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추 먹고 맴맴 - 조상의 슬기와 얼이 담긴 전래동요 처음어린이 1
김원석 지음, 정승희 그림 / 처음주니어 / 2008년 12월
평점 :
절판



두껍아 두껍아 헌짓줄게 새집 다오!!

어린시절 친구들과 모래사장에서 누구의 성이 더 멋진 성이 되는지 수 없이 노래를 부르던 생각이 난다. 전래동요는 어린시절의 추억이면서 동시에 우리 조상의 슬기이다.

 

어린시절 많은 놀이와 함께 전래동요를 익혔다 생각했었는데, 책속에 실린 전래동요는 모르는게 반이었다. 알고 있었지만 그동안 잊어버린게 대부분이었다. 이렇게 좋은 동요를 왜 잊고 있었을까. 우리아이들에게 알려주면 얼마나 재미있었을텐데 하는 생각이 든다. 세월과 함께 점점 잊어져 가는 옛 조상들의 얼과 슬기가 안타깝기만 하다.

 

<고추 먹고 맴맴>은 이렇게 우리들이 점점 잊혀져가고 있는 전래동요를 동화로 창작해낸 것이다. 현대 동요에 익숙한 아이들에게 전래동요는 조금은 생소한 노래이지만 노래를 함께 부르다보면 어느순간 전래동요의 매력에 빠질 것 같다. 어린시절 동무와 함께 놀며 불렀던 노래를 내 아이와 함께 부르니 더욱 더 즐거움이 배가 된다.

 

전래동요는 자연의 모습 그대로를 보여졌으며, 힘든 일의 활력소 역할을 했다. 모든 흥이 고스란히 담겨있다. 힘든일도 노래와 함께 했던 우리 조상들처럼 아이들의 놀이에서도 흥을 돋우는 것이 바로 노래였다. 책의 제목인 고추먹고 맴맴, 두껍아 두껍아 등등 40여편의 전래동요를 엄마사랑, 가족사랑, 일과놀이, 자연, 곤충과 동물 5가지의 주제로 나누어 실려있다.

 

책을 읽다보면 자연스레 자연의 모습을 그리며 상상하게 되고 신나게 노래를 익히다 부르다 보면 놀이 또한 즐기게 된다. 어느 순간에는 그 흥겨움에 동심 그 즐거운 상상속으로 돌아가게 된다. 아이들 또한 자연을 알게 되고, 곤충, 동물 그리고 가족들의 끈끈한 정을 알게 되는 일석이조 이상을 얻게 된다.

전래동요와 함께 읽는 동화 즐거움 가득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숭어 - 어린이를 위한 세상에서 가장 훌륭한 이야기, 마음을 키워주는 책 1
김정빈 지음, 오성수 그림 / 처음주니어 / 2008년 11월
평점 :
절판


 
짧은 여러가지의 이야기가 다양하게 실린 <숭어>는 읽다보면 웃음이 절로 나거나 때로는 눈물이 절로 흐르는 이야기들이다. 착한 마음을 가꾸고, 명랑한 심성을 기르고, 슬기로움을 깨닫고, 꿋꿋한 품성을 배우며, 행복을 발견하는 5가지 분야로 나누어져 많은 이야기들로 하여금 많은 것을 배우도록 한다.

 

어린시절부터 이야기를 좋아했던 특히나 우화를 더 좋아했던 것 같다. 내용도 짧아서이긴 하지만 그 속에서 우리가 알지 못했던 삶의 지혜 그리고 철학 등 많은 내용을 배울 수 있어서 더 좋아했을지 모르겠다. 조금만 내용이 길어지면 싫어하는 기색이 역력한 아이들도 우화나 삶의 지혜가 깃들여진 이야기는 귀를 기울여지게 되는데 그 이유는 아마도 지혜로움이 가득한 이야기가 재미있고 유익하게만 들렸기 때문일테다.

 

<숭어>속의 이야기는 실제로 있었던 일, 그리고 우화, 여러나라의 이야기, 작가가 창작한 이야기등 다양한 이야기가 실려있는데, 그중에 가장 인상깊었던 이야기는 책의 제목과 같은 숭어이야기이다. 자신이 가진 떡보다 남의 떡이 더 커보인다는 속담처럼 어린숭어는 자신이 위치한 곳보다 전혀 모르는 곳에 대한 동경, 하지만 그것도 아무것도 아님을 깨닫게 되는 내용이다. 남의 위치는 대단해보이고 자신은 비관해하는 많은 요즘 사람들 그리고 나 자신의 이야기 인것 같아 많은 생각을 하게 된다.

