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집 광고가 재미있어서 찍었어요. 그런데 내용이 범상치 않아 인터넷을 찾아 보니

신천희라는 시인의 작품으로 나와 있더군요. 저도 쬐금 글을 보는 안목이 있나 봅  

니다. 하하하.                                                                                       

 

재미있는 것은 이 분이 스님이시라는 거에요. 게다가 아동문학에 주력하고 계신   

분이라는군요. 그래서 그런지 이 시에는 동시에서 많이 사용하는 각운법이 사용되 

 고 있어요. '~야, ~라, ~나, ~지' 등이 그것이지요. 어떤 예가 있을까요? '산토끼' 

와 '달맞이'가 떠오르네요. "산토끼 토끼야, 어디를 가느냐…" "동무야 나오너라 달

맞이 가자 …"                                                                                      

                                                              

동시 기법을 사용한 시이지만 내용은 평범치 않아 보여요. 이 시에 등장하는 핵심 

어는 날씨, 옷, 술이지요. 날씨, 특히 추운 날씨는 혹독한 시련을 상징하지요. 구체

적으로는 물질적 궁핍을 나타낸다고 보여요. 그런 궁핍에 대처하는 시인의 해법은

충족[옷]이 아니에요. 정신적 충족[술]이에요. 술을 마시면 마음이 넓어지
 고 훈훈해 지잖아요. 외형적으론 주태백의 술타령을 표현한 것 같지만 실제는 보살

정신을 구현한 시라고 볼 수 있을 것 같아요. 혹독한 시련을 넓은 마음과 훈훈한   

인정으로 극복하려는 사람은 타인의 고통에 대해서도 결코 눈감으려 하지 않을테 

               니까요. 그런 사람을 보살이라고 하잖아요? ^ ^                                                          

 

 이상은 저의 황당한 시 해설이었습니다. ^ ^                                                

                                                                                      

자, 한자를 자세히 좀 알아 볼까요? 1자 밖에 안되고 많이 알려진 한자라 공부 부

담이 없군요. ^ ^                                                                                

 

            는 두가지로 풀이해요. 하나: 술병에서 술이 흘러나온 모양을 그린 것이다. 이           

 경우 氵(물수)는 흘러나온 술방울을, 酉는 술병을 그린 것이라고 봐요(兀은 술병

  의 입구와 목을, 曰은 술병의 몸체와 거기에 담긴 술을 그린 것이에요). 둘: 氵(물

  수)와 酉(열째지지유, 여기서는 음력 8월이란 의미로 사용됨)의 합자이다. 음력   

8월에 추수한 곡식과 물을 혼합 발효하여 만든 식품을 술이라 한다. '술주'라고

              읽지요. 酒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酒店(주점), 淸酒(청주)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제가 아는 어떤 분은 미혼인 후배들에게 결혼 상대자와 꼭 술을 먹어 

보라고 권해요. 술을 먹어보면 그 사람의 됨됨이를 평가할 수 있다는 것이지요. 

나름대로 일리가 있는 것 같애요. 취하면 본색이 드러나기 마련이니까요. ^ ^   

 

 

오늘은 평가 문제를 아니내도 괜찮겠지요?

 

그나저나 신천희 시인께서 이 술집에 써붙인 자신의 시를 보면 무슨 생각이 드

                 실지 매우 궁금해 집니다. 하하하.  내일 뵙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몽산포에서 청포대 쪽으로 난 해변길을 걷다가 찍은 사진이에요. 피서 다녀와서 찍었냐

구요? 아닙니다. 겨울에 갔다가 찍은 거에요. ^ ^ 전 여름에는 해변에 안갑니다. 덥기도 

하거니와 사람이 너무 많아서... 전 사람 많은데 가면 기운이 쪽 빠져요. ^ ^ 피서는 집  

이 최고죠. ^ ^ 하하하.                                                                                      

 

 한자를 읽어 볼까요? 汽는 김기, 水는 물수, 域은 지경역, 기수역이라고 읽어요. 그 의미

는 아래에.                                                                                                      

 

 

