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드니에'란 이름 들어 보셨는지요? 만일 들어 보셨다면 중년이 넘으신 거고, 안 들어 보셨다면 젊으신 분이에요. ^ ^ '모드니에'는 화장품 이름이에요. 외래어도 아니고 한글도 아닌, 정확히 말하면 외래어의 외피를 쓴 엉터리(?) 한글 이름이에요. 그런데 그 느낌은 상당히 세련된 느낌을 주죠. 화장품 회사가 노린 것은 바로 이 점이에요. 투박한(?) 국산 화장품이 아니라 세련된 외제 화장품과 같다는 느낌을 소비자에게 주어 판매량을 늘리려는 계산이 깔려 있는 거죠. '모드니에'가 실제 많이 팔렸는지는 잘 모르겠어요. ^ ^

                                                                                                             

 

'모드니에'같은 말을 문자(언어)유희라고 하죠. 오늘 보실 내용도 문자(언어)유희에 해당하는 내용이에요.

 

왼쪽 것을 읽어 볼까요? 청렴한(韓: 나라이름한) 세상. 오른쪽 것을 읽어 볼까요? 김밥애(愛: 사랑애) 쏘~옥. 鮮은 '고울선'이라고 읽어요.

 

'청렴한(韓) 세상'에서 '韓'은 동일한 발음의 '한'을 한자로 바꾸면서 단순 조사의 역할과 함께 청렴한 한국이라는 의미까지 전달하는 이중 역할을 수행하고 있죠. '김밥애(愛) 쏘~옥'도 유사하죠. '愛'는 유사한 발음의 '에'를 한자로 바꾸면서 단순 조사의 역할과 함께 김밥이(에) 사랑하는(어울리는) 맛살이란 의미까지 전달하는 이중 역할을 수행하고 있죠. 다만 조사 '에'의 발음과 愛의 음이 일치하지 않아 전자보다는 효과가 좀 떨어지는 것 같아요. ^ ^

 

광고의 문자(언어)유희는, 다 아시겠지만, 단순 유희가 아니라 제한된 시공간에서 최대한의 극적 효과를 얻기 위해 치밀한 계산을 깔고 만들어진 것이지요. 위 사진의 두 광고도 아마 고심끝에 만들어 진 것이 아닐까 싶어요. 그러나, 모르죠, 순간의 번뜩이는 아이디어로 만들어졌는지도... ^ ^

 

愛는 전에 다뤘으니, 韓과 鮮만 좀 자세히 알아 볼까요?

 

은 倝(음 담당, 간 -->한으로 바뀜)과 韋(가죽위)의 합자에요.  倝은 음을 담당하지만 뜻도 일부분 담당해요. 倝은 본래 햇살이 사방으로 비춘다란 의미에요. 韓은 가죽으로 에워싸듯이 우물위에 사방으로 설치한 시설물(난간)이란 의미에요. 사람과 짐승이 우물에 빠지지 않도록 설치한 것이죠. 지금은 본래의 뜻으로는 사용하지 않고 나라이름으로만 사용하죠. 그 경위는 저도 잘 모르겠어요. ㅠ ㅠ  韓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韓非子(한비자, 법가사상의 집대성자), 大韓民國(대한민국)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魚(물고기어)와 羊(양양)의 합자에요. 물과 뭍의 대표 요리 재료인 魚와 羊, 그것으로 요리한 음식이 맛있고 좋다란 의미에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이 글자의 의미인 '곱다'란 의미는 여기서 연역된 것이지요. 鮮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鮮明(선명), 新鮮(신선)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를 풀어 보실까요?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나라이름한, 고울선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新(   ), 大(   )民國

 

3. 본인이 알고 있는 문자(언어)유희 광고를 하나 써 보시오.

 

 

오늘은 여기까지 입니다. 내일 뵈요~ ^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혹 베트남에 가셔서 이상한 한글 간판이나 광고 보신 적 있으신지요? 한국 관

객들이 많다 보니 한국 관광객을 대상으로한 간판이나 광고가 종종 눈에 띄

는데, 어색한 문구때문에 실소를 짓게 되는 경우가 있더군요.                     

                                                      

오늘 소개할 간판을 중국분들이 보면 우리가 베트남에 가서 느꼈던 그런

가의 느낌을 가지실 것 같아요. 먼저 간판을 읽어 볼까요? 정통중국요리전문

(正統中國料理專門店) 청도(靑都). 아무 문제가 없는 것 같죠? 아니에요.

 ^ ^ 마지막 이름 청도(靑都)가 잘못 됐어요. 靑都는 靑島로 표기해야 해요.

