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에드와르도 세상에서 가장 못된 아이 ㅣ 비룡소의 그림동화 127
존 버닝햄 지음, 조세현 옮김 / 비룡소 / 2006년 2월
평점 :
반가운 책이 나왔다 우리 아이가 좋아하는 작가 중 하나인 존 버닝햄의 신작.
작년 한 해 동안 여러 출판사에서 나온 존 버닝햄의 작품을 섭렵하다시피한 우리 아이는 작가 특유의 그림을 보면서 무척 반가워 한다.
이 책의 주인공인 '에드와르도'는 세상에서 가장 못된 아이라는 꼬리표가 붙어있다. 왜 일까? 책을 읽기도 전에 이유가 궁금해진다. 아마도 존 버닝행의 다른 책이 그러하듯이 재치있는 풍자와 어른들의 권위 의식을 비판하는 다른 책을 알고 있어서 더욱 그러한 생각이 든다.
처음부터 이렇게 못된 아이는 아니었다는 말로 시작되는 이 책.
아마도 에드와르도는 우리 아이처럼 약간 개구쟁이였을 것 같다. 아침이면 잠에서 깨어 옷을 갈아입고 밥을 먹고 학교에 가면 친구들과 장난치며 놀다가 집에 돌아오면 저녁을 먹고 잠자리에 드는 평범한 생활.
그런 생활 속에서 에드와르도는 가끔씩 장난을 치고 버릇없는 행동을 하곤 한다. 물건을 발로 걷어 파기도 하고, 시끄럽게 굴기도 했다. 또한 어린 아이들을 못살게 굴기도 했고...
하지만 사람들이 에드와르도를 보는 시선은 따뜻한 애정이 아닌 천덕꾸러기 버릇없는 아이를 보는 것이었으며 그를 향하는 말도 가차없는 야단이었던 것이다.
"에드와르도, 이런 버릇없는 녀석. 만날 어디서 발길질이야?세상에서 가장 버릇없는 녀석 같으니라고." 라든가 "에드와르도, 넌 정말 시끄러운 아이로구나. 세상에서 가장 시끄러운 녀석 같으니라고." 또는 "이런 심술쟁이가 또 있나. 세상에서 가장 심술궂은 녀석 같으니라고."
그런 말을 들을 때마다 에드와르도는 자신의잘못을 뉘우친 것이 아니라 점점 더 버릇없게 굴게 되었고 었어.
에드와르도는 간혹 동물을 괴롭히거나 고양이를 잡으려고 쫓아다닐 때에도 방이 어지럽혀져 있을때에도, 이를 닦지 않고 세수하는 것을 잊어 점점 지저분해져도 친절하고 따뜻한 말로 이야기하여 바람직한 방향으로 이끌어주기 보다는 그저 혼을 내는 것만 하는 어른들.
아마도 존 버닝햄은 아이들이 왜 이런 행동을 하는지 혹은 때로는 야단보다 사랑으로 감싸주고 칭찬과 격려를 아끼지 않는 것이 더 좋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는 것 같다.
이제 에드와르도는 시간이 갈수록 점점 사람들이 그를 혼냈던 말들과 같이 행동을 하기에 이른다. 이제 에드와르도는 세상에서 제일가는 못된 아이가 되고 만 것이다. 사람들의 말 때문에 똑같이 닮아가는 행동. 가엾는 에드와르도.
하지만 이야기는 여기에서 그치지 않는다. 우리의 기대를 저버리지 않는 작가는 역시 에드와르도를 회생할 기회를 준 것이다.
우연히 에드와르도가 화분을 발로 찼는데 그 화분이 흙위에 떨어지고 그 일로 에드와르도는 칭찬을 받게 된다. 게다가 개에게 물을 끼얹었는데 오히려 개를 씻겨주어 고맙다는 말을 듣게 된 것이다. 동물에게 상냥하다는 말까지... 그리고 에드와르도는 장난꾸러기이긴 하지만 세상에서 가장 사랑스러운 아이라는 말을 듣게 된다.
이 책을 읽으면서 나는 다시금 아이들에게 칭찬과 격려를 아끼지 말아야 겠다는 결심을 해본다. 그리고 우리 아이가 잘못을 할 때 왜 그렇게 되었는지 차근차근히 이야기를 할 수 있는 그런 부모가 되도록 노력을 해야 겠다는 결심.
사실 아직도 화가 먼저 나 아이에게 소리를 지르거나 야단을 치곤 하지만 정말 말 한마디에 사람이 변할 수 있음을 기억하면서 더욱 좋은 부모가 되기 위해 노력을 할 것이다.
사랑을 받은 사람이 사랑을 할 수 있고 베풀 수 있는 아량이 생기는 것처럼 우리 아이가 멋진 아이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부모의 노력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을 알게 된다.
단지 물질적인 필요를 채워주는 것이 아닌 사랑과 격려가 더욱 소중하다는 것을 깨닫게 해주는 존 버닝햄의 베스트 동화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