요컨대 기수역은 특수한 습지라고 할 수 있어요. 민물과 바닷물이 만나서 형성된 지역이

기 때문이지요. 기수역은 갯벌과 함께 그 중요성이 새삼 인식되는 지역이지요. 환경 정  

화와 함께 다양한 어종들이 서식할 수 있는 지역이란 점에서요. 전에는 쓸모없는 땅이란

인식이 강했었지요.                                                                                           

                                                         

 그나저나 이 기수역에 대한 설명판은 좀 수정이 필요한 듯 해요. "염분과 수온 변화가 심 

 해서 이곳에 서식하는 생물들이 뛰어난 적응력을 가지고 있다"고 한 말이 이상하잖아요?

            염분과 수온 변화가 심하지 않은 곳에 서식하는 생물들은 적응력이 약할까요?  그렇지는           

않겠지요? 이 설명판은 두 문장으로 나누어 설명하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이렇게요.   

"기수역이란 바닷물에 강물, 하천의 민물이 혼합되어 희석된 곳으로 염분과 수온변화가

 심합니다. (하여) 이곳에 서식하는 생물들은 환경변화에 뛰어난 적응능력을 가지고 있   

습니다." 좀 낫지 않나요? ^ ^                                                                              

 

멀리 백로인 듯 보이는 새가 있어서 사진을 한장 더 찍었어요. 겨울인데도 먹을게 있나 

봅니다.                                                                                                          

                                                                                               

 

 

 한자를 좀 자세히 알아 볼까요? 水는 빼도 되겠죠?                                                 

 

는 氵(물수)와 气(구름이 중첩된 모양을 나타낸 것)의 합자에요. 물이 다 증발하여

하늘로 올라가 구름이 되었다란 의미에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김'이란 의미는 이 본

뜻에서 연역된 것이죠. 김은 물이 증발하여 위로 올라가면서 나오는 것이지요. 汽가 들

 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汽車(기차), 汽笛(기적, 기차가 내는 소리) 등을 들 수 있겠

                네요.                                                                                                                           

 

은 土(흙토)와 或의 합자에요. 或은 일정한 인구[口]와 영토[一] 및 무력[戈: 창과

]을 갖춘 지역이란 의미에요. 지금으로 말하면 국가의 개념이지요. 이 或에 역시 영토

의 의미인 口와 土를 붙여 國과 域이란 글자가 만들어 졌지요. 따라서 或, 國, 域은 본  

래 같은 의미라고 볼 수 있어요. 지금은 다 다르게 사용하죠. 或은 국가라는 의미보다  

는 '혹시'라는 뜻으로(왜 이런 의미를 갖게 됐는지는 잘 모르겠어요 ㅠㅠ), 國은 '나라'

    라는 뜻으로, 域은 '지경(두 지역의 경계가 맞닿은 지역)'이란 의미로 사용하죠. 域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地域(지역), 廣域(광역)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를 풀어 보실까요?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김기, 지경역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廣(   ),  (   )車                    

 

 

    3. 다음을 한자로 써 보시오: 기수역                                                                       

 

 

        민물과 바닷물이 만나는 지역의 물을 왜 汽水라고 했는지, 설명하는 자료를 못찾겠더군     

요. 짐작컨대 汽水域은 습지이기 때문에 물이 고여 증발하는 관계로 그런 이름을 붙인

                  것 아닌가 싶어요. 재미있는 것은 중국어로 사이다를 汽水라고 표현한다는 거에요. 습지               

                 에 고여있는 물에서 뽀글뽀글 기포 현상이 발생하듯 탄산 음료도 그런 모습을 보이기에               

            그리 사용하는가 봅니다.                                                                                             

 

                                                 

오늘은 여기까지 입니다. 내일 뵙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한 때 유행한 광고가 있었죠 -- "부자되세요!" 덕담인지 놀리는 건지 들

