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칠 전 어떤 지인이 이런 말을 하더군요. "머리에 있는 것이 가슴에 내려가기 까지는 70년이 걸린데..." 지인의 말이 사실이라면, 우리는 평생 '아는 척'만 하다 생을 마감하는 것이 아닐까 싶더군요. 더불어 '안다는 것'이 되려 온전한 삶을 방해할 수도 있겠다는 생각도 들구요.

 

오늘 사진의 내용은 그런 '척'하는 앎을 버리라는 경고의 메시지에요. 입차문내막존지해(入此門內莫存知解). "이 문에 들어 서는 자, 절대 알음알이를 간직하지 말라!"는 뜻이에요. 섣부른 '앎'에 대한 경고이자 '앎' 그 자체에 대한 경고이기도 하죠. 이는 불립문자(不立文字)를 강조하는 선종(禪宗)의 강조점인데, 정보의 홍수 속에 살고 있는 현대인에게 시사하는 바가 큰 것 같아요. '앎=삶'의 생활을 하기 하지만, 그 앎이 과연 우리 삶의 질[행복]에 얼마만한 기여를 하고 있는지는 반성해 볼 여지가 있는 것 같아요. 얼마나 알아야 삶의 질[행복]이 나아지는 걸까요? 앎을 버리면 삶의 질[행복]은 형편없이 퇴락할까요?

 

한 글자씩 읽어 볼까요? 들(入) 이(此) 문(門) 안(內) 말(莫) 있을(存) 알(知) 이해할(解). 처음 접하는 글자들만 좀 자세히 알아 보도록 하죠.

 

은 식물의 뿌리가 땅 속으로 파고 들어가는 모양을 그린 거에요. 丨은 줄기를, 八은 뿌리를 그린 것이지요. 入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出入(출입), 入場(입장)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止(그칠지)와 匕(比(나란할비)의 옛글자)의 합자에요. 나란히 차례대로 자신이 서야할 곳에 서있다란 의미에요. '이'란 의미는 본 뜻에서 연역된 것이에요. 서 있어야 할 곳은 바로 '이(곳)'이란 의미지요. 此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彼此(피차), 此際(차제)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冂(멀경)과 入(들입)의 합자에요. 먼데서(밖에서) 가까운 곳으로(안으로) 들어온다는 뜻이에요. 冂을 집으로 보고, 집안에 들어갔다란 뜻으로 풀이하기도 해요. 內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內外(내외), 內面(내면)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해[日]가 풀들이[十十과 大는 艸(풀초)의 변형이에요] 우거진 속에 들어간 모습을 그린 것으로, 해가 져서 어둑어둑하다는 의미에요. '저물다'란 의미지요. 지금은 '저물다'란 의미를 暮(저물모)로 표현하고, 莫은 주로 '없다, ~하지 말라' 등의 의미로 사용해요.  '없다, ~하지 말라'는 본 뜻에서 연역된 의미에요. 설명 안드려도 충분히 이해하실 것 같아요. ^ ^ 莫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莫大(막대), 莫重(막중)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子(아들자)와 才(재주재)의 합자에요. 才는 초목이 막 싹을 틔우는 모습을 표현한 것이에요. 막 싹을 틔우는 초목을 잘 보호하듯이 어린 자식을 애지중지하며 애틋한 마음을 갖는다란 의미에요. 存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存在(존재), 保存(보존)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矢(화살시)와 口(입구)의 합자에요. 矢에는 '예리하다, 정확하다'란 의미가 내포되어 있어요. 대상에 대해 정확하고 예리하게 말할 수 있을만큼, 대상을 잘 알고 있다란 의미에요. 知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知識(지식), 知性(지성)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를 풀어 보실까요?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들입, 이차, 안내, 말막, 있을존, 알지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保(     ), 彼(     ), (     )外, (     )場, (     )重, (     )性

 

3. 다음을 뜻과 음으로 소리내어 읽고 의미를 풀이하여 보시오.