 

책속의 많은 이야기들은 재미와 함께 어린 우리 아이들에게 많은 것을 깨우쳐 주고 있다. 부모님들과 함께 읽으면서 많은 이야기를 나눌 수 있다면 더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달라달라 파랑새 그림책 73
이치카와 사토미 글.그림, 조민영 옮김 / 파랑새 / 2008년 11월
평점 :
절판


 
책 속 내용을 보기 전 표지만을 봤을 때 "달라달라" 무엇을 말하는 걸까. 주인공을 보이는 꼬마 아이가 혹시 무엇을 달라는 표현은 아닐까 아니면 무엇과 다르다는 표현일까 이런저런 고민을 했었다. 달라달라는 마을을 다니는 작은 버스를 말하는데, 버스요금이 일달러였는데 그 때 생긴 이름이 지금까지 이어오고 있다고 한다.

 

이 책은 아이들이 앞으로 갖게 되는 직업에 대한 이야기가 담겨 있다.

좋은 직업을 갖기를 원하는 할아버지의 의미를 몰랐지만 어느날 아빠와의 나들이 속에서 쥐마는 자신에게 맞는 가장 좋은 직업을 찾게 되는 과정을 이야기하고 있다.

 

아이가 4살쯤 앞으로 무엇이 될래 물었을 때 아이는 버스기사님이 된다고 해서 조금 당황을 했었다. 자기를 어린이집에 태워주시는 아저씨의 모습이 최고로 보였기 때문이라 생각은 든다. 아마도 더 좋은 직업을 이야기 했으면 흐믓했을지도 모른다. 매번 바뀌는 아이들의 희망 직업 때문에 미소를 짓기도 한다. 직업의 귀천이 없다고는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편견과 다른 시선을 가지고 직업을 선택하고 때로는 그 직업을 평가하기도 한다.

 

달라달라 운전을 하는 아버지를 따라 운전사가 되고 싶었던 쥐마에게 할아버지는 더 좋은 직업을 가지라고 말을 하지만 작은 섬마을에 사는 쥐마에게는 더 좋은 직업이 어떤 것인지 모른다. 멀리 멀리 항해하는 커다란 배와 하늘을 날아다는 멋진 비행기를 보면서 쥐마는 생각한다. 자신이 생각하는 가장 좋은 직업이 무엇인지를...

 

부모가 원하는 직업, 아이들이 원하는 직업이 다를 수도 있을 것이다. 조금이라도 편안하고 여유 있는 삶을 바라는 부모의 시선과 순수한 아이들의 상상하는 직업은 분명 다를테니까. 아이들과 미래의 직업에 대해 이야기 해보지만 아직 잘 모르는 것 같다. 무작정 좋은 직업을 가지라는 말보다는 아이들의 행복을 위해 자신의 만족을 위해 하나 하나 시선을 맞춰가는 노력이 필요 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잔잔하고 아름다운 수채화 풍경으로 전혀 다른 문화를 가진 나라가 있다는 사실과 우리가 알지 못하는 곳의 모습을 엿볼 수 있어 좋았다. 쥐마가 멋진 직업을 찾았듯이 우리 아이들도 가장 좋은 직업을 찾기를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리제트의 초록양말 파랑새 그림책 74
카타리나 발크스 글 그림, 조민영 옮김 / 파랑새 / 2008년 11월
평점 :
절판


 
아이가 어렸을 때 놀이터에서 어느날 조그만 막대기 같은걸 주워와서는 엄마 이거는 뭐야??하는데 보니 개똥이었답니다. 어찌나 놀랬는지 아이를 마구 다그쳐 혼을 내기는 했지만 지금와서 생각해보면 참 아이들은 흥미로운 존재라는 생각이 듭니다. 그냥 지나쳐버릴 쓰레기나 더러운 것들을 꼭 주워서 그것이 무엇인지 자기에게 어떻게 필요한지 고민을 해보는 모습에 어른들은 많이 당황하지만 아마도 자연스러운 아이들의 모습일 것입니다.

