 생명을 일상에서 관찰해요.
4. 작은 생명도 귀해서, 우리가 잘 지켜주어야 한다는 것을 이야기 나누어요.
(조금 더 큰 아이라면, 주인공처럼 자연관찰일지를 써봐도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