을때 마다 좀 짜증났던 기억이 나네요. 이런 광고는 기저율을 무시하는 

광고죠. 우리 사회에서 부자가 될 수 있는 사람의 확률이 과연 얼마나   

되겠어요? 대부분의 사람이 부자보다 부자아닌 사람으로 살 확률이 훨 

씬 더 크잖아요? 그럼에도 사람들에게 불필요한 환상을 심어주니, 들을

수록 짜증나는 광고지요. (이런 마음을 갖고 있으니 제가 부자가 안 된  

  모양이에요. ^ ^ )                                                                     

 

이럼에도 불구하고 '부자되세요'류의 광고가 유행한(하는) 것은 사람들

의 마음 속에 그런 욕망이 잠재되어 있기 때문인 것 같아요. 광고가 자 

본주의의 꽃이고, 자본주의란 인간의 욕망을 기저로 하니 '부자되세요'

류의 광고는 앞으로도 끊임없이 나오겠지요.                                  

    

 사진은 타이완 면세점의 이름이에요. 중국 발음으로는 '셩헝창'이라고 

읽어요. 우리 발음으로는 '승항창'이라고 읽지요. 昇은 오를승, 恒은   

              항상항, 昌은 창성할창이지요. 의미는 그 밑에 나와있는 영어 단어와 같            

  아요. '항상 부유한'이란 의미지요, 좀 더 정확하게는 '잘되서 항상 부유

         한' 이란 의미에요. 상품을 매매하는 면세점과 고객 모두 '잘되서 항상         

           부유하길' 기원하는 의미가 담겨 있는 것이지요. 처음에 얘기했던대로           

 기저율을 무시한 황당한(?) 상호이긴 하지만, 사람의 기본 욕망을 자극 

 하는 대단히 자본주의에 충실한 상호라고 말할 수 있을 것 같아요.      

     

한자를 좀 자세히 알아 볼까요?                                                

 

 은 日(해일)과 升(오를승, 용랑의 단위인 '되'라는 뜻으로도 많이   

   사용하죠)의 합자에요. 해가 떠올랐다는 의미지요. 昇이 들어간 예는 무 

엇이 있을까요? 上昇(상승), 昇降(승강)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忄(마음심)과 亘(걸칠긍)의 합자에요. 亘에서 日은 배를 그린 것  

이고 二는 상류와 하류의 정박처를 의미해요. 언제나 똑같은 마음으로 

  배를 저어 양쪽의 정박지를 오고 간다란 의미에요. 恒이 들어간 예는 무

     엇이 있을까요? 恒久(항구), 恒時(항시)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日(해일)과 曰(말하다의 뜻, 가로왈)의 합자에요. 두가지로 설명

           해요. 하나. 밤새 조용했다가 해가 뜨자 사람들의 말소리가 왁자하다. 둘.       

     햇살처럼 밝고 찬란한 말. 둘 다 일리가 있는 것 같아요. 지금 사용하는 의

     미인 '창성하다'는 본 뜻에서 연역된 의미라고 할 수 있어요. 昌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繁昌(번창), 昌大(창대)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를 풀어 볼까요?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오를승, 항상항, 창성할창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   )大, (   )降, (   )時                                                   

         

  3. 다음 밑줄 친 부분의 한자 음을 읽어 보시오.                               

 

                          네 시작은 微弱하였으나 네 끝은 심히 昌大하리라                                          

 

         

                                     오늘은 여기까지 입니다. 내일 뵈용~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조금 있으면 휴가철이군요. 이번 휴가는 어디로 가실 예정인지요? 해외로 가시나요? 국내 유명 관광지로 가시나요? 아니면 어디 산 좋고 물 좋은 곳으로...  팔자좋은 소리 하지 말라구요? 죄송합니다. ㅠㅠ   

 

  그래도 혹 휴가를 가실 수 있다면, 이 곳은 어떠신지요? 휴선 체험원. 뭐하는 곳이냐구요? 숙박을 하면서 유기농 농사 체험을 하는 곳이에요. 뭐, 그런데를 가냐구요?  하긴, 쉬러가는 휴가인데 농사 체험이라니... 좀 황당하긴 하네요. ㅠㅠ 죄송합니다. 오가며 이 간판있는 곳을 지나는데 사람 그림자가 별로 없어, 안타깝기에, 홍보차원에서 소개를 해드렸는데, 제 생각이 좀 짧았던 것 같네요.ㅠㅠ

