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통문화대학교에서 찍은 거에요. 겨울에 부여에 갔다가 우연히 들러서 찍은건데, 겨울에 찍은거라 그런지 좀 을씨년스런 느낌이 드는군요. 지금 쯤 찍으면 딱 좋을 것 같아요. 누정(樓亭)의 풍경은 여름이 제격이잖아요? 

 

현판의 이름은 조월정(釣月亭)이에요. 釣는 낚시조, 月은 달월, 亭은 정자정이라고 읽어요. 달을 낚다, 옆에 작은 못(淵: 못연)이 있으니 정자 이름으로는 제격이네요. 여름 달밤 시원한 바람을 맞으며 이 정자에 앉아 있으면 남부럽지 않은 풍류객이 될 것 같아요. 전통문화대학교 학생들만이 누릴 수 있는 특권일 듯. 그런데 학생들이 과연 이런 풍류를 누리는지 모르겠네요. 공부에 취업 준비에 너무들 바빠서... 요즘 대학생들을, 사회의식이 희박하고 개인주의가 팽배하다고, 비난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전 그보다 불쌍하고 안타깝다는 생각이 더 많이 들어요. 예전에는 중도에 좀 낙오가 있었더라도 회복이 가능했는데, 지금은 한 번 낙오하면 회복이 어려운 그런 상황이잖아요. 그러니 학생들도 마음에 여유를 가질 수가 없는거죠. 어찌 아니 불쌍한 생각이 들겠어요.

 

오늘은 釣 하나만 자세히 살펴 보도록 하죠. 月, 亭은 전에 다뤘거든요. ^ ^

 

은 金(쇠금)과 勺(구기작, 구기는 국자 비슷한 물건)의 합자에요. 구기로 술이나 간장을 뜨듯이 쇠바늘에 먹이를 매달아 물에 던져서 물고기를 잡는다는 뜻이에요. 낚시하는 것이죠. 釣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조어(釣魚, 낚시질함), 釣竿(조간, 낚시대)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오늘은 문제를 아니내도 되겠지요? ^ ^ 대신 베에토벤의 '월광'을 감상해 보도록 하시죠. 조어정(釣魚亭)과 어울릴 듯한 음악같아서 골라 보았습니다. 그럼, 내일 뵙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운명

 

때를 만나서는 천하도 내 뜻과 같더니

운 다하니 영웅도 스스로 어쩔 수 없구나

백성을 사랑하고 정의를 위한 길이 무슨 허물이랴

나라 위한 일편단심 그 누가 알리

 

殞命

時來天地皆同力

運去英雄不自謀

愛民正義我無失 

爲國丹心誰有知

 

  시대가 영웅을 만드는 것일까요? 영웅이 시대를 만드는 것일까요?  아무래도 시대가 먼저 아닐까 싶네요. 영웅이란 대개 난세에 등장하는 것이니까요. 그러나 그 난세를 또 치세로 만드는게 영웅이기도 하니 영웅이 시대를 만든다는 말도 틀린 말은 아니겠지요.

 

  녹두장군 전봉준도 난세에 활약한 분이니 분명 영웅이지요. 그러나 치세의 영웅은 되지 못했지요. 왜 치세의 영웅이 되지 못했을까요? 장군은 자신의 시에서 '운이 다했다(運去)'는 말로 그 이유를 말했지만, 제가 보기엔 '나라위한 일편단심(愛國丹心)'이 가장 큰 이유인 것 같애요. 주인[임금]이 되려하지 않고 스스로 아랫사람[신하]이 되려했던 것이 패착(敗着)의 가장 큰 원인인 것 같애요. 첫 구에 나오는 것처럼 '때를 만"났는데 스스로 자신을 위축 시켰으니 "운"이 "다"할 수 밖에요. 너무 가혹한 평가일까요? 장군이 만일 처음부터 좀 더 큰 뜻을 가지고 거사를 했더라면...

장군의 시를 읽으면 그의 충절에 깊이 공감하면서도 안타까운 마음 또한 금할 길이 없어요.

