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내가 행복하지 않은 이유, 애착장애
오카다 다카시 지음, 이정은 옮김 / 메이트북스 / 2021년 4월
평점 :
절판


과거보다 경제적으로 풍요로워졌지만 현대인들의 행복도는 높지 않다.또 과거에는 없거나 중요하지 않게 여겨졌던 각종 질환들이 현대인을 괴롭힌다.과거보다 훨씬 많은 정보가 주어짐에도 불구하고 현대인들은 방황한다.이 모든 문제들이 애착장애와 연결되어 있다면 사실일까?이 책에서는 정신과 전문의인 저자가 현대의 문제들을 애착장애로 설명한다.사실 애착장애의 문제는 현대 이전에도 있었다.아이를 하나 키우는데 온 마을이 필요하다는 이야기가 있다.비록 현대 사회와는 잘 안 맞는 이야기지만 그만큼 아이 하나를 키우는데 아이의 주위에서 많은 도움을 줘야 한다는 이야기다.


그러나 현대 사회에서 아이를 돌보는 일은 하나의 노동으로 여겨지고 있다.특히 경제적으로 돌봄노동은 비교적 낮은 임금을 받는 노동일뿐이다.개인주의의 발달로 이웃의 도움을 구하기 힘들어졌고, 전통적인 가족제도의 붕괴와 핵가족화 때문에 조부모의 도움도 제한되고 있다.여성의 권리향상과 사회진출이라는 사회적 진보 역시 아이의 돌봄을 남에게 맡기는 상황으로 이어졌다.그래서 현대사회의 애착장애 문제가 더 두드러지게 된 것이다.이런 애착장애는 일상에서의 불안으로 나타난다.그리고 정신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신체질환까지 불러일으킨다.


현대인이 과거에 비해서 육체노동을 덜하고 정신노동 위주로 일하다보니 정신적 피로와 공허 때문에 애착에 대한 문제가 더 커지는게 아닌가 생각도 해본다.많은 사람들이 조직의 일부로 살아가다보니 삶의 의미를 잃고 정신적으로 기운 없는 삶을 산다.어렸을 때부터 애착을 받지 못한 문제가 커서도 꾸준히 악영향을 준다.사실 어렸을 때의 애착 이전에 화학적 문제 그러니까 호르몬의 문제가 있어서 그럴수도 있다.이 문제가 인간의 신경문제 그리고 생리적인 문제에까지 마수를 뻗친다.우리가 흔히 ADHD라고 부르는 질병도 애착장애가 원인일 수 있다.성인도 마찬가지다.이런 문제에서 회복되려면 무엇보다 부모를 비롯한 주변 사람들이 안정적이어야 한다.그리고 아이에게 안전망이 되어줘야 한다.


*리뷰어스 클럽의 소개로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 번에 되지 않는 사람 - 쉽게 얻은 사람은 모르는 일의 기쁨에 관하여
김경호 지음 / 허밍버드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번에 되지 않기에 더 성숙할 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 번에 되지 않는 사람 - 쉽게 얻은 사람은 모르는 일의 기쁨에 관하여
김경호 지음 / 허밍버드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 사회는 나이에 집착한다.특히 나이별로 해야될 일을 정해놓고 그걸 하지 못하면 낙오된 사람으로 여긴다.그렇기 때문에 사람들이 스트레스를 크게 받고 많이 불행한지 모른다.한국사회가 경제적으로 풍요로워졌지만 행복지수가 높지 못한 이유는 과도한 경쟁문화에서 파생된 빨리빨리 문화 때문이 아닐까 생각해본다.빨리, 쉽게 되는 것도 좋지만 천천히, 그리고 돌아서 이뤄지는 일도 나쁜 것은 아니다.이 책의 저자도 모든 일을 느리게 해냈다.그렇기 때문에 깊은 생각을 할 기회도 많았다.이 책는 천천히 일을 이뤄낸 사람의 생각이 들어있다.


사회에서 정한 정답대로 일을 하지 않고 어렵게 일하는 사람이 답답하게 보일 수도 있지만 그런 사람은 그런 사람대로 또 다른 의견과 통찰력을 가지고 있다.천천히 일하면서 나름의 기쁨을 즐기고 있을 수도 있다.그렇게 오랫동안 과정을 밟으면서 시야가 더 넓어지기도 한다.한국의 대표적인 언론인 중 한명인 jtbc의 손석희 사장도 대학 입학 과정에서 3수를 했다고 한다.그런 과정이 지금의 위치까지 가게 만들었을지 모른다.또 그런 고생담이 사회에 던져졌을 때는 내공으로 느껴지기도 한다.특히 방송인들은 사회와 떨어질래야 떨어질 수 없지 않나.트렌드를 쫓아가는 것도 좋지만 진득함도 중요하다.


사람은 시간이 흐르면서 속도는 줄어들지 몰라도 보다 숙성된 모습을 보여줄 수 있다.숙성된 모습이란 풍부한 경험과 깊은 사고를 통해서 다른 사람에게 보다 잘 공감해주는 것이 아닐까 싶다.오래 기다릴수록 기다리는 사람의 마음을 잘 헤아릴 수 있다.도전에 실패해서 돌아가는 사람은 물론 다시 도전하는 사람의 마음도 말이다.다소 부족해보여도 존중하고 일단 믿어주면서 기다려주기 쉽다.


