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므 몇살때
2월달에
철원서
TS 뛰었다.
대항군으로.
그러니까 내가 조선 민주주의 인민공화국 군인..인민군.
참호 밖은 영하 이십 몇도.
참호 안은 영하 십 몇도.
월요일 아침에 쓰리쿼타가
허허들판에다 뜰궈 놓고 갔다.
그리고선 행정착오로 우린 연본의 팔자 좋은 돼지.
보급 끊겼다.
수욜 아침 아끼던 보급품 다 때고 다 까먹었다.
목-금 제정신 가진 넘 한넘도 없었다.
토 드디어 정신 돌아온 연본에서 구조 왔다.
목-금에 벌어진 일은 없는 걸로 되고 면책되었다.
훗날 언넘이 하이텔서 까발렸다.
다들 소설이라고 하였다.

스므 몇살때
2월달에
칼바람 휘날리는 동해
바닷가
20미터 통신 철탑에 보수공사 올라갔다.
통제 불능으로 턱이 떨렸다.
턱이 아팠다.
어느 순간
모든 고통이 사라졌다.
아무런 추위도 아무런 느낌도 아무런 생각도.
드디어 도를 보았다.
해탈이 바로 앞에 있었다.
십장이 기어 올라와 묶어서 끌어내렸다.

열살이 안되었을때
2월달에
일미터 눈내린 날
팔공산에서
결국
한넘은 얼어죽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Forgettable. 2009-11-29 01: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가끔 너무 춥다가 졸릴 때가 이는데, 그게 2번째 문단의 순간에 아주 아주 조큼 가까웠던 것 같기도요.
따뜻한 방에서 잘 잡시다, ㅎㅎ

Top Secret 2009-11-30 00:00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저 왜 첫 번째 문단마저 술술 읽히는 거죠? 내 정체 뭥미? -_-;
 

다른 '분'들은 어떤지 알 바 없지만 난 이런 뻬빠 하나 쓰는데 10분을 더 들이지 않는다.
다시 읽어보고 앞뒤가 맞네 안맞네 해서, 논리가 있네 없네 해서, 다른 '분'들이 어떻게 생각할까 해서, 재미가 있네 없네 해서
뜯어 고치지 않는다.
맞춤법, 띄어쓰기 이런거 알바 아니다.
어떤걸 써 볼까 하고 미리 생각하지도 않는다.
그냥 내키면 내키는 대로 다다다다다다다다 일필휘지로 두둘긴다.
이러다 보면 내용이 이리 튀고 저리 튀고, 횡설수설에다, 훼괴한 주장에다, 표절에다, 둘쭉 날쭉 감정 기복에다, 이랬다 저랬다가 난무하게 된다.
이 걸 보고 먼가 좀 특이한 인간이 아닌가 관심가지시는 '분'들이 종종 있으나 이건 정신 분열적 양상에 다름 아니다.

난 종종 유체분리는 아니고..체체분리? 인체 컴포넌트 분리를 경험한다.
무슨 말인가 하면 생각과 행동, 머리와 기타 수족이 따로 논다.
난 입이 혼자 청산유수를 쏟아 내는 것을 구경한다. 그 동안 머리는 딴 나라에 가 있다.
난 손가락이 혼자,,는 아니구나, 단체로 키보드를 누비며 먼가 뻬빠랍시고 찍어 내는 것을 구경한다. 역시 그동안 머리는 딴 나라에 가 있다.
난 입이나 손이 각자 독립적인 프로세서를 갖추고, 메모리도, 단독 작동이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그러니까 머리가 한마디 한마디 한문장 한문장..을 출력하라고 입이나 손에 지시하는 것이 아니라 포괄적인 개념의 코드만을 전달하면 실제 구현은 입이나 손 각자 알아서 하는 것이다.
그래서 옛말에 입만 살아 있다 하지 읺았던가.
요즘엔 손만 살아 있다 라고 개정판을 내야 할 것이다.