 

한자를 한 자씩 읽어 볼까요?

 

殞命(죽을 목숨)

時來天地皆同力 (때 하늘 한가지)

運去英雄不自謀 (운 빼어날 뛰어날 아닐 스스로 꾀할)

愛民正義我無失 (사랑 백성 바를 옳을 없을 잃을)

爲國丹心誰有知 (위할 나라 붉을 마음 누구 있을)

 

그간 다루지 않은 글자만 좀 자세히 알아 볼까요?

 

는 死(죽을사)의 약자 歹과 隕(떨어질운)의 약자인 員의 합자에요. 말 그대로 죽었다란 의미에요. 죽으면 시신을 땅 아래 묻기에 員으로 음을 삼았어요. 殞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殞碎(운쇄, 殞命과 같은 의미), 殞石(운석, 隕石(운석)과 같은 의미에요. 다 타지 않고 떨어진 유성을 가리키죠)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比(나란할비)와 白의 합자에요. 여기서 白은 自의 초기 형태로, 코를 그린 거에요. 중국 고대에는 자신을 타인에게 소개할 때 코를 가리키며 소개했기에  白은 '자신, 스스로' 등의 의미를 갖게 됐어요. 따라서 皆는 사람들이 스스로 나란히 서서 하나가 되었다란 의미에요. 여기에서 '다, 전부' 등의 의미가 나온 것이지요. 皆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擧皆(거개), 皆勤(개근)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본래 힘줄을 그린 거에요. 힘줄을 통해 힘쓰는 정도가 나타나기 때문에 '힘'이란 뜻으로도 사용하게 되었지요. 力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筋力(근력), 力士(역사)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辶(쉬엄쉬엄갈착, 여기서는 이동의 의미)과 軍(군사군)의 합자에요. 군사들을 위한 각종 병기와 보급품을 이동시킨다는 의미에요. 運이 어떻게 '운(fortune)'이란 의미를 갖게 됐는지,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이동'이란 의미에서 연역된 것이 아닌가 싶어요. '운(fortune)'은 고정되어 있지 않고 움직이잖아요? 항상 운이 좋은 사람이 어디 있던가요? ^ ^ 運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運轉(운전), 幸運(행운)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에서 土는 人이 변형된 것이고, 厶는 凵이 변형된 것으로 문을 의미해요. 문을 나서 밖으로 나간다란 의미지요. 去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去來(거래), 去就(거취)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隹(새추)와 厷(팔뚝굉)의 합자에요. 厷에는 힘이 세다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어요. 암컷에 비해 힘이 센 수컷새란 뜻이지요. '뛰어나다'란 의미는 여기서 연역된 것이에요. 雄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雌雄(자웅), 雄壯(웅장)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言(말씀언)과 某(梅(매화매)의 초기 형태에요. 여기서는 매실이란 의미로 사용)의 합자에요. 매실이 시고 떫은 맛에서 단맛으로 바뀌듯, 어려운 상황을 만나 극복할 방도를 타인에게 물어보거나 깊이 생각하여 헤쳐 나간다란 의미에요. 謀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圖謀(도모), 謀議(모의)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手(손수)와 乙의 합자에요. 乙에는 빠져 나온다는 의미가 있어요. 손에서 빠져 나왔다는 뜻이에요. 잃어 버렸다는 의미지요. 失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失手(실수), 失望(실망) 등을 예로 들 수 있겠네요.

는 두 가지로 설명해요. 하나. 손으로 코끼리를 이끌고 일을 하는 모습을 그린 것이다. 둘. 爪(손톱조)와 원숭이를 나타낸 글자의 합으로, 손톱으로 긁기를 좋아하는 원숭이를 표현한 것이다. 지금은 '하다, 되다, 위하다'란 의미로 사용하죠. 모두 본래의 의미에서 연역된 의미라고 볼 수 있어요. 爲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行爲(행위), 爲人(위인), 爲我(위아)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본래 주사[丶]라는 광물을 캐내는 광산을 그린 거에요. '붉다'란 의미는 주사(朱砂)라는 광물의 색깔이 붉은데서 나온 거에요. 丹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丹心(단심), 丹楓(단풍) 등을 예로 들 수 있겠네요.

