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박물관에서 놀자 - 어린이를 위한 유.쾌.한 박물관 여행
윤소영 지음, 강화경 그림 / 거인 / 2007년 1월
평점 :
절판
박물관에서 놀자. 그리고 그 앞에는 어린이를 위한 유쾌한 박물관 여행이라는 부제가 붙어있다. 요즘 문화재와 박물관에 대한 책들이 많이 나와 우리 가족을 즐겁게 하고 있는 것 같다.
해학적인 느낌이 강한 호랑이의 모습과 서당의 훈장님과 혼이 나서 울고 있는 아이의 모습, 그리고 두루마기를 입은 귀여운 캐릭터와 돋보기를 들고 있는 강아지를 보면서 과연 이 책이 어떤식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몹시도 궁금해졌다.
책을 넘겨서 본격적인 박물관 여행에 들어갔다. 하지만 잠시 <역사 속으로 떠나는 시간 여행> 이라는 내용으로 서문이 적혀있는 것이다. 이 책을 쓴 윤소영님의 머릿말인데 그 글을 읽으면서 나와 아이 역시 과거로 타임머신을 타고 가는 상상을 하기 시작했다.
또한 <일러두기> 코너를 통해 이 책의 구성을 보다 쉽게 설명하면서 아이들이 원래의 그림과 틀린 그림을 찾는 것을 알려준다.
가끔 <알라딘 서점>에서 하는 틀린 그림 찾기를 우리 아이도 참 좋아한다. 어떤 때에는 나보다 더 틀린 그림을 잘 찾기에 심심할 때면 불러 같이 하곤 했는데... 그리고 숨은 그림 찾기나 그런 책을 좋아하기에 이 책을 보면서 신이 나서 그림을 보았다.
모두 18가지의 주제와 관련해서 다양한 그림과 설명이 나오기 때문에 좋았고, 요즘 우리 나라 전통 문화와 역사, 위인들에 대해 관심을 갖기 시작한 아이에게 즐겁게 책을 보며 신나게 놀 수도 있는 그런 책이 된 것 같아 반가웠다.
앞으로 일 년 정도는 주말만 되면 내가 바빠 온 가족 함께 나들이를 하지 못할 것 같아 미안한 마음도 들었고, 이런 책을 읽을 때면 그림을 직접 보고 싶다고, 혹은 박물관에 가고 싶다고 조르기에 괜히 책을 산 것은 아닐까 싶은 생각도 간혹 들지만 책을 통해 얻는 교육적 가치와 즐거움이 무척 크다는 것을 알고 있기에 나는 열심히 책을 사고 있다.
한국적인 해학이 어떤 것인지 쉽게 이야기해주고 있어 아이도 잘 이해할 수 있었으며, 10개의 다른 그림은 그 그림이 그려진 시대에서는 볼 수 없는 사람이나 사물이기에 그림을 찾아서 10가지 틀린 그림을 발견하며 아이와 함께 엣날 우리 조상들의 삶과 현대의 달라진 것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할 수 있었다.
신분사회였기에 양반의 폭정이나 억압에 눌려있던 서민들이 무엇으로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었는지도 알 수 있었고, 우리의 전통 문화와 풍속과 왕와 양반, 서민들의 문화까지 볼 수 있는 그림들, 나중에 학교에 가서도 교과서 내용과 연계할 수 있는 교육적인 내용들이 가득 들어있는 책인 것이다.
요즘 내가 바빠 가족과 주말에 가까운 체험학습도 못 갈 것 같아 미안한 마음도 들었는데 이 책을 보면서 그런 아쉬움을 달래보았다.
재작년 국립중앙박물관 개장 후 꼭 함께 가리라 생각하고 있었는데, 이번에도 아마 우리 가족의 박물관 여행에서 나는 빠져야할 것 같다.
하지만 책을 보면서 더 가서 멋진 그림을 직접 보고 오라고 이야기하고 싶다. 책 속에서 본 그림을 실제로 보는 즐거움. 그리고 이 한 권의 책을 통해 이미 알았던 <맹견도>, <문배도>, <조충도> 같은 이름도 아마 아이의 입에서 자연스럽게 나올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조만간 날씨가 따뜻해지만 박물관 나들이에 갈 수 있다고 손꼽아 기다리는 우리 아이에게 이 책은 멋진 선물이 되었고, 요즘 초등학교 입학 후 단축수업이라 일찍 오는 아이가 독서의 즐거움을 만끽할 수 있는 책이 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