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카운트다운 1945 - 인류 최초의 원자폭탄 투하 전 116일간의 비하인드 스토리
크리스 월리스.미치 와이스 지음, 이재황 옮김 / 책과함께 / 2020년 10월
평점 :
비행기는 아직 전혀 안전하지 않았다.
티베츠는 비행기가 충격파를 견뎌낼 수 있을지 의문스러워하며 충격파에 대비했다. 이것이 우리들에게
마지막 순간일까? (p.315)

일본에 원자폭탄이 떨어진 1945년 8월 6일. 7만여명의 목숨이
희생되었다. 미국이 더 많은 원자폭탄을 가졌을 리 없다고 판단한 일본은 항전을 했고, 3일 뒤 나가사키에 또 하나의 원자폭탄이 떨어지며 8만명의 “새로운” 희생자가 생겨났다. 물론
이 수치는 단순한 “사망자”이며 22만명 이상이 죽고, 수없이 많은 피폭자는 실명 등 일일이 거론하기도
힘들만큼 후유증을 앓았다. 그렇게 일본은 패전했고 모두가 알다시피 우리는 나라를 되찾았다. 10일이 채 되지 않는 시간. 어쩌면 우리의 광복에 원자폭탄은 직접적인
영향을 끼친 게 분명한데, 우리는 원자폭탄의 경위에 대해 그리 상세히 학습 받지 못했다. 그것이 우리의 의지인지, 우리의 독립을 “도운” (이에 대해서는 다소 할 말이 많으나 이 글에서는 하지 않기로
한다.) 미국의 의지인지 알 수 없지만 아무튼 우리에게는 다소 가려진 이야기라고 생각되어 진다.
사실 이 책을 처음 펼치던 날, 다소 복잡한 마음이었다. 미국에서 그렇게 인기가 많았다는 이 책이 왜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낯선 느낌일까 하는 마음과 내가 선입견 없이
읽어낼 수 있을까 하는 복합적 마음이랄까. 그러나 나는 이 책을 펼쳤고, 다 읽었다. 어쩌면 읽기 전보다 복합적인 마음이 되긴 했으나, 한가지 분명한 것은 조금 더 진중한 마음으로 과거를 짚어보게 된달까.
이 책은 원자폭탄이 떨어지기 전 116일에서부터 이야기가 시작된다. 사실 원자폭탄에 대해 그리 깊은 지식을 가진 게 아니었던 터라 이 논픽션은 낯선 느낌이 강했으나, 책에서 종종 만나지는 트루먼 대통령의 고민과 폭탄의 비극적 단면 등을 만나며 역사의 양날에 대해 깊은 고민을
했다. 폭탄을 터트리는 결정권자인 미국 대통령의 고뇌, 폭탄을
만든 과학자들의 후회 등 만약 나였다면 어떤 선택을 했을까 계속 고민하고 생각하게 했다. 이 책은 덤덤한
말투로 이어지기는 하나 D-day를 향해가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마치 한 권의 소설책을 읽는 듯한
긴박함마저 느껴졌고 나중에 분 단위의 기록이 이어질 때에는 먹먹하고 힘든 마음이 들기까지 했다.

우리는 절대 항복하지 않고 절대 패배를 바다들이지 않기로 유명한 적과
싸우고 있었습니다. 도덕성과 전쟁을 함께 놓고 이야기하기는 정말 어렵습니다. (p.381)
아마 이 두 줄이 내 마음 모두를 이해하는 말이 아닐까 싶다. 일본의
패전으로 인한 우리의 광복, 수많은 인류의 희생, 그리고
그 희생이 막은(비약적으로 말하자면) 다른 인류의 피해까지
생각해보며 온 마음이 복잡했는데, 이 부분을 읽는 순간 울컥 감정들이 터져 나왔다. 맞다. 도덕성과 전쟁을 어찌 같은 선에 두겠는가. 이 둘은 절대 같은 선상에 있을 수 없는 단어다. 이 책에 가득히
담긴 회환의 감정들과 선택의 기로 등은 나를 한참이나 고민하게 했다. 그동안 내가 가지고 있던 생각들을
흔들고, 또 흔들며 나는 생각하게 하고 고민하게 하고 반성하게 했다.
이 책이 어떠냐고 묻는 이들에게 나는 쉬이 대답을 할 수 없을 것 같다. 원자폭탄에
대해, 또 전쟁에 대해, 인권인 인류의 희생에 대해, 광복에 대해, 일본에 대해, 또
미국에 대해 다양한 감정이나 의문을 지닌 모든 사람이 읽어보면 좋겠다는 생각은 아주 분명하나 그로 인해 만나게 될 양날의 검이 꽤 묵직했기 때문이었다. (물론 내가 과하게 생각이 많은 탓인지 모르겠으나.)
아무튼 이 책으로 인해 나는 우리의 역사에 대해, 미국이나 일본에
대해, 폭탄과 전쟁에 대해 많이 생각하게 되었다. 아마 그것만으로도
이 책은 자신의 역할을 다했으리라. 그런데 그로 그치지 않고 담담히 이야기를 이어가고 여전히 “현재진행형”인 전쟁에 대해 더 많은 이야기를 남긴다. 이 책을 읽는 내내 나는 또 작아지고 또 고민했다. 여전히 그 모든
사실을 완전히 받아들이지는 못했겠지만 대신 그 고민은 일상에서 나누는 단순한 고민과는 차원이 달랐다.
전쟁. 양날의 검. 어느
쪽이든 아프다. 하지만 아프고 끝나면 같은 역사는 반복되고 만다. 어쩌면
그 반복을 막기 위해, 우리는 끊임없이 읽고, 쓰고, 공부해야 하는 건지 모르겠다.
#협찬도서 #카운트다운1945 #책과함께 #크리스윌리스 #미치와이스 #지금읽는책 #읽고있는책 #독서 #취미 #책읽기 #책추천 #책소개 #책마곰 #좋아요 #좋아요반사 #좋아요테러 #도서 #도서리뷰 #리뷰어 #독서감상문 #소통 #공감 #읽는습관 #책을읽읍시다 #책사랑 #책탑 #책속구절 #추천도서 #원자폭탄 #비하인드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