는 무엇인지 몰라서 물어본다[言: 말씀언]란 의미에요. 隹는 음을 담당하는데 음가가 약간 바뀌었죠(추-->수). 誰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誰何(수하), 誰某(수모, 아무개)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를 풀어 보실까요?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죽을운, 다개, 힘력, 운운, 갈거, 뛰어날웅, 꾀할모, 잃을실, 위할위, 붉을단, 누구수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쓰시오.

 

   雌(    ), (    )就, 幸(    ), 擧(    ), (    )士, (    )何, (    )我, (    )碎, (    )楓, (    )望, (    )議

 

3. 다음 시를 소리내어 읽고 그 감상을 말해 보시오.

 

   時來天地皆同力 / 運去英雄不自謀 / 愛民正義我無失 / 爲國丹心誰有知

 

 

오늘은 농민가를 들으면서 마치도록 하죠. 내일 뵙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꼭 지켜야 할 동학의 덕목

 

 첫째, 집안의 모든 사람을 한울님같이 공경하라. 며느리를 사랑하라. 노예를 자식같이 사랑하라.

                           우마육축을 학대하지 마라. 그렇지 못하면 한울님이 노하실 것이다.

 

                         둘째, 하루 세 끼의 식사때 한울님께 심고하라. 청결한 물을 길어 음식을 청결하게 하라.

 

셋째, 묵은 밥을 새 밥에 섞지 마라. 흐린 물을 함부로 버리지 마라. 가래침이나 콧물을 아무 데에

                           나 토하지 마라. 만일 길이거든 반드시 묻어라. 그렇게 하면 한울님이 감응하실 것이다.

 

넷째, 모든 사람을 한울님으로 인정하라. 손님이 오거든 한울님이 오셨다 하라. 어린이를 때리지

                            마라. 이는 한울님을 치는 것이다.

 

 

                        이것이 1세기 전의 덕목이라니, 믿겨지지 않죠? 비록 간결한 덕목이지만 깊이 음미해보면 현금

                        인류가 당면한 과제인 환경과 교육 그리고 분쟁에 대한 해결의 실마리를 제시해 주는 위대한 덕

                        목이라는 생각이 들어요. 우리에게 이런 사상이 1세기 전에 있었다는 것이 참으로 놀라울 뿐이

                        에요.

 

                        덕목의 용어 중에서 육축과 심고가 좀 낯설어 보이네요. 육축은 한자로 六畜이라고 표기하고,

                        심고는 한자로 心告라고 표기해요. 六畜은 여섯 가축이란 뜻인데, 소, 말, 양, 닭, 개, 돼지를 가

                        리켜요. 心告는 '마음 속으로 (한울님께) 고한다'란 의미에요.

 

                        한자를 좀 자세히 알아 볼까요? 心은 전에 다뤘으니 빼고 六, 畜, 告만 알아 보도록 하죠.

 

                       은 두가지로 설명해요. 하나. 入(들입)과 八(여덟팔)의 합자이다. 주역에서 육(六)과 팔(八)

                        은 모두 음수(陰數)이면서 각각 변(變)과 정(正)의 음수인데, 팔(八)로 들어가는 것은 변(變)이

                        정(正)으로 바뀌는 것으로 그 숫자는 바로 육(六)이다. 하여 이글자의 뜻과 음이 '여섯륙'이다.

                        둘. 본래 入(들입)과 같은 의미로 사용된 것이며, 入에다 八(分(나눌분)의 초기 형태)을 추가하

                        여 나누어 집어 넣다란 의미로 집어넣다란 의미를 구체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후에 두 글자를

                        분리하여 入은 '집어 넣다'란 의미로만 사용하고, 六은 세개씩 나누어 넣는다란 의미로 여섯이

                        란 의미로 사용하게 되었다. 둘 다 그럴듯 하죠?  六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六甲(육

                        갑), 육기(六氣, 추위, 더위, 메마름, 습함, 바람, 비)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참고로 六은 위조를

                        막기 위해 陸(땅륙)으로 표기하기도 해요.