세상에 정답이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다른 사람을 더 잘 포용한다.그리고 다른 사람을 존중해주는 만큼 스스로도 존중하면서 일한다.기분 나쁜 소리를 하는 사람에게도 더 잘 대처하고, 싸울 일이 있으면 싸우지만 나에게 유익한 쓴소리는 받아들인다.직장 내 관계가 예전과 많이 달라졌지만 그래도 일을 잘하려면 좋은 관계가 필수적이다.사소한 부분에서도 다른 사람을 배려하고, 선배나 윗사람으로서 아랫사람에게 기분 좋게 조언하는 모습이 필요하다.진심으로 사람을 대하니까 권력보다는 공감이 중요하다.어쩌면 이제는 권위가 아니라 공감능력의 시대인지도 모른다.다른 사람의 취향이나 다른 사람을 부르는 호칭부터 바뀌고 있다.이제는 속도보다 다양성이, 위계질서보다 공감능력이 강조되는 시대로 바뀌고 있는게 아닌가 생각해본다.혹시 현재 내가 사회에서 정한 기준으로 봤을 때 부족하다고 생각한다면 이 책을 읽고 마음을 다시 잡아보길 권한다.


*리뷰어스 클럽의 소개로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게 너였으면 좋겠다
일홍 지음 / FIKA(피카)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따뜻하게 힐링하는, 너는 그 자체로 괜찮다고 말해주는 에세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게 너였으면 좋겠다
일홍 지음 / FIKA(피카)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 사회의 행복지수는 높지 못한 편이다.왜 행복지수가 높지 못할까.사람들이 현재 상황에 만족하지 못해서인데 그런 그런 마음은 발전의 원동력이 되기도 한다.덕분에 한국경제가 빠르게 성장할 수 있었다.그러나 어느정도 상황이 나아지면 만족해야 할 필요도 있다.왜냐하면 발전도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경제가 성장했는데도 계속해서 만족하지 못하면 지금까지 살아온 삶에 대해서 부정하는 마음까지 생긴다.이런 문제는 사실 모든 선진국에서 겪고 있다.경제성장이 정체되면서 무력감, 공허함, 허무주의적 정신 말이다.이 책에서는 하루하루가 힘들더라도 나에게 만족하고, 자존감을 챙기고, 다른 사람을 사랑하라고 이야기한다.저자 역시 많은 고민을 한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그런 개인적인 경험들이 책의 설득력을 높여준다.


매 순간 자신에게 주어진 것들을 충분하게 여기고 감사하게 생각하면 어떤 순간이라도 우울에 빠지지 않고 살아갈 수 있다.또 그래야 자존감을 지키면서 살아가는데 도움이 된다.자아를 포기하지 않고 살아가는 사람은 이익보다 자신을 지키는데 집중한다.살아가면서 상처를 받았더라도 포기하지 않고 다시 사랑을 찾는다.상처가 아프지 않아서는 아니다.상처에 굴복하거나 상처를 회피하지 않기 위해서다.뭐든 다시 시작하는 마음이 중요하지 않은가.과거의 기억이 나에게 위로가 되도록,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는 마음 말이다.


다른 사람을 대할 때 진정성이 있어야 한다는 말을 많이 한다.나를 대할 때도 그래야 한다.그러면 진정한 행복을 찾을 수 있다.진심으로 나를 대하게 되면 보다 다정해질 수 있다.또 결과와 무관하게 그 과정을 다 알기 때문에 다 괜찮다고 말할 수도 있다.지금의 처지와는 무관하게 열심히 살았기 때문에 꿈을 포기하지 말자고 말이다.세상에 대해서 나를 더 자신있게 표현하려면 나를 진심으로 잘 이해해야 한다.그 다음에 나를 믿고 불안을 떨쳐버리자.보다 따뜻한 말을 남에게 해도 좋지만 우선 나에게 하자.내가 잘 지내는지부터 물은 후에 열심히 살아보는 것이다.내 속마음에는 여린 부분이 있다.쉽게 상처받는 부분이 있는 만큼 상당한 정도의 슬픔도 안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그러나 용기만 있으면 그걸 극복할 수 있다.지금 이 순간을 미래의 준비시간으로 삼는 일도 좋지만 당장의 소소한 행복들에 만족할 필요도 있다.그래야 내가 편안한 사람이 되고 다른 사람과 아름다운 관계를 만들어나갈 수도 있기 때문이다.


힘이 들더라도 주위를 잘 환기하고 나의 소중함에 대해서 생각해보자.더 좋은 나날을 상상해보자.미운 사람을 용서하고, 궁금한 사람에게 안부를 묻고, 고마운 사람에게 감사를 표하자.내 마음을 기꺼이 표현하는 일에서 내 새로운 노력을 시작해보는 것이다.그렇게 실컷 표현하면 비록 이별하더라도 미련이 많이 남지 않는다.좋은 추억 위주로 남을 수 있다.지금 삶이 힘들거나 지친다면 이 책을 읽어보길 권한다. 


*리뷰어스 클럽의 소개로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