왜냐구요? 중국에서 유명한 관광지의 한 곳이 靑島거든요. 중국어로는 칭따

오라고 읽죠(맥주로도 유명한 곳이죠). 靑都라도 쓰면 그저 '푸른 도시'란 

뿐 중국의 한 지역을 가리키는 뜻은 아니에요. 그럼, 이 음식점의 주인은

 그저 단순한 의미의 '푸른 도시'란 의미로 靑都라는 표기를 사용한 것일까요?

만일 그런 의미로 사용했다면 굳이 틀렸다고 할 이유도 없겠지요.             

 

하여, 제가 이 음식점에 들러 주인 분에게 여쭤 봤어요. 靑島라고 표기해야

하지 않냐구요. 그랬더니 '맞다.'고 하시면서, 돈이 들어가 안고치고 있다고

하시더군요. ^ ^ 뭐, 사실 음식점 주인분에게야 장사하는데 지장없으면 되

靑都면 어떻고 靑島면 어떻겠어요? ^ ^ 그  주인 분, 속으로 '별 걸 다 물어

본다'고 생각하셨을 것 같아요. 물어본 날, 그냥 물어보기 뭐해서 짜장면   

     한 그릇 사먹었네요. ^ ^                                                                    

 

몇 글자 좀 자세히 알아 볼까요?

 

糸(실사)와 充(가득할충)의 합자에요. 각각의 실들[糸]을 하나로 통합

[充]시켰다란 의미에요. '합칠통, 거느릴통'이라고 읽어요. 統이 들어간 예는

엇이 있을까요? 統合(통합), 統率(통솔)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본래 물레라는 뜻이었어요. 윗부분은 물레의 형태를 그린 것이고 아래

는 손의 형태를 나타낸 것이에요. 손으로 물레를 돌리는 의미를 표현한 것이

지요. 지금은 '오로지'라는 뜻으로만 사용하죠. 이 의미는 본 뜻에서 연역된

것이에요. 물레를 돌리는데 집중한다는 의미로 '오로지'란 의미를 연역해 낸

것이지요. 專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專門(전문), 專攻(전공)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广(집엄)과 占(坫의 줄임자, 잔대점, 잔을 놓는 자리)의 합자에요. 잔

대에 잔을 놓듯이 물건을 놓고 파는 집, 즉 가게라는 의미에요. '가게점'이

라고 읽어요. 店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店鋪(점포), 商店(상점)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阝(邑의 변형, 고을읍)과 者(渚의 줄임자, 물가저)의 합자에요. 물이  

는 곳에 마련한 고을이란 의미인데, 도읍이란 뜻으로 사용해요. 도읍은  

, 잘 아시는 것처럼, 대개 큰 하천을 끼고 형성되죠. '도읍도'라고 읽어요.

都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都市(도시), 首都(수도)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를 풀어 볼까요?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쓰시오.

 

거느릴통(합할통),  오로지전, 가게점, 도읍도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쓰시오.

 

(    )門, (    )鋪, (    )市, (    )率

 

3. 다음을 한자로 써 보시오.

 

정통중국요리전문점 청도

 

 

주말이 내일이군요. 가족들과 외식하실 때 혹 중국요리점에 가실 수

도 있겠죠? 특별한 가게 이름이 있다면 제게 좀 알려 주시겠어요? ^ ^

 

오늘은 여기까지 입니다. 내일 뵙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성완종 리스트'와 관련된 인사 대부분이 무혐의 처리된다죠? 지인 한 사람은 박대통령이 정면 돌파하며 원칙에 따라 수사하라고 할 때부터 이미 이런 결과가 나오리라 예측했는데, 정말 그렇게 됐네요. 그래도 '혹시나?'하는 기대를 가졌는데, '역시나!' 부질없는 기대였어요. 힘없는 사람에게는 강하고 힘있는 사람에게는 약한 검찰의 모습을 새삼 확인하니 참 씁쓸하기 그지 없어요. 형식과 절차를 갖춘 수사였지만 의지가 없는 수사였다는 건 삼척동자도 다 알거에요.

 

갑자기 왠 '성완종 리스트' 얘기냐구요? 오늘 사진이 그이와 관련있거든요. 성완종씨는 지역구가 서산이었는데, 서산의 옛 지명은 서령(瑞寧)이었어요. 그리고 지금은 시(市)이지만 전에는 군(郡)이었지요. 사진에 나와있는 현판은 서령군문(瑞寧郡門)이라고 읽어요. 별다른 설명이 필요없을 것 같군요.