 

                       은 玆(불을자)의 축약형인 玄과 田(밭전)의 합자에요. 열심히 농사지어 수확물을 많이 쌓아

                        올렸다는 뜻이에요. '쌓을축'이라고 읽죠. 지금은 '가축축'으로 많이 사용하는데, 농사를 짓는

                        데 가축의 도움을 받기 때문에 파생된 의미에요. '쌓을축'은 畜으로도 표기하지만 '蓄'으로도

                        표기해요. 畜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家畜(가축), 畜産(축산)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牛(소우)와 口(입구)의 합자에요. 소는 말을 못하므로 뿔로 자신의 의사를 표현한다란 의

                        미에요. '알릴고'라고 읽어요. 告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忠告(충고), 警告(경고) 등

                        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를 풀어 볼까요?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여섯륙, 가축축, 알릴고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       )産, 忠(       ), (       )甲

 

                        3. 다음을 1주일 동안 실천해 보시오: 모든 사람을 한울님으로 인정하라.

 

 

  오늘은 여기까지 입니다. 내일 뵙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지난 주말에 충북 보은에 갔다오다 동학농민혁명기념공원에 들러 사진 몇 장을 찍었어요. 공원에서는 동학의 제 2차 교조신원운동이었던 보은취회(報恩聚會)를 기념하여 문화제가 열렸더군요. 요즘 메르스때문에 집회 자체를 꺼리는 분위기인데 여기 참석하신 분들은 모두 대범하신 분들이었던 것 같아요. 좋은 뜻으로 참석하신 분들일테니 다들 아무일 없으시길, 속으로 기원드렸네요.

 

  보시는 사진은 동학농민혁명위령탑이에요. 동학농민군이 기치(旗幟)로 내건 구호들을 써 놓았어요. 바람에 휘날리는 깃발의 형태를 취하여 한결 생동감있게 느껴지더군요.

 

  오른쪽부터 읽어 볼까요? 대동세상(大同世上), 척왜양창의(斥倭洋倡義), 제폭구민(除暴救民), 동학(東學) 이에요.

 

  대동(大同)은 <예기(禮記)> 예운편(禮運篇)에 나오는 말로 대도(大道)가 행해져 타인을 배려하여 소외받는 사람들이 없고 모두가 욕심없이 안분자족(安分自足)하는 이상사회를 가리키는 말이에요. 크게 하나된다는 뜻이지요. 척왜양(斥倭洋)은 왜(일본)와 양(서양)을 배척한다는 의미이고, 창의(倡義)는 의로운 거사를 일으킨다는 뜻이에요. 제폭구민(除暴救民)은 포악무도한 관리와 정사를 폐하고 백성을 구제한다는 의미지요. 동학(東學)은, 잘 아시는 것처럼, 최제우(崔濟愚)한 창시한 우리의 민족 종교이죠. 서교(西敎, 천주교)에 대항하여 동방인 우리나라에서 도를 일으킨다는 의미에서 붙인 이름이죠.

 

동학농민혁명위령탑을 바라보면서, 세월이 많이 흘렀지만 당시 동학농민혁명군이 내걸었던 기치의 내용들이 아직도 우리에게는 현재진행형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더군요. 사회는 자꾸 양극화되어 계층간 위화감이 깊어지고 주변의 강대국들은 패권주의로 치닫고 있는데, 정부는 기득권의 이익 지키기에 급급하고 남북 관계를 풀기는 커녕 자꾸 경색되게 하여 국제무대에서의 입지를 위축시키고 있으니 말이에요.

 

한자를 좀 자세히 알아 볼까요? 上과 倡만 빼고 다른 것은 전에 다 다루었어요. 두 자만 알아 보도록 하죠.