 

  그나저나 이 체험원은 일단 '휴선'이란 한자부터 바로 잡아야겠어요. 烋仙이 아니라 休仙으로요. 烋는 기세대단할효, 仙은 신선선, 休는 쉴휴로 읽어요. 유기농 농사 체험이니까 아무래도 休仙으로 표기하는게 맞지 않겠어요? 한가하고 여유있게 신선처럼 쉬다 가라는 의미로요(살짝 일도 해야 하지만 ^ ^). 烋仙으로 표기하면 '기세 대단한 신선'이란 의미인데, 왠지 어색하죠? '기세 대단하다'는 것과 '신선'이 영 어울리지 않잖아요?  (물론 유기농 체험을 하면 힘든 면도 있을테니 기세 대단하다란 말을 굳이 못쓸 이유도 없지만요.) 그런데 烋는 '아름답다'는 뜻도 있어요. 그때는 음도 '효'가 아니고 '휴'에요. 그렇게 보면 烋仙은 '아름다운 신선'이란 의미가 되는데, 이건 또 유기농 농사체험이랑 왠지 어울리지 않는 이름같죠? (혹, 모르죠. 그런 의미로 썼을지도. 그래도 왠지...) 이래저래, 제 생각엔, 이 간판의 한자 표기가 잘못 씌여진 것 같아요.

 

제 생각엔 이런 어려운 이름쓰지 말고 차라리 '신선놀음 체험원'이라고 했으면 어땠을까 싶어요? ^ ^ 이해하기도 쉽고 재미도 있고. 休(휴) 열풍 속에서 이런 어렵고 어색한 이름을 짓지 않았나 싶어요. 이름을 바로 잡거나 바꾸면 이곳에 혹 사람 그림자가 자주 눈에 띌지도... 하하하.

 

 

한자를 좀 자세히 알아 볼까요?

 

는 灬(火의 변형, 불화)와 休(쉴휴)의 합자에요. 불꽃[灬]이 활활 타오르는데서 '기세가 대단하다, 아름답다'의 의미를 연역해 냈지요. 休는 음[효, 휴]을 담당해요. 烋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많이 사용하는 글자가 아니라 쉽게 들만한 예가 별로 없군요. 炰烋(포효, 기세가 대단하다는 의미. 큰 소리로 우렁차게 운다는 의미의 '포효'는 咆哮로 표기해요) 정도를 들 수 있겠네요.

은 전에 한 번 다뤘죠. 한 번 더 할게요. ^ ^ 人(사람인)과 山(뫼산)의 합자에요. 입산 수도하여 불로장생을 이룬 후 승천한 사람이란 뜻이에요. 僊으로 표기하기도 해요. 仙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神仙(신선), 仙道(선도)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우스개 소리로, 사람이 산으로 들어가면 신선[仙]이 되고 골짜기[谷: 골짜기곡]로 내려오면 속된 사람[俗: 세속속]이 된다는 말이 있지요. ^ ^ 올 여름엔 모두 신선들이 되시기를!

는 人(사람인)과 木(나무목)의 합자에요. 말 그대로, 힘들 때 나무에 기대어 쉰다는 의미에요. 여름 철 땡볕아래에서 일하다 나무 그늘에 들어가 쉬는 농부를 생각하면 딱 맞지요. 休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休息(휴식), 休憩所(휴게소)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를 풀어 보실까요?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기세대단할효, 신선선, 쉴휴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    )道, (    )息, 炰(    )

 

3. 여름 나기 특별 계획이 있으면 말해 보시오.