 

    入此門內莫存知解

 

 

주말이군요. 머리 속을 비우기 위해서 주말 내내 아무 것도 안보고 지내는 것은 어떨런지요? ^ ^ 

 

오늘은 여기까지 입니다. 내일 뵙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나모도 아닌거시 풀도 아닌거시/ 곧기는 뉘 시키며 속은 어이 비었는가/ 저렇게 사시에 푸르니 그를 좋아하노라

 

윤선도 선생의 오우가 중 '대나무'를 읊은 시에요. 대나무는 소나무와 더불어 군자의 상징으로 대표되는 식물이죠.

 

오늘은 대나무를 그린 그림의 화제(畵題: 그림에 딸린 글)를 한 번 읽어 보도록 할까요? 사진은 한 공공기관을 방문했다가 찍은 거에요. 공공기관에 걸려있고 대나무를 그린 것이니, 화제의 내용이 어떠하리라는 것은 어느정도 짐작하실 수 있을 것 같애요.

 

글씨가 행서체로 되어 있어 읽기가 좀 어려우실 것 같아요. 해서체로 바꾸어 읽어 보도록 하죠.

 

卷石不盈尺/ 孤竹不成林/ 性有歲寒節/ 乃知君子心(권석불영척/ 고죽불성림/ 성유세한절/ 내지군자심). 어떤 내용일까요?

 

한 자도 안되는 돌위에/ 외로운 대나무 두어 그루/ 세한의 푸른 절개 본디 성품/ 군자의 마음 지녔음을 알케라. ('세한'은 <논어>에 나오는 '歲寒然後知松柏之後凋(세한연후지송백지후조, 한 해가 차가워진 뒤에사 소나무와 잣나무가 늦게 시드는 것을 알 수 있다)'란 구절을 압축시켜 표현한 말이에요.)

 

약간 의역했어요. 한자를 하나씩 읽어 볼까요? 작을(卷) 돌(石) 아니(不) 찰(盈) 자(尺)/ 외로울(孤) 대나무(竹) 아니(不) 이룰(成) 수풀(林)/ 성품(性) 있을(有) 해(歲) 찰(寒) 마디(節)/ 이에(乃) 알(知) 임금(君) 아들(子) 마음(心).

 

기존에 다뤘던 한자는 빼고 새로 나온 한자만 좀 자세히 알아 보도록 할까요?

 

은 무릎을 꿇었다는 의미에요(㔾: 무릎꿇을절). 㔾위의 한자는 음[권]을 담당하면서 뜻도 일부분 담당해요. 㔾위의 한자는 본래 주먹밥을 만든다는 뜻으로, 위 아래를 밀접하게 만든다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어요. 무릎을 꿇으면 다리 윗부분과 아랫 부분이 밀접해지지요. 다시 정리하면, 주먹밥을 만들 때 위아래를 매만져 밀접하게 만들 듯, 무릎을 꿇어 위 아래 다리를 밀접하게 만들었다란 의미가 되겠네요. 卷은 '책, 작다'라는 뜻으로도 사용하는데, 모두 본 뜻에서 연역된 것이에요. 과거의 책(죽간)은 말아서 보관했기에 무릎꿇은 모양과 유사하여 '책'이라는 뜻으로도 사용하게 되었고, 무릎을 꿇으면 본디의 모습보다 작아지기에 '작다'라는 뜻으로도 사용하게 된 것이지요. 卷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卷帙(권질, 책), 卷數(권수)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작다'라는 의미로는 본 시에 나온 卷石(권석) 정도 밖에 예가 없는 것 같애요.

 

은 그릇[皿: 그릇명]에 가득 채우다란 의미에요. 皿위에 있는 글자는 음이 '고'로 '더하여 불리다'란 의미로 사용하는 글자에요. 글자 변환을 할 수가 없어 이렇게 설명드릴 수 밖에 없네요. ^ ^  盈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盈昃(영측, 차고 기울음), 盈月(영월, 보름달)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尸(人(사람인)의 변형)와  乀의 합자에요. 乀은 팔꿈치를 상징해요. 팔꿈치이하의 길이를 나타내는 말이에요. 요즘 도량형으로 대략 30Cm를 가리켜요. 尺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尺度(척도), 咫尺(지척) 등을 들수 있겠네요.