 

은 땅[一]위에 있다[卜]란 의미에요. 卜은 단순히 위에 있다란 표시로 보기도 하고, 양기(陽氣)가 위로 솟구치는 모양을 표현한 것이라고 보기도 해요. '위상'이라고 읽어요. 잘 아시죠? ^ ^ 上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上下(상하), 천상(天上) 정도를 들 수 있겠네요.

 

은 人(사람인)과 昌(아름다울창)의 합자에요. 倡은 본래 한나라때 궁중에서 오락을 담당하던 환관[人]을 의미하는 말이었어요. 昌은 '아름다운 말'이란 뜻인데 사람들은 '아름다운 말'을 즐거워하기에 이 글자로 음을 삼은 거에요. 倡이 '외치다(일으키다)'란 의미로 사용하게 된 것은 오락을 맡은 환관이 무대 앞에 나서서 사람들을 웃기는데에서 연역된 거에요. '광대창, 외칠창'이라고 읽어요. 倡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倡和(창화, 한쪽에서 부르고 한쪽에서 화답하는 것), 倡優(창우, 광대)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오늘은 문제를 아니 내겠습니다. 대신 제가 부족하게 설명드린 동학과 보은취회에 대해 좀 자세히 읽어 보시는 것을 과제로 드리겠어요. 아래의 링크에 들어 가셔서 일별(一瞥)해 보셔요. 내일 뵙겠습니다.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14XXE0016857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b09b3677a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어느 시사 주간지의 기사 목록 중에서 찍은 거에요. '화웨이'는 한자로 '華爲(화위)'로 표기해요. '화려하게 달성하다' 정도의 의미에요. 회사 이름에 걸맞은 성과를 내어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죠. 창업한지 20여년 만에 세계 2대 통신업체가 되었거든요.

 

  굴기(崛起)는 '우뚝 솟아 일어나다'란 뜻이에요. 자국내 수많은 통신업체가 명멸하는 가운데 지속적으로 생존하며 나아가 세계 굴지의 기업이 되었으니 '굴기(崛起)'라는 말이 무색하지 않죠.

 

  화웨이가 사람들의 주목을 받는 것은 높은 경영성과도 성과지만, 그 성과를 있게 한 창업자 런정페이(任正非)의 경영철학 때문이에요. 기사 목록의 소제목에 나온 것처럼 '학습과 혁신'이 런정페이 경영철학의 핵심이죠. 런정페이는 "하루를 앞으로 나가지 않으면 쫓겨나고 말 것이다. 사흘을 배우지 아니하면 업계의 거두를 따라 잡을 수 없다."라는 위기의식으로 끊임없는 혁신과 학습의 가치를 강조한다고 해요.

 

그런데 런정페이의 경영철학은 생멸(生滅) 기간이 유독 짧은 통신업체에선 어쩌면 당연한  경영철학인지도 모르겠어요. 다른 통신업체도 그런 경영철학을 갖지 않았을까요? 요는, 그런 경영철학을 임직원이 공유하는 것이겠는데, 그것을 공유시킨 것이 런정페이의 리더십이자 화웨이의 성공비결이겠지요.

 

한자를 좀 자세히 알아 볼까요?

 

은 山(뫼산)과 屈(굽을굴)의 합자에요. 屈은 짐승이 우묵한 곳에 꼬리를 집어넣어 마치 꼬리가 없는 듯한 모습을 나타낸 거에요. 그렇듯 산이 주변 지형과 이어지지 않고, 우뚝 솟은 모양을 나타낸 거에요. '우뚝솟을굴'이라고 읽어요. 崛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흔하게 쓰는 한자가 아니라 예를 쉽게 찾을 수가 없네요. 崛出(굴출, 崛起(굴기)와 유사한 의미에요), 崛然(굴연, 험준한 모양) 정도를 들 수 있겠네요.

 

는 走(달릴주)와 己(몸기)의 합자에요. 달리기 위해 몸을 일으켜 세우다란 의미에요. '일어날기'라고 읽어요. 起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起床(기상), 發起(발기) 등을 들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를 풀어 보실까요?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우뚝솟을굴, 일어날기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      )出, (      )

 

 

오늘은 여기까지 입니다. 내일 뵙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