 

郡 빼고는 전에 다 다뤘어요. 郡만 좀 자세히 알아 볼까요?

 

은 阝(邑의 변형, 고을읍)과 君(임금군)의 합자에요. 임금의 명을 받은 관리가 임금처럼 군림하여 다스리는 고을이란 의미에요. '고을군'이라고 읽어요. 郡과 縣은 지방 행정의 기본 단위인데, 주(周)나라 때는 縣이 郡보다 큰 단위였고, 진(秦)나라 이후로는 郡이 縣보다 큰 단위로 사용됐어요. 郡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郡縣制(군현제), 郡守(군수)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오늘은 정리 문제를 아니 내도 되겠지요? 내일 뵙도록 하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어디 몸이 안좋은데 있으신가요? 머리? 목? 속? 허리? 팔다리? 다 아프시다구요? 이런... 힘드시겠네요.

 

 제가 그것들을 낫게 해드릴 약을 하나 소개해 드릴게요. 그 약은 바로, 가야환(可也丸)이에요. 이름하여 '괜찮다(다 낫는다) 알약'이지요. 이름처럼 정말 효과가 있냐구요?

 

 위약(僞藥)효과 혹은 플라시보 효과라고 들어 보셨는지요? 아무 효과가 없는 약인데도 효과가 있는 것인 양 믿고 먹으면 효과가 나타난다는 주장이지요.

 

 가야환은 거짓 약도 아니니 믿고 드시면 정말 이름처럼 효과를 보실 거에요. 파는 곳이 어디냐구요? 하하하, 그것은 비밀입니다.

 

사실 사진에 나온 '가야환'은 소화제에요. 지인에게서 얻었는데, 소화제 계통의 이름을 사용하지 않고 재미있는 이름을 사용해서 자료로 사용해 봤어요. 이름값을 하는지, 꽤 효과가 있더군요. 이 알약을 조제한 한의사 분은 유머 감각이 남다르실 것 같아요. ^ ^

 

可는 전에 다뤘으니 也와 丸만 좀 자세히 알아 볼까요?

 

는 본래 손대야를 그린 거에요. 丨은 물을 넣는 입구를, ㄱ은 몸체를, ㄴ은 물이 흘러 나오는 주둥이 부분을 그린 거에요. 후에 손대야를 의미하는 글자는 匜(손대야이)로 쓰이게 되었고, 也는 '~이다'라는 단정의 의미를 나타내는 어조사로만 사용하게 되었지요. '어조사야'라고 읽어요. 어조사로 사용되기 때문에 특별히 예를 들만한 것이 없군요. 그래도 아쉬우니... 혹시 천자문의 마지막 구절이 무엇인지 아세요? 바로 焉哉乎也(언재호야)에요. 也처럼 焉과 哉와 乎는 모두 문장의 말미에 사용되는 어조사들이에요. 그 뜻은 각각 '~이다' '~인가(저)' '~인가(이리요)' 에요.

 

두 가지로 설명해요. 하나. 仄(기울측)과 反(되돌릴반)의 합자로, 똑바로 서지 못하고 계속 기울어서 뒹굴어 다니는 상태라는 의미이다. 둘. 본래 ⊙ 의 모양이었는데, 형태가 변한 것이다. 丶은 둥글게 만들려고 만지는(반죽하는) 동안 일시적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을 표현한 것이다. 둘 다 일리가 있죠? 저는, 개인적으로, 두 번째 견해가 더 일리있는 것 같아요. '알환, 둥글환'이라고 읽어요. 丸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丸藥(환약), 彈丸(탄환)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를 풀어 보실까요?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어조사야, 둥글환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    )藥, 焉哉乎(    )

 

3. 다음을 한자로 바꾸어 표현해 보시오.

 

   괜찮다(다 낫는다) 알약

 

 

오늘은 여기까지 입니다. 내일 뵈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오늘은 저하고 몸보신 좀 하실까요? 뭐 드시겠어요? 보신탕? 장어구이? 토끼탕? 생사탕?

토룡탕? 삼계탕? 메뉴가 많으니 혼란스럽다구요? 저보고 고르라구요? 저는... 삼계탕으로

하고 싶은데, 괜찮으시겠어요? 좋으시다구요? 그런데, 어디로 갈거냐구요? 음, 황후삼계

 탕이요! 맛이 괜찮냐구요? 그럼요, 명색이 황후삼계탕인데. 어디에 있냐구요? 경복궁 근처

                              에요. 이따 연락드릴테니 꼭 오세요!