 

은 한 곳에 나무[木: 나무목]들이 밀집해 있다는 의미에요. 그런 곳을 숲이라고 부르죠. 林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森林(삼림), 林野(임야)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忄(마음심)과 生(날생)의 합자에요. 사람이 태어날 때 하늘로 부터 부여받은 마음이란 뜻이에요. 性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性品(성품), 性格(성격)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步(걸음보)와 戌의 합자에요. 歲星(세성, 목성)이 한 차례 이동한[步] 기간이란 뜻이에요. 세성은 공전 주기가 12년으로, 한 차례 이동한 기간이란 1년 즉 12개월을 의미해요. 戌은 음을 담당하는데 소리값이 좀 변했어요(술-->세). 歲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歲月(세월), 歲暮(세모) 정도를 들 수 있겠네요.

 

은 宀(집면)과 艸 艸(풀초)의 약자와 人(사람인)과 二(둘이)의 합자에요. 궁벽진 곳(집)에 살아 너무 추워서 위 아래로[二] 풀을 덮어 온기를 유지하려 한다는 의미에요. 寒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寒氣(한기), 酷寒(혹한)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竹(대나무죽)과 卽(곧즉)의 합자에요. 卽에는 밥을 먹는다는 의미가 있어요. 밥을 먹는다는 것은 사람과 밥이 만나는 것이죠. 그렇듯 대나무의 위 아래 부분이 만나는 부분이란 의미에요. 그 부분을 '마디'라고 부르죠. 節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節度(절도), 季節(계절)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기(氣)가 곧게 분출되지 못하고 굴곡지게 나오는 모습을 표현한 것이에요. 여기서 말을 할 때 곧바로 표현하지 못하고 머뭇거리며 어렵게 표현한다는 의미로 사용하게 되었어요. 乃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乃至(내지), 人乃天(인내천)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尹(다스릴윤)과 口(입구)의 합자에요. 본래는 높은 자리에 있으면서 아랫 사람을 다스리고 명령을 내리는 사람이란 의미였어요. 후에 '임금'이란 뜻으로 고정시켜 사용하게 되었지요. 본래의 의미에서 연역된 것이죠. 높은 지위에 있는 사람의 정점이 바로 임금이잖아요? 君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君長(군장), 君主(군주)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잘 아시죠? 子는 본래 어린 아이가 강보(포대기)에 싸인 모습을 그린 거에요. '아들'이란 의미는 본뜻에서 연역된 것이에요. 남아 선호 때문에 아이의 대표를 아들로 본데서 비롯된 것이죠. 子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子女(자녀), 子息(자식)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를 풀어 보실까요?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작을권, 찰영, 자척, 수풀림, 성품성, 해세, 찰한, 마디절, 이에내, 임금군, 아들자

 

 

2. 다음 (    )안에 들어 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    )品, (    )昃, (    )石, 季(    ), (    )至, (    )主, 森(    ), (    )度, (    )暮, (    )氣, (    )

 

 

3. 다음을 소리내어 읽어 감상을 말해 보시오.

 

 

   卷石不盈尺/ 孤竹不成林/ 性有歲寒節/ 乃知君子心

 

 

 

공공기관에 근무하는 분들이 이 액자의 글귀처럼 처신한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특히 고위 공직자가...

 

오늘은 여기까지 입니다. 내일 뵙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집에서 사용하는 반찬 그릇 밑면을 찍은 거에요. 가운데 큰 글씨는 통할달() 글귀구() 칠벌(), 달구벌이라고 읽어요. 달구벌은 대구(大邱)의 옛 지명이죠.

