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북유럽 신화, 재밌고도 멋진 이야기
H. A. 거버 지음, 김혜연 옮김 / 책읽는귀족 / 2015년 12월
평점 :
내용이 방대하다.
이름들이 무지 어렵다 ㅎㅎ
기억하기에 좀 어렵기도 하고 길기도 하거니와 여러가지 이름으로 불린다.
이름이 기억에 쏙쏙 들어오지 않으니 읽다가 앞에로 돌아가서 관계를 다시 확인해야 한다.
뒤로 가면서 자주 등장하는 이들은 반복된 이름으로 기억에 남기도 하지만 그리스로마신화처럼 이미 기억속에 많이 남아있는 신화속 인물이 아니기에 공부하는 기분이 든다^^
그리스로마신화와는 인물들의 성향도 좀 다른편이라 조금은 생소한 북유럽 신화속 인물들은 가볍게 넘어가지 않는다.
그래도 동화속에서 읽었던 내용들이 몇개 등장하고 영화속에서 봤던 장면들, 등장했던 인물들과 연결되는 부분이 있어 색다른 재미가 있다.
북유럽신화의 배경이 되는 노르웨이 등의 국가에 기독교가 들어가면서 이교도의 문화를 배쳑하게 되어 그리스신화가 그 자리를 차지하고 그들 고유의 신화가 사라진 것이 우리에게 생소한 이유란다.
하긴 우리나라도 일제가 식민지로 지배하는 동안에 가장 기본이 되는 문화, 언어, 생활에서 배척과 변화가 있어 왔으니 어디서나 그런 원리는 같은 방법으로 진행된다.
내것이 없어 지는것...
내용을 읽다보니 반지의 제왕이나 토르, 나니아 연대기 같은 영화속에 등장하던 인물들이나 자연, 배경의 느낌들이 매치가 되고 이해가 된다.
영화를 보면서 독특한 등장인물들이나 내용전개에 색다르다 싶어서 작가의 상상력이 놀랍다 싶었는데^^ 그냥 나온게 아니었다.
그러고 보니 인기있는 게임속 캐릭터들, 오페라에 등장하던 장면들에서도 이런 모습들을 볼수 있었다.
다만 이런 신화를 제대로 읽을 기회가 없었을 뿐이지 우리 주변에서 북유럽 신화는 꽤 가까이 있었던 셈이다.
그리스 신화와 기독교에 오래도록 익숙해 있는 입장에서는 북유럽 신화는 꽤 차별된 내용들이다.
기독교의 세상의 창조 부분과 비슷하게 전개되는 내용들이 있지만 그 진행되는 내용들은 완전히 다르다.
기독교에서는 하나님의 계획속에서 차근차근 순서대로 세상이 모습을 갖춰나간다.
그러나 북유럽신화 속에서는 신들도 의도와 상관없이 생겨나고 어디서 시작됐는지 알수 없는 거인들이 등장하고 생겨나고 거인의 시체로 세상이 구성되고 그 안에서 새로운 존재들이 또 저절로 생겨난다.
선하고 악한것이 고르게 같이 생겨나고 신들도 거인들도 그들의 본성속에 선과 악을 기본적으로 같이 공존시키며 드러낸다.
반지의 제왕에 등장하던 인물들의 여러 성향들, 모습들의 특징이 이해된다.
그래서일까?
북유럽신화속 신들은 왠지 너무 폭력적이고 전쟁을 즐기고 성격적 기복이 많아 왠지 폭군이 연상된다 ㅎㅎ
북유럽의 기후, 자연환경등에 기인한 성향이나 모습들이기에 영화속에서 느꼈던 자연적 색다름이 그들만의 이야기로 만들어졌다는 것이 살짝 이해되기는 하다.
그래서 그 지역을 가보고 싶은 마음이 생긴다.
특히나 북유럽신화가 더 독특한 이유는 운문 형식으로 쓰여져있다는 것이다... [옛 에다]라고.
요즘은 이를 바탕으로 한 산문형식의 [새 에다]고 전해진다.
그래서 이 책은 산문 형식으로 풀어가면서 [옛 에다]의 운문도 같이 적어놓아 읽는 재미가 더 해진다.
운문형식만 적어놓았다면 내용이 제대로 이해되지 않았을텐데 잘 풀어놓은 내용들이 있어 같이 비교하는 재미가 훨 좋다.
제우스에 해당하는 신 오딘은 무수한 특징들을 갖고 있어 상황에 따라 불리는 이름이 200개에 달한다고 한다.
그러니 다양한 이름 표기에 기억하기 쉽지 않은게 당연.
동화속에서 읽었던 '피리부는 사나이'도 북유럽신화의 한 부분이었다.
그 사나이가 오딘.
쥐들을 소탕해준 피리부는 사나이에게 댓가를 지불하지 않아 동네 아이들이 모두 그의 피리 소리를 따라가 사라진 이야기까지가 우리가 아는 동화다.
이후의 이야기가 여기에 있다.
그 후 부터는 모든 공식 법령에 피리부는 사나이의 방문 이래 몇년이 지났는지 기록하게 했다고 한다.
그리고 이런 속담이 생겼다고... '피리 부는 사내에게 보수를 내라'
앞에 신 오딘이 외눈박이라고 나온다.
이유는 적혀있지 않다... 원래 그런가?
좀 읽다보면 이유를 알게된다.
태양신 캐릭터에 왜 눈이 하나인지도.
그가 지혜를 얻기위해 미미르(기억)의 샘에서 한모금을 얻는 댓가로 눈 하나를 빼어 주었기 때문이란다.
이래저래 아주 생소한것만은 아닌 조금씩 알고 있던 동화나 여러 부분의 내용들이 연결되는 걸 알게 된다.
이렇게 새로운 지식들이 하나둘 더해지는 기분은 참 즐겁다.
책도 무지 두껍고 내용도 많고 이해를 돕는 자료 그림들도 꽤 있어서 이따금 앞으로 돌아가 내용이나 인물들의 연결되는 부분을 다시 짚어보게는 되지만 흥미있게 읽었다.
그림 자료들이 컬러 있다면 좀 더 생생한 느낌이었겠지만 흑백도 나름 느낌이 있다.
북유럽 자연적, 환경적 특성에 의해 신화속 인물들의 성향이 꽤 폭력적이어서 그닥 친근하게 다가오지는 않는다.
아마 생소하기 때문이 아닐까 싶기는 하다.
이런 생소함이 있기에 또 새로운 영화나 오페라, 이야기들의 소재가 되어 다양성으로 다가오게 되어 즐거움을 더한다.
이런 내용들을 앞으로 더 다양하게 계속 접하다 보면 이들도 친근해지지 않을까 싶다.
누구나 익숙하지 않은 것에게 가까이 가지 않고 경계하게 되는 법이니...
북유럽 신화, 반가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