 

위 사진은 서울 경복궁 근처에 갔다가 찍은 간판이에요. 밑에 일본어가 붙어 있는데, 일본

어는 뺐어요 ^ ^ 어떻게 읽는 지는 위의 이야기에 나왔어요. 한 번 읽어 보실까요? 그렇죠

! 황후삼계탕. 임금황(皇) 황후후(后) 인삼삼(蔘) 닭계(鷄) 끓인물탕(湯). 삼계탕 간판치고

는 이름이 너무 거창한 것 같아요 ^ ^  맛이 정말 괜찮냐구요? 그게, 실은... 저도 먹어보진

않았어요 ㅠ ㅠ 보양식을 꺼리는 편이라... 그럼 위에 든 보양식들은 다 뭐냐구요? 그냥 주

                             워들은 것을 뇌까렸을 뿐이에요 ^ ^

 

 삼계탕은 여름 철의 대표적인 보양식인데, 혹자는 계삼탕으로 불러야 한다고 하더군요.   

 닭이 주재료이고 인삼은 보조재료이기 때문이래요. 맞는 말 같죠? 그나저나 이제 정말 닭

과 견공들의 수난철이 다가 왔군요. 옛날에야 먹을 것이 부족했으니 삼계탕이나 보신탕이

보양식으로 권장할 만 했지만, 요즘처럼 먹을 것이 많은 때에 굳이 삼계탕과 보신탕을 먹

                             어야 하는지 의문입니다.

 

                             자, 낯선 글자를 좀 자세히 알아 보실까요?

 

은 두가지로 설명해요. 하나. 면류관을 쓰고 단정히 옥좌에 앉아 있는 모습을 그린 것이

다. 둘. 白(自(부터자)의 변형)과 王(임금왕)의 합자로, 처음으로[白(自)] 임금 노릇한 위

대한 자라는 뜻이다. 둘 다 일리가 있죠? 개인적으로는 첫 번째 설이 더 신뢰성이 가요^ ^

皇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皇帝(황제), 皇上(황상) 등을 들 수 있겠네요. 皇帝라

는 명칭을 처음 사용한 사람은 진나라 왕이었던 정(政)이에요. 전국시대를 통일한 후 자신

의 업적은 고대의 위대한 통치자였던 三皇(삼황, 복희/신롱/황제)과 五帝(오제, 소호/전

욱/고신/당요/우순)의 업적을 합친 것과 같다하여 사용한 명칭이에요(삼황오제가 누구누

구냐는 의견이 조금씩 달라요). 이 명칭이 자손대대로 사용되길 소망하여, 자신이 그  첫

                             번째란 의미로 '始皇帝(시황제)'란 명칭을 사용했죠.

 

는 두가지로 설명해요. 하나. 口(입구)위에 있는 글자는 亻(사람인)을 가로로 쓴 것이다

. 하여 이 글자는 명령을 내리는[口] 사람, 즉 임금이란 뜻이 된다. 둘. 厂(언덕한)과 一과

口의 합자이다. 높은 곳에서 한 번 명령을 내림에 사방에 전달되게 하는 자, 즉 임금이란

뜻이다. 后는 본래 천자와 제후에게 사용하던 명칭이었는데, 후에 천자나 임금의 아내에게

사용하는 명칭으로 변경되었지요. 后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后宮(후궁, 궁녀가

                             있는 궁전), 后妃(후비, 황후)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艹(풀초)와 參(侵의 변형, 차츰나갈침)의 합자에요. 점진적으로 자라며 맛도 쓴 맛에

서 차츰 단 맛으로 변해가는 약초란 의미에요. 피로를 제거하고 위를 보호하는 약재로 널

 리 알려져 있죠. 蔘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人蔘(인삼), 紅蔘(홍삼)등을 들 수 있

                              겠네요.                                                                                                               

 

은 氵(물수)와 陽(볕양)의 옛글자와의 합자에요. 햇볕을 쬐면 뜨겁듯이 그처럼 온도가  

높은 물이란 의미에요. 湯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溫湯(온탕), 沐浴湯(목욕탕)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를 풀어 보실까요?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임금황, 황후후, 인삼삼, 끓인물탕

 

                             2. (     )안에 들어 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紅(     ), 溫(     ), (     )宮, (     )帝

 

                             3. 본인이 즐겨먹는 보양식과 그것을 먹게 된 계기를 말해 보시오.

 

                          

 

                               제가 즐겨 먹는 보양식 하나 소개해 드릴까요? 한심탕(閑心湯)입니다. 하하하. 오늘은

                               실없는 농담을 너무 많이 했네요. 죄송 ㅠㅠ   내일 뵙겠습니다~ ^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