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가스라이팅 - 당신을 심리적으로 지배하고 조종하는 사람에게서 벗어나는 방법
스테파니 몰턴 사키스 지음, 이진 옮김 / 수오서재 / 2021년 10월
평점 :

그러나 진실은, 가스라이터는 한번도 당신의 친구인 적이 없었다는 것이다. (p.268)
이토록 자극적인 문장으로 이 책의 리뷰를 시작함이 마음이 아프다. 그러나 혹시라도 가스라이팅을 당하고 있으면서 두려움 때문에 망설이는 이가 있다면, 부디 하루라도 빨리 괴로움에서 벗어나길 바라는 마음에서 이 문장을 택했다. 사실 스스로가 가스라이팅을 당하고 있다는 것을 사실은 그 누구보다 본인이 가장 잘 안다. 다만 받아들이지 못할 뿐.
우리가 그들의 가스라이팅을 쉬이 가스라이팅이라고 판단하지 못하는 이유는 사실 간단하다. “그들은 당신이 괴로워하기에 충분할 정도로, 그러나 증명하기엔 불충분할 정도로만 괴롭힌다. (p.117)” 그래서 스스로도 이게 정말 가스라이팅인지, 내가 가스라이터와 시간을 소비하고 있는지 헷갈려한다. 하지만 생각해보면 누군가 반복적으로 내 마음을 힘들게 한다면 그 사람이 내게 좋은 사람이 맞을까? 그 선상에서 생각해보면 결론을 내는 일은 한결 쉬워질 것이다.
사실 나 역시, 이 책을 쉽게 읽지 못했다. 이 책을 읽는 내내 머리에 떠오르는 사람이 있었기 때문이다. 처음에는 이 사람도 가스라이터일까하는 생각으로 이 책을 열었고, 이 책을 덮을 때에는 이 사람은 가스라이터이자 가스라이팅을 당하는 딱한 영혼이었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연민을 가질 필요는 없지만 말이다. 내가 이 말을 굳이 적는 이유는, 사실 대부분 가스라이팅에 노출된다는 것을 말하고 싶었다. 특별히 나약한 누군가만 당하는 일도 아니고, 특별히 사악한 누군가만 가하는 일도 아니다. 우리는 때때로 모두 가스라이터가 되기도 하고, 가스라이팅을 당하게 되기도 한다. 그게 이 책을 더 많은 사람이 읽어야 하는 이유다.
이 책을 더욱 권하고 싶은 이유는 구성이 너무나 좋다. 이 책의 저자가 서문에서 굳이 차례대로 모든 장을 읽어달라고 간곡히 부탁한 이유를 너무나 절절히 알겠더라. 감정적 호소에서 전문적 지식까지를 모두 담아냈기에, 정말 누군가에게는 한줄기 빛이 될 책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여전히 흔들리고 있던 내게도 저자는 계속 말했다. “stop. 너 자신을 위해서 이제는 stop.”이라고. 그리고 나는 그 소리에 고개를 끄덕이며 이 책을 읽었다.
그 사람은 자신의 행동을 책임지지 않고 당신의 감정을 인정해줌으로써 이해받는다는 기분이 들도록 당신을 조정하는 것이다. 가스라이터는 당신에게 얻을 게 있을 때에만 사과한다. (p.28)
가스라이팅에서 우리는 “후버링”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당신이 멀어진다 싶을 때, 가스라이터가 당신을 다시 흡입하는 방식을 묘사하는 말이다. (p.69)
만약 가스라이터를 향한 애정이, 가스라이터로 인한 괴로움보다 큰 상태라면 이 책은 다소 아프게 읽힐 수도 있다. 저자는 끈임없이 그 덫에서 나가야 한다고 말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괴로움이 즐거움보다 큰 관계라면 당장 아플 것을 각오하고서라도 벗어나야하기에, 치유되어야 하기에 이 책이 던지는 쓴소리는 약이 될 것이다. 아주 작은 의심의 씨앗이라도 든 채 이 책을 찾은 것이라면, 꼭 그 약을 먹고 더는 아프지않기를 바란다.
책의 말미에 치유법이 담겨있는데, 이 파트의 소제목이 “당신 스스로를 도와라”였다. 나는 어쩌면 이것이 가장 중요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스스로를 도울 생각이 없을 때 주변에서 아무리 이야기해봐야 그것은 마음에 닿지 못하기에 이 소제목은 더 큰 의미를 가진다고 생각한다. 이 파트는 분량이 많지는 않으나, 꽤 다양한 치료법을 담고 있기에 각각에게 나름의 해결책을 제시해주리라 생각된다. 우리 사회가 발달하면 할수록 각기의 성향은 더욱 다양해질 것이고, 우리가 맺는 관계들도 과거의 그것과는 점점 다른 양상으로 바뀌어간다. 그러나 절대 바뀌지 않을 한가지는 “나를 도울 절대적 한 사람은 나”라는 것이다. 김혼비 작가가 한 말처럼 누구에게도 늦지 않게 이 책이 건네져야 하는 이유도 아마 그 점에서 일 것이다.
세상에는 분명 다양한 가스라이터가 존재한다. 그들은 때때로 선의 얼굴을 쓰고 있고, 내게 필요한 것을 제시할 때도 있겟지만 “그렇다고해서 당신이 그들을 참아줘야 하는 건 아니다. (p.252)”는 말을 부디 그냥 넘기지 않았으면 좋겠다. 내게 그랬던 것처럼, 당신에게도 이 책이 쓰지만 좋은 약이 되기를 간절히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