 

  재미있는 것은 통할달을 번체(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한자 모양을 지칭)로 쓰지 않고 간체(현재 중국에서 사용하는 변형 한자를 지칭)로 썼다는 점이에요(‘통할달을 번체로는 로 표기해요). ‘Made in Korea’라고 돼있지만 실제 이 제품은 중국에서 제작한 것 같아요. 아니면 중국 수출을 위해 우리나라에서 간자 표기를 한 것이지도 모르겠네요. 달구벌 주변의 한자는 아시겠죠? 은 이름명, 은 물건품, 명품이라고 읽어요. 뜻은 굳이 설명 안드려도 될 것 같군요. ^ ^

 

한자를 좀 자세히 알아 볼까요? 은 전에 다뤄서 빼도록 하겠어요. ^ ^

 

()은 걸어갈[: 쉬엄쉬엄갈착] 때 서로 길을 양보하여 막힘이 없다는 의미에요. 이 받치고 있는 글자는 음[]을 담당하면서 뜻도 일부분 담당해요. 이 받치고 있는 글자는 아름답다란 의미에요. 길을 양보하는 것은 아름다운 행위란 의미로, 본 의미를 보조하고 있지요. ()통하다외에 도달하다란 뜻으로도 많이 사용해요. 도달하다란 의미는 본 뜻에서 연역된 거에요. 통해야 도달할 수 있지 않겠어요? ()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通達(통달), 到達(도달)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사람인)(창과)의 합자에요. 창을 들고 상대를 향해 공격한다는 의미에요. 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征伐(정벌), 討伐(토벌)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여러개의 기물[]을 의미해요. 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品質(품질), 物品(물품)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를 풀어 볼까요?

 

1.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쓰시오.

 

   통할달, 칠벌, 물건품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쓰시오.

 

    (     ), (     ), (     )

 

3. 다음을 한자로 써보시오.

 

   달구벌 명품

 

 

지금 달구벌 출신 한 정치인이 곤혹스런 상황에 처했죠? 재미있는 것은 일반 국민들과 대다수 동료들은 그 정치인을 지지하는데, 푸른 기와 집 사람들만 싫어한다는 사실. 끝까지 잘 버텼으면 좋겠어요. ^ ^

 

오늘은 여기까지. 내일 뵙겠습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반가운 비가 내려 사진을 한장 찍었네요. 사진 솜씨가 시원치 않아 비내리는 모습이 제대로 보이질 않는군요 ㅠㅠ 문득 비내리는 모습을 보고 있으려니 비를 나타내는 한자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궁금해지더군요. 사전을 찾아 봤더니 의외로 몇 자 안되더군요.

 

우선, 비를 뜻하는 한자가 雨(비우)인 것은 잘 아시죠? 그 다음 가늘게 오는 비는 霂(가랑비목), 霎(가랑비삽)으로 표현해요. 사흘이상 오는 비는 霖(장마림)으로 표현하고, 열흘이상 오는 비는 霪(장마음)으로 표현해요. 흙비는 霾(흙비올매)로 표현해요. 사전에 나온 비의 종류를 표현한 한자는 이 정도에요. 너무 싱겁죠? ^ ^

 

이에 비해 우리 말의 비를 표현하는 말은, 인터넷을 찾아보니  무려 50가지 이상이 되더군요. 이런 점에서 보면 우리 말은 대단히 섬세하고 시적이며, 한자는 좀 감각이 무딘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군요. ^ ^ (우리 말의 비를 표현하는 말은 http://blog.daum.net/ondari/1704370 참고)

 

 

한자를 좀 자세히 알아 볼까요?

 

는 하늘(一)과 구름(巾)과 빗방울(〃)을 표현한 것이에요. 구름 낀 하늘에서 비가 오는 모양을 표현한 것이지요. 雨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雨中(우중) 雨傘(우산)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雨(비우)와 沐(머리감을목)의 합자에요. 머리만 감는 것처럼, 가지만 적시고 뿌리까지는 적시지 못하는 적은 량의 비라는 의미에요. 霂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霢霂(맥목, 가랑비) 정도를 들 수 있겠네요.

