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병장수의 시대, 무병장수를 위한 건강 인문학 - 호모헌드레드 시대 인문학적 시선으로 건강을 읽다
곽동우 지음 / 행복에너지 / 2020년 12월
평점 :
우리는 건강을 의사들의 영역이라고 생각한다.물론 의사들이 전문가이기 때문에 그들의 말을 들어야겠지만 일상 속에서의 건강관리와 질병 및 부상 예방은 각자의 몫이다.건강을 내가 잘 챙기지 못했을 때 의사들에게 의존하는 것이라는 생각을 가진다면 건강에 대해 공부할 생각이 생길 것이다.또 사람의 건강을 과학이나 기술의 영역이 아닌 인문의 영역에서 생각해본다면 어떨까.그런 측면에서 이 책은 참신하고 유용하다.치료방법이나 처방책을 내려주기 때문에 유용한 것이 아니라 우리가 놓치고 있었던 건강관리의 일반적인 이야기에 대해서 다시 이야기해주기 때문이다.독서를 열심히 하면서 대중교육에 힘쓰는 저자가 존경스러웠고, 양한방 의료관계자들의 추천사가 책에 대한 신뢰도를 높여줬다.
우리는 문제가 발생한 다음에야 건강에 관심을 가지고, 그나마도 의사의 말을 따라가기 바쁘다.건강과 의료 그리고 약물의 원리나 부작용에 대해서 고민하지 않는다.그 결과 한국은 장수하는 나라지만 건강수명은 짧은 나라다.오래 살지만 건강하게 사는 기간이 짧다는 것은 참 불행하게 들린다.유병장수보다는 무병장수가 훨씬 나을텐데, 무병장수는 어떻게 가능할까?일반적인 시민이 건강에 대해 의사나 약사처럼 전문적인 공부를 하기는 힘들다.건강에 대한 인문학적 접근과 각종 건강 문제에 대한 일반적인 질문에서 시작해야 한다.질문은 건강의 구성이나 원리에 대해 가깝게 다가가기 좋은 방법이다.건강에 대한 지식을 파편적으로 습득하기보다 어떻게 하면 건강할 수 있는지, 어떻게 하면 내 몸의 밸런스를 유지할 수 있는지 총체적인 고민이 필요하다.
질병이나 부상을 입고 약물, 수술에 의존하는 악순환을 끊으려면 결국 답은 예방이다.이 예방은 단순하게 조심한다고 되는 것이 아니라 식습관, 수면습관, 운동습관을 포함한 생활습관 관리와 면역력 관리다.내가 나의 건강을 책임지는 의사라고 생각하고 하나하나씩 관리하는 것이다.아니면 내가 학생 때 보던 보건교사가 되었다고 생각하고 내 운동과 영양을 관리해보자.그런 과정에서는 호모 헌드레드, 100살까지 사는 현대인의 삶에 대한 인문학적 지식이 필요하겠다.현재의 의료에 대한 합리적 의심과 내 몸에 대한 통찰을 바탕으로 약이나 수술에 대한 과도한 의존을 줄이자.자가치유능력을 과신해서는 곤란하지만 약물 오남용의 길에 빠져서도 안 될 것이다.내 몸의 관리주체는 나라는 생각을 가져야 한다.이 책을 그 출발점으로 삼아보자.건강 문제에 대해 관심이 많은 독자에게 적극 추천하는 책이다.


*리뷰어스 클럽의 소개로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