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動而不悖於天理 靜而不拂乎人情'을 보도록 하시죠. 움직일동(動) 말이을이(而) 아니불(不) 어그러질패(悖) 어조사어(於) 하늘천(天) 이치리(理) 고요할정(靜) 말이을이(而) 아니불(不) 거스를불(拂) 어조사호(乎) 사람인(人) 뜻정(情), 동이불패어천리 정이불불호인정(動而不悖於天理 靜而不拂乎人情)이라고 읽어요. 而는 순접의 의미로 '~할 때에' 정도로 풀이하고 於와 乎는 대상의 의미로 '~에'로 풀이해요.

 

그러면 이 문장은 이렇게 풀이되요: 행동할 때에는 천리에 어긋남이 없고, 고요할 때에는 인정에 거스름이 없다. 행동거지가 천리와 본성에 모두 부합한다는 의미지요. 와우, 성인이네요 ^ ^

 

묵소거사는 행동거지의 기준을 천리와 본성에 두고 있어요. 성리학적 가치관에 충실한 것이지요. 우리는 행동거지의 기준을 어디에 두고 있을까요? 그리고 그것은 무슨 가치관에 충실한 것일까요? 그리고 돌이켜 살펴 볼 점은 없을런지요?

 

자, 한자를 좀 자세히 살펴 볼까요? 動, 悖, 於, 拂, 情만 보도록 하겠어요. 다른 것은 전에 다뤘거든요. ^ ^

 

은 重(무거울중)과 力(힘력)의 합자에요. 진중한 자세로 힘써 일한다란 의미에요. 動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動靜(동정), 動力(동력)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忄(마음심)과 孛의 합자에요. 孛는 지금은 살별(혜성)이란 의미로 사용하는데, 본래 초목이 어지러이 무성한 모양을 나타냈어요. 여기서는 그 의미로 사용했죠. 悖는 초목이 어지러이 무성한 것처럼 심사가 뒤틀리고 불만족스럽다란 의미에요. 悖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悖逆無道(패역무도, 한마디로 싹수가 노랗다란 의미에요 ^ ^), 悖倫(패륜)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본래 烏(까마귀오)의 옛글자가 모양이 변한 거에요. 그러니까 이것도 본래는 까마귀란 뜻으로 사용하던 글자였죠. 지금은 전혀 그 뜻으로 사용하지 않아요. 어조사로만 사용하여 '~에서/~보다' 등의 의미로 풀이해요. 왜 그렇게 됐는지는, 저도 잘 모르겠어요. ^ ^ 예를 하나 들어 볼까요? 靑出於藍而靑於藍(청출어람이청어람: 청색은 쪽[풀의 한 종류]에서 나왔으나 쪽빛보다 더 푸르다, 제자가 스승보다 나은 경우에 사용하죠)을 들 수 있겠네요.

은 扌(손수)와 弗의 합자에요. 弗은 지금은 '아니다'란 뜻으로 주로 사용하지만, 본래는 구부러진 화살을 바르게 펴는 기구를 의미하는 글자였어요. 여기서는 그 의미로 사용했죠. 구부러진 화살을 반듯하게 펴듯이 옳지 못한 것을 털어 내고 바르게 한다란 의미에요. 拂이 들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拂拭(불식, 없애다), 拂意(불의, 뜻에 거스림) 등을 들 수 있겠네요. '거스르다'란 의미는 '바로 잡는다'는 데서 연역된 거에요. 바로 잡으려면 현상태를 '거스려야' 하지 않겠어요? ^ ^

은 忄(마음심)과 靑(푸를청)의 합자에요. 靑은 여기서 선명하다란 의미로 사용됐어요. 대상에 대해 마음 속에서 선명히 드러나는 감정이란 뜻이에요. 흔히 喜怒哀樂愛惡欲(희노애락애오욕)을 일컫죠. 情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人情(인정), 心情(심정)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할 겸 문제를 풀어 보실까요?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움직일동, 어그러질패, 어조사어, 거스를불, 뜻정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쓰시오.

 

   (       )力, (       )倫, 靑出(       )藍,  (       )拭,  (       )

 

3. 다음을 소리내어 읽어 보시오.

 

   動而不悖於天理 靜而不拂乎人情

 

오늘은 여기까지 입니다. 내일은 어떤 내용이 이어질까요? 내일 뵈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오늘은 '周旋可否之間 屈伸消長之際'를 보도록 하겠어요. 두루주(周) 돌선(旋) 가할가(可) 아닐부(否) 어조사지(之) 사이간(間) 굽힐굴(屈) 펼신(伸) 사라질(줄)소(消) 길장(長) 어조사지(之) 즈음제(際), 주선가부지간 굴신소장지제(周旋可否之間 屈伸消長之際)라고 읽어요.

 

周旋은 왔다갔다 한다란 뜻으로 행동한다란 의미에요. 可否는 할 것인가 말 것인가란 뜻이지요. 두 말을 합친 周旋可否란 행동할 것인가 말 것인가란 뜻이지요. 之는 ~의란 뜻이고, 間은 말 그대로 사이란 뜻이에요. 따라서 周旋可否之間은 '행동할 것인가 말 것인가 선택의 지점에서' 정도의 의미가 되겠지요.

