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낯선 죽음 - 우리는 죽음에 대해 무엇을 알고 있는가? 죽음과 죽어감에 대한 현실적 조언
지안 도메니코 보라시오 지음, 박종대 옮김 / 다봄 / 2019년 12월
평점 :
탄생은
조용히 엄마뱃속에 있다가 어느날 세상으로 나오는 것이지만 죽음은 갑작스러운 사고가 아니면 서서히 준비를 하고 이별을 하고 마음을 정리해야 하는
과정이 진행된다.
그러나
태어남처럼 죽음도 단 한번이라 낯설기만 하다.
그
낯선 죽음에 대해 몸의 반응과 어떤 죽음을 맞이 할지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게 하는 죽음과 죽어감에 대한 현실적 조언들을 담았다.
저자는
유럽 완화 의학계의 대표적 인물이다.
완화
의학은 환자가 마지막 여생을 품위 있고 최상의 삶으로 보낼 수 있도록 돕는 의학의 한 분야. 완치가 불가능한 말기 환자와 가족의 신체적, 심리 사회적, 영적 고통이 완화되도록 의사, 간호사, 사회 복지사, 성직자, 자원봉사자 등 여러 전문가들이 힘을 합쳐 돌보아 주는
것이다(네이버 국어사전).
내용
들어가기 전 나온 마샤 칼레코 시인의 글이 너무나 공감된다.
골골
생명을 연장하면서 어렵게 오래 살고 싶지 않다.
100세
시대인데 그만큼 오래 살고 싶지도 않다.
주변
사람들의 죽음으로 인한 감정의 동요는 내 죽음에 대해 생각하는 것과는 너무나 다르다.
그.런.데...
사람들은 그런 말을 하다가도 막상 죽음을 가까이 느끼게 되면 두렵고 살고 싶어 한다.
삶의
연장은 본능일까?
죽음에서
벗어나고 싶어했던 중국 진시황제가 대표인물이다.
과연 나도 그날을 맞으면 나도 모르는 나를 보게 될까?
요즘은
노년을 위한 준비를 생각해야 하는 시대다.
예전처럼
노후를 가족, 자녀들이 책임쳐 주지 않고 기대를 하지도 않는다.
그것은
요즘처럼 저출산으로 인한 피라미드 인구 구조가 아닌 항아리 구조를 이루는 것을 자료를 제시하면서 돌봄 피라미드를 설명하며 어디에서 죽음을 맞고
싶은지, 누구의 보살핌을 원하는지 등에 대한 내용들이 쭉 전개된다.
죽음에 대해 무엇을 아는가? 라는 주제로 세포, 기관, 유기체의 죽음부터 뇌사, 임사체험 등에
대해서도 깊이 있게 다루어주는데 전문적인 내용이라 내용의 전개가 다소
지루하다.
계속 이렇게 내용이 이어질까? 살짝 우려했는데 2장 임종의 내용으로 들어가면서 차츰 공감과
이해가 생기고 집중하게 된다.
독일인인 저자의 책속 내용에는 유럽의 의료적 방향이 기본이 된다.
우리나라도 요즘 연명 의료에 대해 인식을 하게 되는데 독일에서는 상당히 체계적으로 진행하고 있는
것 같다.
아시아의 문화권은 유교의 정신이 깊이 박혀있어 연명 의료 선택이 상당히 더디게 진행되는 것
같다.
단순히 가족을 위해, 금적적인 이유 뿐 아니라 사람마다 연명을 거부하는 이유는
제각각일것이다.
이 책 속에는 죽음에 대한 객관적인 여러 경우들을 설명하며 스스로의 죽음을 어떻게 맞이할 것인지
스스로 생각하게 한다.
고통에는
답이 없다.
통증치료
3단계가 있는데 표에서 보듯이 강한 진통제 단계일 뿐이다.
그저
고통의 시간을 견뎌내는 것이다.
이
책이 설명하는 완화 의학과 호스피스는 어떻게 다른 것인지도 다루어준다.
임종
단계의 결정을 위한 세 가지 황금율이 있는데 첫째도 둘째도 셋째도 대화다.
충분히
자신의 상태에 대해 알고 마지막을 준비하고 결정하는 모든 것을 당사자, 가족, 주변지인들, 가정의, 담당의사가가 함께 공유하고 나누는 것에 대한
내용이다.
그저
죽음이란 표면적인 내용만이 아닌 태어나기 전부터의 세포에서 부터 온 몸의 장기들의 연계, 살아 있음에 대한 정의 등 다루어주는 내용들이 웬만한
의료서적보다 상세하다.
어렵지
않게 내 몸에 대해 알고 나이들어감, 질병이나 몸 상태의 죽음으로 향하는 단계에서의 변화들에 대해 길지 않지만 핵심으로 요약해서 알려주는
내용들이 언제일지 모르지만 죽음에 대해 이전보다는 좀더 객관적으로 생각해 볼 수 있게 한다.
누구에게나
낯선 죽음 이후는 알수 없지만 그 죽음을 그저 무지한 상태로 맞지 않을수 있게 도움이 될 만한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