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팥죽 할멈과 호랑이 ㅣ 네버랜드 우리 옛이야기 1
박윤규 지음, 백희나 그림 / 시공주니어 / 2006년 6월
평점 :
아이들의 생각은 어른들의 생각과 또 다를 때가 있다는 것을 아이를 키우며 깨닫게 되는 것 같습니다. 가끔 동화책을 읽어줄 때면 선과 악의 대립 구도가 어른들의 생각이나 고정관념과 다르게 아이들이 받아들일 때가 있지요.
예전에 누가 <해와 달이 된 오누이>책을 읽으면서 호랑이가 나쁜 게 아니라 자신들에게 줄 떡을 호랑이에게 주었다고 엄마가 나쁘다고 했던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었지요.
우리 아이도 간혹 책을 읽다 제 생각과는 다르게 자신의 생각을 이야기하고 또 자신의 생각을 관철시키려고 애쓰는 모습을 보기도 합니다.
하지만 역시 <팥죽할멈과 호랑이> 책에서는 아이랑 읽으면서도 공통적으로 호랑이가 나쁘고 팥죽할멈을 도와주는 친구들이 착하다고 합니다.
송곳이나 물지똥, 알밤에 자라에 돌절구에 지게까지 멋진 옛 물건도 나오고 또한 생물과 무생물이 함께 의인화되어 등장하는 것도 무척 재미있었답니다.
집에 <구름 빵> 책이 있어 아이가 들고 와 구름 빵이 먹고 싶다고 할 때에도 무슨 제목이 이럴까 하는 생각이 먼저 들었고, 하지만 책을 읽으면서 너무 재미있었는데, 구름 빵의 작가가 이 책의 그림을 그렸다는 말에 무척 즐겁게 읽었답니다.
한지- 닥종이로 만든 우리의 멋진 소품들이 너무 재미있습니다. 게다가 알밤에 손과 발이 달려있고 돌절구가 부엌 문 위로 올라가는 모습이 너무 재미있게 나와 있지요. 꼭 책이 아닌 한 편의 애니매이션 영화를 보는 듯한 착각도 일어납니다.
게다가 물지똥이 뭐냐고 묻는 아이에게 대답을 해 주었더니 아이는 너무 웃겨서 배꼽을 잡고 웃습니다. 또 물지똥이 팥죽 한 그릇을 먹으려고 뛰어오르는 장면이 꼭 슬로우 모션처럼 되어있고, 다른 그림 역시 너무 다양한 화면과 입체적인 모습의 그림이라서 너무 마음에 듭니다.
구수한 우리의 이야기. 구어체의 화법이라서 그런지 아이에게 읽어주기도 쉽고 정말 이 한 권의 책 속에 이처럼 많은 의성어, 의태어가 들어있다는 사실에 놀랐습니다.
“맛난 팥죽을 팔팔팔 잘도 끓여서 팥죽할멈이야.”
“산밭에 아지랑이 아롱아롱 피어오르는 어느 봄날이었어.”
“아 글쎄 집 채 만한 호랑이가 어슬렁어슬렁 나타난 거야.”
이 외에도 나중에 할머니가 슬피 우는 장면과 그 뒤를 이어 나타나는 여러 친구들의 모습을 어쩜 이렇게 표현을 했는지...
그리고 마지막으로 호랑이가 당하는 장면 역시 정말 실감이 났습니다.
몇 줄 되지 않는 내용을 한 페이지 씩 지면을 활용해 그림을 그리지도 않았고, 그렇다고 각 장면이 빠지지도 않게 각 페이지를 나눠서 함께 그림을 그리고 이야기를 전개하는 것은 최고였지요.
또한 닥종이로 만든 팥죽할멈과 호랑이의 모습. 너무 보기가 좋습니다. 다양한 소품을 활용해 꾸민 책 속 그림과 눈 덮인 겨울 풍경 역시 마음에 쏙 들었구요.
앞으로 한 가지 바람이 있다면 시공의 옛 이야기 시리즈가 재미있는 인형극이나 애니매이션으로 제작된다면 더욱 좋을 것 같습니다.
멋진 그림책. 우리의 옛이야기라 더욱 좋은 책이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