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수미 - Be Happy - ... Falling in Love with Movie
조수미 (Sumi Jo) 노래 / 워너뮤직(WEA) / 2004년 7월
평점 :
품절


조수미가 좋아하는 영화 음악 모음집이다. 내가 좋아하는 곡들과는 좀 차이가 있는것 같다. 특히 이 모음집은 조수미의 두번째 크로스 오버 음반이다. 조수미 특유의 힘과 열정을 느낄수 있다. 영화의 장면들도 함께 떠오르게 하는 음반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 집은 너무 좁아 - 이스라엘 비룡소 세계의 옛이야기 23
마고 제마크 지음, 이미영 옮김 / 비룡소 / 2006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책은 저 유명한 칼데콧상 수상작이다. 칼데곳은 '근대 그림책의 아버지'로 불린다. 그림과 글이 잘 어울릴때 그 작품성을 인정 받을수 있는데 이 책이 바로 그런 책이다. 내용은 이스라엘의 우화를 배경으로 되어 있다. 어머니, 아내, 여섯 아이와 한칸짜리 오두막집에서 일어나는 주인공의 삶이 다루어 진다. 그림이 너무나 깨끗해서 좋다. 가르치고자 하는 교훈 '가진 것에 만족하라' 역시 의미 있는 내용이라 생각한다. 저자는 무려 세 번에 걸쳐서 칼데곳 상을 받은 경력이 있다.(어리석은 판사, 더피와 악마) 좋은 그림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새벽 눈물 - 명성교회 김삼환 목사의 새벽부흥 이야기
김삼환 지음 / 교회성장연구소 / 2006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새벽 기도로 유명한 명성교회의 새벽 기도 이야기이다. 1980년 이래 이 교회의 26년 역사는 새벽 기도의 역사였다. 이 책에는 명성교회의 새벽 기도에 대한 모든 것이 담겨 있다.그리고 모든 내용은 김삼환 목사의 철저한 체험이 그대로 녹아 있다. 그 내용은, 1부- 새벽 기도의 재발견, 2부- 새벽 기도의 본질, 3부- 새벽 기도의 도전, 4부- 새벽 기도의 비전이다. 책에는 기도 체험의 사례들이 생생하게 언급된다.  이 책을 통해 오늘의 명성 교회가 있게 한 새벽 기도를 만날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구원과 전도에 관한 오해 21가지
래리 모이어 지음, 정진환 옮김 / 생명의말씀사 / 2006년 3월
평점 :
절판


전도는 그리스도인들이 감당해야할 최고의 명령이며 예수님의 최후의 명령이다.그런데 사람들은 이 전도에 대해서 많은 오해를 하고 있다. 저자는 흔히 하는 전도와 구원에 대한 오해 21가지를 간추려 이에 대해서 잘 설명 함으로 전도에 대해, 구원에 대해 바른 이해를 하도록 도와준다. 구원과 전도에 대한 오해가 있거나 바른 이해를 원하는 사람들은 한번 읽어볼 필요가 있는 좋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간 폐지 정본 C. S. 루이스 클래식 9
클라이브 스테이플즈 루이스 지음, 이종태 옮김 / 홍성사 / 2006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루이스는  금세기 최고의 기독교 변증가이다. 주관주의와 상대주의가 편만한 시대를 향해 절대주의를 강조한 책이다. 원래 이 책은 1934년도에 행해진 강연집으로서 절대적 윤리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작금의시대는 절대주의를 인정하지 않고 모든 것을 상대화하는것이 문제라는 것이다. 결국 주관주의로 나아가게 되고 인간의 이성을 우상화하기에 이른다. 이렇게 되면 인간이 전통적으로 귀하게 여기던 도덕률이 폐기 되게되고 이성으로 모든 것을 판단하는 인간들이 되어 결국 인간이 폐지되게 된다는 것이다. 이 책은 인간의 도덕률의 중요성과 절대주의적 사고가 우리들에게 요구된다는 중요한 사실을 가르쳐 준다. 인간의 참 인간됨이 무엇인지를 가르쳐주는 중요한 책이다.C.S 루이스 연구가인 월터 후퍼는 "성경 이외의 단 하나의 책을 권한다면 당연히 이 책 '인간폐지'이다" 라고 한 말에서 이 책이 지니는 가치와 중요성을 알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