뻬빠 (자기 (너무나 당연하게도) 블로그에 쓰는 잡글 ) 라면 내 넋두리다. 남도 보라고 하긴 하지만 절대 남을 위한건 아니다.
문제 중년이 그러길 관음증이 기술 혁신의 원동력이라 했지만 나르시즘도 만만치 않다.
남이 봐 주는 것도 다 나를 위한 것이다.
소통, 세상엔 로또 맞는 사람도, 벼락 맞는 사람도, 소통하는 사람도 있다.
소통, 내 주장에 동조하면 소통된거고 아니면 소 귀에 경 읽기다. 사실은 경 들은 소가 비웃고 있는 건 아닐까. (은하..히치하이커 표절이다. 거기선 쥐새끼였지 아마)
소통, 이건 기적이다. 상대 머리도 내 머리랑 똑같이 작동할 거라고 가정,단정,확정 하지 않고서야 어떻게 기대 할 수 있는가?
항상 가지고 있는 의문이, 내가 파란색이라고 보는 것이 남들 에게도 똑 같이 파란색인가? 혹 그들은 내가 빨간색이라고 하는 것을 파란색이라고 칭하지는 않는가. 어쨌거나 색상은 구분되니 그렇다고 단정하는 건 아닌가?
가장 확실한건, 절대 확실한거 말구, 나 자신이다.
남이 어떻게 내 뻬빠를 보든, 남이 어떤 생각을 하든, 남이 얼마나 글을 잘 쓰든 못 쓰든 나랑 먼 상관?

자기 일기를 자기 집 대문앞에 걸어 놓지는 않는다.
자기 일기를 남의 집 대문 앞에는 걸어 놓을 수가 있다. 절대 내가 쓴게 알려지지 않는다면.
알몸으로 자기 집 앞에서 어슬렁 거리지는 않는다.
자기가 누구인지 절대 분간 할 수 없다는 확신이 있다면, 기술적으로는 환상이다, 누드촌은 그리 먼곳에 있지 않다.
자신을 위해서 쓰자.
자신을 즐기기 위해 쓰자.
 

댓글(9)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하이드 2009-11-25 02: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 '소통'이라는 녀석 말이죠, '글'에 '소통'할 수도 있고, '사람'에 소통할 수도 있잖아요.
그리고 A가 ㄱ 을 이야기했는데, B는 ㄴ 으로 알아듣기도 하고, 그걸 소통이라고 부를 수 있는지. 아, 나는 너무 의심투성이라.. 사람은 혼자 태어나서 혼자 죽는다.고 누가 그랬더라. 하하


chika 2009-11-25 09: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하지만 사람은 혼자 살지는 않는다더라....고도 하던데;;; (하이드님, 안녕? 나도 다른 서재에서 사람들과 인사해보고 싶었어요. ㅎ)

Forgettable. 2009-11-25 09: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우왕 장기 서재사용자이면서 어케 일케 쿨할수가 있어요, 부럽다능 '-' (오히려 이게 장기블로거의 필수조건인가)
소통과 소귀에 경읽기는 잠결에 소똥으로 봤네요. 이런 경우 역시 소통이 기적이란 의견에 적극적으로 찬동하고 있는 거겠죠? ㅎㅎ

무해한모리군 2009-11-25 09:5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호 레이님의 글이 흥겨운 이유가 거기에 있나? ^^

하이드 2009-11-25 09: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치카님 안녕 - ^^ 나도 다른 서재에서 인사해봐야지 호호

잊혀지는님, 소통은 소똥이다. 선문답 같아요. 나 담에 써먹어야지. ^^

Mephistopheles 2009-11-25 10: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게 뭔 페이퍼..하면서 구구절절 다 옳은 말이라는 사실엔 이견이 있을 수 없다는...^^

마노아 2009-11-25 11: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10분만에 이런 글이! 명 뻬빠 쓰는 노하우를 써주세요. 10분이면 되잖아요.^^

chika 2009-11-26 15: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우와~ 하이드님, 안녕! (요즘 매일같이 글 올리는 하이드님 서재 두고 여기서 인사질,이야? 하지 마시길. 이거 얼마나 재밌다고요;;;;;;;;;;;;;;)

hanalei 2009-11-28 01:15   좋아요 0 | URL
그러나 하이드님은 더 이상 오시지 않는군요.
 

먼저 알아둘 것은, 최소한 나 있던 동네에선, 루저가 '패배자' 가 아니란 것이다.
사전을 넘 믿지 말자. 사전은 항상 뒷북이란 걸 명심하자.
그럼 루저의 반대말은?
쿨러이다.
패배자의 반대말이 냉각기라닛?

