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삼호중공업 박학래 반장 )

“미친 사람 아니예요?” 현대삼호중공업 건조2부 박학래(46) 반장이 한때 하루에 서너 번 씩 들어야했던 소리다.

그가 지나가면 동료 직원들은 등뒤에서 손가락질을 하며 수근거리곤 했다.

“어디가 이상한 것 아니야?” 하지만 이제는 달라졌다. 박 반장이 무려 6번에 걸쳐 '사내 제안왕' 상을 받으면서 그를 바라보는 동료들의 눈빛이 바뀌었다.

이제는 다들 그를 부러운 눈길로 바라본다. '사내 왕따'에서 '사내 영웅'으로 말 그대로 '인생 역전'을 한 셈이다.

그가 아이디어 제안을 시작한 것은 지난 95년 말. 81년 현대중공업에 입사한 박 반장은 95년 말 전남 영암군에 있는 현대삼호중공업 조선소로 직장을 옮기면서 사내 제안을 시작했다.

동기는 단순했다. 낯선 일터에서 일하자니 서먹한 마음이 들어 빨리 정을 붙이기 위해서였다.

“하루 종일 육체노동을 하다보면 쉽게 지치고 짜증나는 경우가 많았죠. 그런데 '제안을 해야겠다'고 마음을 먹고 나자 현장에 있는 볼트, 너트 하나도 예사롭게 보이지가 않고 계속 머리를 굴리게 되는 거예요.
어떻게 하면 일이 좀 쉬워질까, 어떻게 하면 안전장치를 좀 더 튼튼하게 할 수 있을까, 고민하면서 일하다보니 몸이 지치는 것도 모르겠더군요.”

이렇게 시작한 제안이 지난해 말까지 무려 1만2000건. 하루에 평균 7∼10건씩 아이디어를 낸 셈이다.

가히 '제안 중독증' 수준이다. 박 반장은 “집에는 당직을 서러간다고 말해놓고서 토요일이나 일요일에도 회사에 나와 혼자 제안서를 만든 적이 부지기수”라며 “부부싸움도 참 많이 했다”고 털어놓았다.

다행히 지난96년, 97년, 99년에 이어 최근 3년간 연속으로 '사내 제안왕'상을 받고 나서 부터는 아내도 물심양면으로 그를 지원해 준다는 설명이다.

어떤 아이디어를 냈냐는 질문에 답하는 박 반장의 목소리에는 열정이 넘쳤다.

“배를 만들 때는 데크에 무거운 쇠로 만든 뚜껑을 덮습니다. 무게가 엄청나서 설치할 때 현장 근로자 4∼5명이 동원되곤 했죠.
이동을 하다가 떨어뜨려 발을 다치는 등 안전사고도 종종 발생했습니다. 가만히 살펴보니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면 훨씬 쉽고 안전하게 옮길 수 있을 것 같더라고요.
그래서 제가 직접 '지그'라는 기계를 고안했습니다. 이 기계를 써봤더니 인력도, 시간도, 경비도 절감됐습니다. 물론 안전사고도 없어졌고요.”

그가 만든 '지그'는 지금 조선소 현장 곳곳에서 그 진가를 발휘하고 있다. 이 밖에도 부품을 한꺼번에 여러 개씩 실을 수 있는 지게차용 받침대, 컨테이너 이동용 대형 중장비 대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동용 간이 중장비 등 조선소 내에 그가 직접 아이디어를 내 설계하고 설치한 기구는 셀 수 없이 많다.

이렇게 회사 경비를 아껴준 대가로 뭘 받았냐고 물어봤더니 “지난해에는 총 430만원 정도 '보너스'를 받았다”고 답한다.

한 건을 제안해서 채택되면 받는 보상금은 2000원. 이 2000원이 차곡차곡 쌓여 연간 430만원이 된 것이다. 그에게는 세상에서 가장 값진 보너스다.

그는 이렇게 받은 돈으로 지난해 디지털 카메라 한대를 장만했다. 현장에서 눈에 띄는 게 있을 때마다 사진기로 찍어 제안서에 붙이기 위해서였다.