 

 

오늘은 여기까지 입니다. 내일 뵙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오늘이 중복이군요. 더위에 지친 분들을 위해 오늘은 보약을 하나 드리겠어요. 보

약 이름은 헤모글로빈탕입니다. 그런 보약이 어디 있냐구요? 있어요! ^ ^ 장난아 

  닙니다~ ^ ^ 재료는 과일과 야채 견과류 검은 깨 그리고 꿀이에요. 비싸고 좋은    

 재료는 다 들어가 있죠? ^ ^ 자, 쭉~ 마셔 보세요. 맛이 어때요? 약간 시금털털   

 하죠? 뭐, 건강에 좋으니까 그런 정도야... ^ ^                                             

                           

위 사진은 헤모글로빈탕이 들어 있는 봉지에요. 한자를 읽어 볼까요? 抽는 뽑을  

추, 出은 날출, 液은 즙액이에요. 추출액, '뽑아낸 즙'이란 뜻이지요. 헤모글로빈  

에 해당하는 한자 이름이름이었으면 더 좋았을텐데, 큰 의미없이 그냥 써놓은  

 것 같아요.                                                                                         

    

     언제부턴가 탕제원, 건강원 등의 이름으로 여러가지 것들을 즙내어 판매하는 곳이     

         많아 졌어요. 처음에는 편리해서 좋은줄 알았는데, 부정적으로 보는 시각도 있더           

군요. 특히 약재와 관련해서. 요지는 이거에요. 약을 한첩씩 달이는 것 하고 전체  

약재를 한꺼번에 달이는 것은 달이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화학반응이 달라질 수 있

기 때문에 제대로 된 약효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것이지요. 약탕기가 없으면 냄비  

       같은데에다 한첩씩 달여 먹는게 좋다고 해요. 일리있는 의견같애요.^ ^ 이렇게 보        

      면 헤모글로빈탕도 탕으로 만들지 말고 직접 그 재료들을 씹어 먹거나 조금씩 달        

   여 먹는게 나을 것 같기도... ^ ^                                                                  

 

자, 한자를 좀 자세히 알아 볼까요?                                                          

 

는 扌(手의 변형, 손수)와 由(말미암을유)의 합자에요. 손으로 끌어당겨 밖   

으로 나오게 한다는 의미에요. 由는 음을 담당하면서(유-->추로 변함) 뜻도 일부 

 분 담당해요. 끌어당겨 밖으로 나오게 하려면 외부로 부터의[由] 힘이 필요하다는

  의미로요. 抽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抽象(추상), 抽拔(추발, 발탁과 같은

  의미임)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두가지로 설명해요.  하나. 문 입구[凵]에서 밖으로 나가려는 사람의 발   

[屮]을 그린 것이다. 둘. 땅 속에[凵] 있는 식물의 싹이 밖으로 돋아 나오는[屮]  

모습을 그린 것이다. 둘 다 일리가 있죠? 出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外  

出(외출), 出他(출타)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氵(水의 변형, 물수)와 夜(밤야)의 합자에요. 어떤 물체의 내부에서 나    

오는 진액[氵]이란 의미에요. 夜는 음을 담당하면서(야-->액으로 변함) 뜻도     

일부분 담당해요. 진액은 곧 물기인데 물기는 대개 밤에 생긴다란 의미로요.       

液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液汁(액즙), 액체(液體) 등을 들 수 있겠      

네요.                                                                                               

  

정리문제를 풀어 보실까요?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뽑을추, 날출, 즙액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  )體, (  )象, 外(  )      

 

3. 추출액의 장단점에 대해 말해 보시오.                                                  

 

  

헤모글로빈탕은 누가 선물로 줬어요. ^ ^ 조혈(造血)기능이 있어 좋다면서요.     

제 형편에 비용 많이 들어가는 보약은 그림의 떡일 뿐입니다. 제게는 한심탕      

(閑心湯)이 최고의 보약입니다. 하하하.                                                    

                              

오늘은 여기까지 입니다. 내일 뵙겠습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마쿠로스케 2015-07-25 01: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오, 귀에 쏙쏙 박히네요!
별 의미 없이 썼을 거라 생각되지만,
그럴 듯하게 봉지에 적힌 추출액이라는 글자가 웃기긴 합니다. ^^
잘 읽고 갑니다~!

찔레꽃 2015-07-25 08:20   좋아요 0 | URL
감사합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