오직 재미로 하는, 그래서 쿨 한, 너드 테스트에 3가지 루저 테스트가 올라와 있다.
www.nerdtests.com/ft_loser.php
www.nerdtests.com/mq/uttake.php?id=50153
www.nerdtests.com/mq/take.php?id=30598

오늘 해 볼 테스트는 그 중 제일 긴, 첫번째 이다.
 www.nerdtests.com/ft_loser.php


결과는 % 로 나오는데,  예로서 100% 이면 확실한 루저라는 뜻이다. (100%의 사람이 나보다 쿨하다)

다들 예상하겠지만 난 0% 이다.
100% 쿨 가이 답을 보시라.

>> 접힌 부분 펼치기 >>


 


댓글(2)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LAYLA 2009-11-17 04: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57% are cooler, and
43% are more of a loser than you.

What does this mean?

With this score, you are a normal individual

다ㅋ행ㅋ

조선인 2009-11-17 08: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42% are cooler, and
58% are more of a loser than you.

What does this mean?

You're cooler than half the people! Great work!

흐음, 난 쿨한 사람아닌데... 갸우뚱.
 

매우 빨리 기억이 사라져 간다.
특히 이름에 관한 기억이 그렇다.

기억은 뉴런간을 연결해 주는 시냅스에 만들어 진다는 게 정설이다.
시냅스에 생화학적 변화가 생기면 정보가 저장 되어 기억이란게 만들어 진다.
그러나 이 변화는 그리 오래 가지 못하여 단기 기억이 된다.
반복되는 기억은 시냅스에 돌기가 생기는 물리적 변화를 일으키는 것으로 최근에 알려졌다.
그러니까 장기 기억이 된다.
오래된 기억은, 오랫동안 유지되었던 기억은, 시냅스에 물리적인(상대적으로 영구적인)  변화가 생긴 것이다. 
따라서 시냅스가 손상된 것이 아니라면 그 기억은 없어진 것이 아니다.
단지 어디에 쳐박혀 있는지 찾을 수가 없을 뿐이지.
그러다 우연히 그 기억을 연결하는 태그가 잡아 당겨지면 같이 연결되어 있던 한무더기의 기억들이 와르르 쏟아져 내린다.
  
오그락지가 한 접시 딸려 나왔다.
무심결에 바로 튀어 나오지 않았다면, 오랜 기억을 더듬었다면, 과연 이런 발음이었던가를 의심하였을 것이다.
오그락지? 오구락지?
그 동네 발음을 완전히 표현하기에는 한글시스템은 완전 역부족이다. 

태그 오그락지를 따라 뉴런 속을 누벼보자.

따로 모아 쌓아 놓은 배추 겉 껍질 (이를 지칭하는 먼가 용어가 있었는데 연결이 안된다)을 새끼로 주렁 주렁 엮어 햇볓 잘 드는 담벼락에 걸었다.
씨레기 보다는 쓰레기에 가까운 발음이었던 것 같다.
밭에 팽겨쳐 진, 버려지다시피한 무우를 끌어 모아 산산히 토막을 내어 대나무 소쿠리에 담아 널었다.
9살 꼬마가 초겨울에 한 일이다.
겨울은 추웠다. (지구 온난화 만만세)
방에 있던 주전자가 얼어 붙었다.
가진 옷은 모두 입고 잤다.
이가 딱딱 소리를 냈다.  
먹을 것이라곤 잘 말라서 바싹거리는 배춧잎, 무우 말린것
문득 깨니 깜깜한 어둠속에서 누나가 울고 있다.
머라고 할려다 그냥 우는게 더 좋을 것 같아서 그대로 잤다.
그 해 겨울 같은 반 애가 얼어 죽었다.
죽었으니 9살 형체로 영원히 기억된다.

시냅스에 물리적 변화가 생겼다면 뇌가 생리적으로 죽었다 하여도 기억은 그대로 유지된다.
'연속된 기억' 이란 정체성의 정의를 받아 들인다면
그리고 절묘한 우연의 결과(혹은 테크놀로지의 결정판이 되든) 뇌만 극히 정교한 화석이 되어 시냅스 하나 하나의 분자적 구조가 보존된다면
그 해 겨울도 영원히 따라 가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1. 정의

앞 페빠를 다시 정리하여 본다.