박 반장의 출근 가방에는 항상 새로 산 디지털카메라와 사내제안서, 볼펜, 전자계산기, 5색 사인펜, 다이어리 등이 준비돼있다. 연초에 받은 두꺼운 다이어리는 틈틈이 메모한 아이디어들로 벌써 절반 가량이 채워져 있었다.

1년에 다이어리 2~3권은 거뜬하게 쓴다는 설명이다.

제안을 하면서 얻는 보람을 묻자 곰곰 생각한 후에 내놓은 그의 대답이 참 소박하다.

“내가 낸 아이디어로 작업 환경이 조금씩 나아지는 게 좋고, 제안이 채택돼 받는 보너스로 동료들에게 음료수 돌리는 재미가 좋습니다. 무엇보다 좋은 건 퇴근 후에 항상 테이블을 펼쳐놓고 제안서를 쓰곤 했더니 '학구적인 분위기'가 조성돼 아이들 성적이 많이 올랐다는 겁니다.”

그는 “대학교에 다니는 맏딸은 이번에 장학금도 받았다”며 쑥스럽게 웃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5. <회계천재가 된 홍대리>

지식이 있어야 성공하는 세상이다. 책으로 통해서 항상 배워야 한다.

다산북스의 책에 관심이 많은 나에게 유익한 책으로 자리 잡을 것이다.

 

 

16.<투자자의 멘토 박용석의 부동산 경매>

개인적으로 한국의 젊은 부자들을 너무 감동적으로 읽었다.   제테크서적을 감동적으로 읽었다는 표현이 생둥맞을지 모르지만 나는 정말 감동적으로 읽었다. 몇번을 읽고 밑줄 칠 하고 읽었는지 모른다. 혼자 읽으면서도 맞아 맞아를 연발하면서 통독한 책이고 평생 소장할 책이다. 그런 작가의 책을 구입하지 않을 수가 없다. 올해는 나도 낙찰 3건을 목표로 공부하고 실천할 계획이다.

 

2008년 1월 15일 10시 11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돈이 있으면 귀신도 사귈 수 있다! >







-돈만 있으면 귀신도 사귈 수 있다...




이 돈이라는 것만 있으면 귀신도 사귈 수 있다는 말에는 정말 많은 것들을 내포한 단어이다. 없어서 고통을 받아본 사람들은 이 말에 절감을 할 것이다.

없어서 자기자신을 죽여야 하는 삶, 없어서 자녀의 앞날에 불을 밝혀 주지 못하는 삶, 없어서 항상 아쉬운 말을 하여야 하는 삶...

누가 마음만 편하고 건강만 하기를 바란다고 하였는가?  스트레스의 원인이 되는 것도 돈과 연관이 된 것이 대부분이다.  부부싸움을 하여도 그 원인이 되는 것이 돈이다.

많은 이해관계와 얽힌 사연들 속에는 항상 돈이 섞여져있다. 이제 돈은 물과 기름처럼 섞이지 않는 것이 아니라 꼭 섞여야 하는 존재로 되어버렸다.




“ 장부출가 생불환” 

대장부로 태어나서 돈을 제대로 벌지 못하면 살지 않을 것이다.

무능한 남편으로 가장으로 아빠로 항상  마음만은... 정말 마음만은...  보다는 그래 이렇게 꼭 해주마...  능력을 보여주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




가슴을 좍 펴고 소리내어 큰 소리를 치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





2008년 1월 14일 오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나를 살리는 말, 그리고 죽이는 말...<나를 살리는 말, 죽이는 말>







스트레스는 왜 생기는 것일까?

스트레스에서도 많은 종류가 있을 것이다.

돈문제, 직업의 문제,가정의 문제, 문제와 문제들 사이에서 끼어있는 것이 사람이다.

그중에서도 가장 심하게 힘들게 하는 것은 어떤 것일까?

나는 단연코 인간관계라고 말 할 수 있다.

사람과 사람사이에서 오는 갈등과 일들에서 오는 것이 대부분일 것이다.




그 어떤 유행가를 보면 항상 문제는 사랑이요, 사람이라고들 한다.

사랑 때문에 아프고 꽃보다 더 아름다운 것은 사람이라고들 말하고들 있다.

이 좋은 사람이 왜 사람을 아프고 힘들게 하는 것일까?

이 문제에 대하여 나는 이렇게 말할 수 있다.

