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삼국지 세트 - 전10권
나관중 지음, 황석영 옮김, 왕훙시 그림 / 창비 / 2003년 6월
평점 :
품절
체어렸을 적 뭣모르고 본 텔레비전 프로그램 중 하나가 삼국지였다. 조조와 유비, 관우, 장비가 싸우는 모습도 웅장했고 칼을 들고 전쟁에 나선 그들의 모습은 정말 재미가 있었다.
제갈량의 지략 또한 다 이해하지 못했다고 하더라도 형제들과 함께 실컷 놀다가 그 시간이면 텔레비전 앞에 모여들었으니 말이다.
그리고 그 이후 역사를 배우며 삼국지가 중국 어느 순간의 실제 역사 속 사건이었으며, [삼국지] 책 역시 중국의 가장 손꼽히는 고전임을 알게 되었다.
작년부터 지금까지 삼국지를 읽어보자 도전하며 사실은 은근히 갈등이 있었다. 어떤 삼국지를 골라야할까 고심하기도 했고, 그냥 편안하게 아이와 함께 만화 삼국지를 읽을까도 생각했었기에...
작년 황석영 님이 어린이들을 위해 쓴 만화 삼국지가 완간되어 나왔다는 것을 알고나서 내 아이에게도 삼국지를 만나게 해 주고 싶었기에, 고민아닌 고민을 하기도 했었던 것이다.
10권의 책. 고전에 충실했고 번역에 충실했으며, 원 삼국지에 나온 한시 전부를 매끄럽게 가다듬어 실었다는 것도 실제 책을 짓는 것 만큼의 창작활동이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단순히 그 나라의 글을 잘 알고 있으면 번역을 잘 할 수 있다고는 전혀 생각지 않는다. 우리말 실력과 더불어 번역하고자 하는 나라의 말과 글의 특징. 또한 그 책이 쓰이게 된 역사적 배경과 작가의 가치관을 모두 잘 알고 있어야 완전한 번역이 될 수 있다는 것이 내 견해이다.
그리하여 난 황석영의 삼국지를 선택했다는 것에 탁월했음을 만족스럽게 느끼고 있다.
10권에 이르는 분량. 낮에는 거의 읽지 못하고 주말을 이용하여 또 주중에는 깜깜한 밤이 되어 모두가 잠이 든 시간에 책을 읽으면서 난 점점 책 속으로 빨려들어가는 나 자신을 만날 수 있었다.
더구나 성인용 책에서는 왠만해서는 볼 수 없는 삽화 역시 읽는데 즐거움을 주었던 것이다. 이야기 뿐 아니라 생생한 등장인물을 그림 속에서 만날 수 있었다는 점, 100여장이 넘을 듯한 책 속 삽화는 생동감 넘치는 이야기 전개에 불을 지피는 듯 하다.
황석영 님의 다른 책을 읽어본 독자라면 알 수 있을 것이다. 그 분의 맛깔스런 문체가 어떠한지, 그리고 해박한 지식이 얼마나 많은지... 그런 작가의 실력이 이 [삼국지]를 있게 한 것이라.
대학 시절 원서를 번역할 때, 원서의 내용은 같음에도 각각의 학생들의 번역이 모두 다 다름을 느낄 수 있었던 것처럼. 또한 가끔 아이의 동화책을 읽어줄 때면 같은 작가의 책임에도 번역한 사람에 따라 원작자의 개성이 얼마나 잘 드러나고 덜 드러나는지 느낄 때가 있다.
[삼국지] 역시 황석영 님을 만나서 삼국지를 좋아하고 황석영 작가님을 좋아하는 팬들의 기쁨이 되지 않았을까!
삼국지는 쉽게 말해서 중국에 있었던 세 나라의 역사를 다룬 것이다. 중국의 후한에서부터 위,촉, 오 삼국시대의 정치와 전쟁 모습들이 생생하게 드러나 있다.
유비·관우·장비 세사람의 도원결의로 시작된 이야기. 삼국지를 처음부터 끝까지 읽다보면 중국의 역사의 반은 이해가 되는 듯 하다.
위나라의 조조, 촉나라의 유비, 그리고 관우와 장비, 제갈량. 오나라의 손권.
쟁쟁한 당대의 영웅들이 벌이는 정치적 지략(-특히 제갈량의 지략은 굉장하다)과 전쟁, 100% 실제 중국 역사라고는 할 수 없을지라도 삼국지를 보면서 과거 중국의 모습을 볼 수 있고 더불어 사람들의 관계를 보며 인간적인 그들의 모습과 함께 교훈을 얻을 수 있었다.
어린 시절 텔레비전으로 즐겼던 삼국지를 10권의 책으로 만난 지금은 그 느낌이 많이 다르지만, 그 나름대로 어릴 적에는 유비와 장비, 관우의 우정이 부러웠고, 어른이 된 지금 읽은 삼국지를 통해서는 좀 더 다양한 깨달음이 존재한다.
과연 이 책에 나오는 영웅들 중 누가 가장 마음에 들까? 아마도 책을 읽는자마다 모두 다를 것이다. 나 역시 어릴 적에는 유비가 제일 멋지다고 생각했지만, 지금은 그렇지 않다.
또한 이기고 지는 전쟁의 숨막히는 현장에서 조조가 꼭 야비하고 나쁘다고 할 수 있을런지도 망설여진다.
내 옆에 제갈량같은 자가 있다면, 혹 내가 누구에게 제갈량같은 책사가 되어 조언을 할 수 있다면? 이러한 가정을 해보았다.
지금의 나는 40이 넘어섰으니 새로운 일을 벌릴 엄두를 내기도 힘들겠지만, 이 책을 청소년들이 읽게 된다면 또 굳이 황석영의 삼국지가 아닌 만화로 또 다른 삼국지로 읽을지언정 영웅들의 모습을 보며 마음에 그릴 수 있는 그림이 많아지기를 기대해본다.
황제가 되기 위해 싸우는 그들. 이렇게 말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죽이지 않으면 자신이 죽는 것이 바로 전쟁이라고 할 수 있으니. 지금의 전쟁이 더 악랄할 수 있겠지만, 역시 당시 삼국의 모습에서도 인간의 존엄성에 대해 생각해보자면 끔찍하다.
이미 역사적 사건에 만일이라는 말이 존재하지 않기에 위나라가 승리하지 않고 촉나라가 승리를 했다면 하는 것은 그저 아쉬움에 불과하겠지만... 또한 중국을 통일했던 것 역시 위,촉,오 이 세 나라 중 하나가 아니었다는 것도 역사의 아이러니인 것이다.
시대를 풍미한 영웅들의 대서사시를 만나는 기쁨, 그리고 수려한 문체과 맛깔스런 번역이 주는 것까지 책 읽는 내내 즐거웠던 책.
부록으로 나온 [즐거운 삼국지 탐험] 역시 황석영의 삼국지를 몇 배 더 즐기게 해주었던 선물이다. 특히 이 책을 처음 읽는 청소년들에게는 더할나위 없이 좋은 선물이 될 듯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