사이보그의 어원적 정의 --> 통제시스템 + 물리적 실체 를 갖추고 단독으로 작동할 수 있으며 자기복제를 할 수 있는 것
                                       예) 인간

SF에서의 정의  --> 인간(인간의 아이덴티) + 기계(인공물)의 조합체
                            예) 6백만불의 사나이


(참조) 사이버~ 로 시작되는 수 많은 용어들과(예:사이버-스페이스, 사이버-섹스...) 사이보그 는 어원적으로 전혀 관련이 없다.


2. SF적 정의

사이보그 = 인간 + 인공물

SF에서 사이보그의 개념은  이미 종착에 도착해 버렸다.

     인간 --> 생체조직 --> 고스트 로 개념이 진화한다.
     인간으로 인정할 수 있는 그 어떤 특성 (인간성?, 지적 존재, 영혼?)을 말한다.
     딱히 무엇이라 할 수 없으니 이 특성을 일단 '고스트' 라 부르기로 하자.

     인공물 --> 기계 --> 생체조직 으로 발전한다.
     인공적으로 만들어지던 자연적으로 만들어지던 무관하다. 세포형태이던 기계형태이던 이 것도 무관하다.
     SF상 가장 장대한 스케일로서는 행성 전체 인 작품도 있다.
     최종적인 개념은 '고스트'를 탑제하고 작동시킬 수 있는 물리적 실체를 뜻하게 된다.        

SF에서의 최종 개념은 '고스트가 있는 물리적 실체' 가 된다.
(공각기동대의 영어제목이 'Ghost in the Machine' 이다)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고스트가 있는 물리적 실체' 는 결국 인간이 된다.

최종적인 SF적 정의가 공학적 정의(어원적 정의)와 완전히 일치 하는 것처럼 보이나 아주 큰 차이가 있다.
공학적 정의에서는 인간이 사이보그의 한 예가 될 수 있으나 SF적 정의에서는 사이보그는 반드시 인간(고스트를 가져야)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3. 사례 연구 --- 로보캅

첫번 사례로서 로보캅을 들어 보자

미래의 한 시큐리티 컴패니가 강력한 경찰용 로봇을 만들어 팔아서 떼돈을 벌기로 한다.
의도대로 엄청난 전투력을 갖춘 하드웨어는 만들어 졌으나 여기에 걸맞는 제어장치 개발에서 난관에 부딫친다.
결국 지상 최고의 제어장치인 인간의 뇌를 채택하기로 하고, 때 맞추어 죽어 준 머피의 뇌를 장착한 명품 로봇, 로봇캅을 만들어 시험 납품한다.
 
여기까지에서,
로보캅은 '인간의 뇌 + 기계' 로 이루어졌으나 사이보그가 아니다.
고스트가 없기 때문이다.
컴패니는 인간의 뇌를 하드웨어로만 사용한다. 원래 뇌에 남아 있는 모든 기억을 지우고 (여기서 정체성이 무엇이냐란 고전적 문제에 대한 강력한 논증이 제기 된다) 새로히 개발된 시큐리티 프로그램을 로드해 두었다.
로보캅이 인간이라면 컴패니의 신사업은 꽝이 될테니까.
 
로보캅의 '인간의 뇌 + 기계' 는 물리적 실체에 속하며 고스트는 컴패니에 의해 지워져 버린것이다.

베호벤은 이제부터 로보캅을 철학영화로 만들어 간다.
컴패니는 뇌를 완전히 클리어 시키는데에 실패한 것으로 들어난다.
로보캅에는 이전의 '머피'가 가진 특성들이 하나 둘 나타나기 시작하고 죽기전에 가까웠던 동료들이 눈치채기 시작한다.
로보캅의 주요 부품인 뇌는 점차 '머피'의 고스트를 복원하게 되고...등등등... 결국 '머피'가 된다.
이 영화에서 사실상 가장 중요한 부분인데 "무엇이 이 쇳덩어리를 '머피'로 인정하게 하는가?" (오늘의 주제는 아니다)
 
이제 로보캅은 사이보그가 된다.  

(참조) 로보캅에는 사이보그 외에도 정체성, 불멸, 국가의 의미, 선악론, 자본론 등등 심각한 주제가 들어 있다.
혹시 안보셨다면 필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