는 雨(비우)와 妾(첩첩)의 합자에요. 작은 부인을 일컫는 첩(妾)처럼 가늘고 작게 내리는 비라는 의미에요. 霎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霎霎(삽삽, 비오는 소리를 묘사한 의성어), 霎雨(삽우, 가랑비) 정도를 들 수 있겠네요.

은 雨(비우)와 林(수풀림)의 합자에요. 나무가 많은 숲처럼 그 양(量)이 많은 비라는 의미에요. 霖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霖雨(임우), 霖霖(임림, 비가 그치지 않고 내리는 모양)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雨(비우)와 淫(담글음, 보통 '음란할음'으로 많이 사용되죠)의 합자에요. 모든 것이 물에 담겨진 것처럼 질척질척할 정도로 그 양이 많고 오랫동안 오는 비라는 의미에요. 霪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霪雨(음우), 霪霖(음림) 정도를 들 수 있겠네요.

는 雨(비우)와 狸(埋(묻을매)와 통용. 여기서는 '매'라는 음만 담당)의 합자로, 흙먼지가 비처럼 쏟아지는 것을 의미해요. 霾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霾翳(매예, 흙비로 인하여 하늘이 흐린 모양), 霾風(매풍, 흙비가 오게 하는 바람) 정도를 들 수 있겠네요.

 

오늘은 문제를 아니 내겠습니다. 대신 노래를 한 곡 불러 보시죠~ ^ ^

 

 

     

 

오늘은 여기까지 입니다. 내일 뵙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멸공방첩, 승공통일, 총화단결... 70년대 주변에서 많이 듣던 말이죠. 오늘 사진은 그 흔적이 남아 있는 탑이에요. 이름하여, 총.화.탑(總, 和. 塔). 모두총(總), 화목할화(和), 탑탑(塔), '모두가 하나로 화합하여 화목하다'란 의미에요. 총화(總和), 그 자체의 의미야 나무랄데 없지만 정권의 구호로 전락했기에 본래의 의미가 많이 퇴색됐다고 볼 수 있죠. 이 탑은 시청 주변에 있는데, 모르긴해도 70년대 중앙정부의 지시나 아니면 중앙정부에 잘 보이기위해 세워놓은 탑 같아요. 개인적으로 '이젠 없어져도 될 만한 탑인데...'하는 생각을 했었는데, 얼마전에 보니 철거가 됐더군요(이 사진은 1월에 찍은 거에요). 때늦은 감이 없잖아 있지만, 이제라도 시청이 제 정신(?)을 차린 것 같아 흐뭇했어요.

 

총화(總和), 사실 지금이야말로 절대적으로 필요한 덕목 같아요. 지역간 계층간 세대간 남북간 얼마나 갈갈이 나뉘어 있나요? 다양성에 기반하면서도 그것을 하나로 모를 수 있는 총화의 리더십을 지닌 지도자가 나와야 우리나라가 한단계 더 도약할 수 있을텐데...

 

한자를 좀 자세히 알아 볼까요? 탑(塔)은 전에 살펴 봤으니, 총(總)과 화(和)만 살펴보면 되겠네요.

 

糸(실사)와 悤(바쁠총)의 합자에요. 실들이 흐트러지지않게 서둘러 하나로 휘답하여 묶는다란 의미에요. 여기서 '모두, 합하다, 거느리다' 등의 의미가 연역됐어요. 總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總量(통량), 總裁(총재)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禾(벼화)와 口(입구)의 합자에요. 禾는 벼이삭이 패어 고개를 숙인 모습을 그린 것인데, 의지하고 따른다란 의미가 내포되어 있어요. 벼이삭이 고개를 숙인 모습에서 나온 의미지요. 口에는 마음 속의 말을 서로 나눈다란 의미가 들어 있어요. 하여 和는 상호간 의사소통이 잘되고 서로 의지한다란 의미로 사용해요. 이런 것을 일러 '화목하다'고 하죠. 和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和睦(화목), 和合(화합)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를 풀어 볼까요?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모두총, 화목할화

 

 

2. (     )안에 들어 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     )睦,   (     )裁

 

 

 

 

오늘은 여기까지 입니다. 내일 뵙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