 

하늘색 이쁜 스카프를 하고 초록색 양말을 신고 있는 책 속의 주인공 리제트도 우리 아이들과 같은 모습을 하고 있네요. 어느날 주워 든 초록 양말 한짝을 발견하고는 정말 운이 좋은 날이라고 생각합니다. 친구들과의 이야기끝에 양말은 두짝이 다 있어야 제대로 쓸모가 있다는 말을 듣고는 또 하나를 찾으러 다닙니다. 엄마가 씻어 준 양말 한짝을 본 친구인 베베르는 저렇게 생긴 초록색 모자가 갖고 싶었다고 말을 합니다.

 

양말을 이쁜 모자로 생각한 베베르를 보면서 아이들을 모습을 또 한번 떠오르네요. 양말을 장갑으로 쓰기도 하고, 인형의 모자라며 씌어주기도 하면서 너무도 즐겁고 행복해 하는 모습을 말입니다. 우연히 주워든 초록색 양말 하나는 리제트와 그의 친구들에게는 정말 특별한 존재가 됩니다. 근사한 모자가 되기도 하고, 포근한 담요가 되기도 하니깐요.

 

쓱싹쓱싹 그려낸 수채화는 다소 엉뚱한 이야기일지 모르는 <리제트의 초록양말>의 매력을 더해주고 있습니다. 잃어버린 양말 한짝은 아무 쓸모 없는 존재가 아니라 무엇이든 될 수 있고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주어 아이들의 무한한 상상의 나래를 펼칠 수 있게 해준다. 어린시절 구멍난 양말을 꿰매어 인형을 만들어 주신 부모님의 깜짝선물에 동생들과 너무도 행복했던 시절이 회상이 됩니다. 리제트가 주워든 초록색 양말 덕분에 행복한 시간이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글, 우리말을 담는 그릇 우리문화그림책 온고지신 5
남경완 지음, 정성화 그림 / 책읽는곰 / 200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늘 우리곁에 있는 가장 소중한 우리것 중의 하나가 바로 한글이라는 것을 안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한글날은 그저 하루 쉬는 날로 알고 있었으며, 그마저도 쉬지 않는 요즘은 한글날이 언제 인지 모르게 그냥 스르륵 넘어가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번 한글날도 그랬다. 책을 받아들기 전에는 한글날의 의미를 다시 한번 되새겨보겠다고 다짐을 했었지만 어영부여 하루가 다 지나고서야 한글날이었다는 것을 알게되어 괜시리 한글을 만든 모든분들에게 죄송한 마음이 들었다.

 

한글, 우리말을 담는 그릇이라는 표현이 정말 마음에 든다. 늘 생각하는 것이지만 우리말처럼 우리의 생각을 고스란히 담아 낼 수 있는 언어가 이 세상에는 없다는 사실에는 자신감이 충만해진다. 노르스름하다, 푸르스름하다. 둥글납작하다등등 온갖 눈으로 보거나 생각해내는 것을 표현할 수 있다는 사실에 정말 놀랍다. 이런 한글에 대한 자랑스러움을 아이들은 얼마나 알고 있을까. 자신들이 말하고 글을 읽고 있다는 사실은 알지만 누군가의 노력에 의해 얻어진 산물이라는 것은 아마도 많은 수의 아이들은 모르고 있을 것이다.

 

이 책속에는 한글을 만들게 된 이유 그리고 수 많은 어려움이 있었을 창제과정등을 아이들이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 놓고 그림을 통해 알려주고 있다. 중국의 앞선 문화를 받아들이기 위해 한자를 쓰게 되었지만 글을 모르는 백성들은 너무도 힘들었으며, 세월이 흐른 뒤 일본치하에서 또한번 우리글을 잃어버렸던 일들을 알려주어 한글의 중요성 그리고 앞으로 자라나는 아이들이 어떤 자부심을 가지고 있어야 하는지, 그렇게 만든 한글을 어떻게 바르게 써야하는지를 스스로 알게 만든다.

 

요즘은 인터넷의 발달로 제대로 된 한글이나 우리말 대신 신조어가 많이 생겨나 점점 무슨말인지도 모르는 정체불명의 언어들이 생겨나고 있다. 가끔씩 나도 모르게 그런글을 사용하게 되고 재미있어 하고 있지만 자라나는 아이들에게 제대로 된 한글보다 이름모를 언어들을 먼저 배우게 되는 것이 안타깝게만 느껴진다. 한글을 창제하신 분들의 감사하는 마음을 다시한번 되새기고, 한글을 쓰고 있는 사실에 또 한번 뿌듯한 기분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