“나를 살리는 것도 말이고 나를 죽이는 것도 말이다.”

이 말을 제대로 하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

할 말은 꼭 하는 사람이 되고 참아야 할 때와 참지 말아야 할 때를 잘 아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 무조건 참는 것만이 능사는 아니다. 오른쪽 뺨을 이유없이 맞았다면 상대편 뺨의 왼쪽을 사정없이 칠 수 있는 용기와 베짱이 있어야 한다.




가장 중요한 것은 될 수 있는 대로 침묵을 지키는 것이 좋을 것이다. 하지만 어디 이 만만찮은 세상을 살면서 말없이 살 수 가 있다는 말인가. 그래서 요점을 제대로 말하고 처신을 제대로 하는 말이 중요한 것이다. 겸손있게 말하는 것도 중요하다. 겸손이 지나치면 자칫 무능한 사람이 되어버리고 만다. 줏대있게 상대방이 기분이 상하더라도 ( 때로는 상하라고 말할 수 있어야 한다. 누가 약자고 누가 강자라는 말인가.) 내 의견은 이렇다. 이렇게 해주시면 감사하겠지만 안되면 어쩔 수 없지 않겠냐...    하는 말도 하여야 한다.

부탁하고 사정한다고 머리를 조아리고 굽신 댈 필요는 없다는 말이다.

당당하게 나를 좀 도와주쇼!  내 꼭 신세는 값을 터이니.  자신감있게 조리있는 말이 필요하다.




당당한 자신감을 가져야 한다.

길이 어디 하나 뿐이더냐.  이거 아니면 죽을 것 같다고.  그래 좋다 이거다.

말 한마디로 천냥 빚 값는 그런 절실한 당당함과 소신있는 행동이 필요하다.




될 수 있는 대로 침묵하고 대답을 천천히 하는 습관을 들여야 한다.

누구하고 이야기를 하더라도 상대방의 눈동자를 보면서 제대로 하여야 한다.

상대방이 어떻게 나를 생각할까   이런 생각을 하지 않는다.

주체는 나이다.  나보다 더 소중한 사람도 없고 나보다 더 제대로 된 말과 행동을 하는 사람이 없음을 기억하라

2008년 1월 13일 오후 1시15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독서에 대한 나의 생각>




책을 읽는 다는 것은 나에게 이제는 몸의 한부분이다.

공기를 마셔야 살 수 있는 것처럼 나에게 책읽기는 하루를 살아가는 소중한 부분이다. 중독되었다.  그렇다.  중독되기를 바랬는 데 이제 정말 중독이 된 듯 하다.




독서를 함으로써 내 자신이 커가는 것을 느낀다.

항상 걷기만 하는 사람이 뛰는 듯한 느낌이, 내 몸 어느 곳에서 날개가 달린 듯 이 가끔은 이유없는 웃음이 나올 때가 있다. 요즘 서재의 책들을 보면 흐뭇하다.

거실에 있는 서재의 책장을 보노라면 2천권 가까이 되는 듯 한데 한권한권의 사연이 있기에 어린 자식들 보는 착각이 든다.

내가 직접 서점에 들려서 구입한 책들, 알라딘 서점에서 주문한 책들, 어느 병원이나 남의 집에서 한권 빌리거나 위치이동한 책들, 재활용쓰레기 버리는 날 주워온 책들...

어느 한권 소중하지 않은 책들이 없다.




내 급하고 다혈질 성격에 책을 좋아하는 내 성격이 정말 좋다.

요즘은 “ 이청준” “ 안정효” " 이문열“  이런 문학 작품들을 같이 읽고 있다.

책도 편식하면 안 되는데 내가 너무 제테크, 성공학 책들만 읽지 않았나 싶기도 하다.




책은 나에게 길을 알려주는 지도와 망망대해를 떠도는 바다에서의 등대와 같은 존재이다.

왜 사냐고 묻는 다면 책읽는 재미가 솔찬하오... 나는 말 할 수 있다...

세상을 사는 힘,  이것은 나의 힘이요, 열정이요, 꿈이다.

진정한 나의 꿈은 한 장의 책에서 나오는 것이다.




그러니 어찌 책 읽는 독서를 게을리 할 수가 있으리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