 

屈伸은 몸을 구부렸다 편다란 뜻으로 호흡하는 모습을 나타낸 거에요. 消長은 줄어들고 늘어난다란 뜻으로, 본래는 수명이 줄거나 늘어난다는 의미인데, 여기서는 屈伸과 관련하여 호흡하는 모습을 표현한 거에요. 屈하면 消하고 伸하면 長하는 것이지요. 之는 ~의란  뜻이고, 際는 ~할 즈음이란 뜻이에요. 따라서 屈伸消長之際는 '고요히 호흡하며 가만히 앉아 있을 때에' 정도의 의미가 되겠지요.

 

이렇게 보면 周旋可否之間 屈伸消長之際는 한마디로 무어라 표현할 수 있을까요? 그렇죠. '동정(動靜: 움직임과 고요함)의 상황'이라고 말할 수 있겠지요.

 

자, 한자를 좀 자세히 알아 볼까요? 之, 間, 長은 빼도록 하겠어요. ^ ^

 

는 用(쓸용)과 口(입구)의 합자에요. 말[口]을  할 적에는[用] 두루두루 조심해야 한다는 의미지요. 입 잘못 놀렸다가 큰 일 날 수 있잖아요? 지금은 빠트림없이 세밀하게란 의미의 '두루'란 뜻으로만 사용하죠. 周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周邊(주변), 周圍(주위)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㫃(旗의 축약형, 깃발기)와 疋(足의 변형, 발족)의 합자에요. 깃발을 돌린다라는 의미지요. 깃발을 돌릴 때 발도 따라 움직이기에 의미를 보충하기 위해 疋을 추가했지요. 旋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旋回(선회), 施設(시설)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口(입구)와 丁의 합자에요. 丁은 편안한 기운이 밖으로 흘러 나오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에요. 말[口] 할 때 편안한 기운이 밖으로 흘러 나오며 나는 소리라는 뜻이에요. 긍정의 소리라는 의미지요. 可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可能(가능), 不可(불가)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不(아니불)과 口(입구)의 합자에요. 아니라고 말하다란 의미지요. 否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否認(부인), 可否(가부)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尸(尾의 약자, 꼬리미)와 出(날출)의 합자에요. 몸을 구부렸다 폈다 하며 앞으로 나가는[出] 꼬리[尸]없는 자벌레나방을 가리켜요. 지금은 '구부리다'란 의미로만 사용하죠. 屈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屈服(굴복), 屈從(굴종)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人(사람인)과 申(거듭할신, 申은 본래 몸을 묶어 놓는다는 뜻이 있어요. 여기서는 그 뜻으로 사용했어요)의 합자에요. 몸을 묶어서 반듯이 세우듯이 구부린 몸을 반듯이 편다는 뜻이에요. 伸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伸縮性(신축성), 伸寃(신원)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氵(물수)와 肖(削의 약자, 깎을삭)의 합자에요. 수량[氵]이 줄고 줄어[肖] 다 말라 붙었다는 의미에요. '사라지다, 줄다'란 의미는 여기서 나온 것이지요. 消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消防(소방), 消滅(소멸)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阝(阜의 변형, 언덕부)와 祭(제사제)의 합자에요. 신과 인간이 만나는 제사처럼  언덕과 언덕이 만나는 지점이란 의미에요. 주체와 객체가 만나는 지점이란 의미의 '즈음, 때'란 의미는 여기서 연역된 것이지요. 際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交際(교제), 國際(국제)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자, 오늘은 좀 힘들더라도 문제를 한 번 풀어 보실까요? ^ ^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두루주, 돌선, 가할가, 아닐부, 굽힐굴, 펼신, 사라질(줄)소, 즈음제

 

2. (     )안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     )縮性, (     )從,  國(     ), (     )認,   (     )圍,  (     )防,  (     )設,  (     )能

 

3. 다음을 읽어 보시오.

 周旋可否之間 屈伸消長之際

 

우리는 매순간 선택을 해야 하죠. 선택 후 아쉬움이 남지 않으려면 어떤 선택을 해야 할까요? 내일 묵소거사의 말을 들어 보도록 하죠. 안녕히 계세요~ ^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 역시 추사 기념관에서 찍어온 거에요. 그런데 너무 위압적이죠?  한자 몇 자 하다가 갑자기 이런 것을 대하면 겁에 질리실 것 같아요.^ ^ 그 마음 충분히 이해합니다. 그러함에도 이것을 하려는 이유는? 음, 첫째는 이 글씨가 추사 해서체의 전범(典範)이라 그렇고, 둘째는 글자들이 생각보다 어렵지 않아서 그렇고, 세째는 내용이 좋아서에요.

 

이 작품의 제목은 '묵소거사자찬(默笑居士自讚)'이에요. '묵소거사가 묵소거사라는 자신의 호에 대해 스스로 격려하고 칭찬하는 글'이란 의미지요. 묵소거사는 황산 김유근이란 분이에요. 이분은 실어증에 걸려 말을 할 수 없게 되자, 자신의 호를 묵소거사라고 했어요. 침묵[默: 잠잠할묵]과 웃음[笑: 웃을소]만으로 처세하는 선비[居士]가 되겠다는 뜻이었죠. 말을 할 수는 없지만 들은 것을 이해할 수는 있으니 상황에 맞게 침묵과 웃음으로 자신의 의사를 표현하겠다는 의지의 표현인 것이지요. 이런, '묵소거사자찬'의 내용을 이미 다 말해 버렸네요. ^ ^

 

추사 선생은 김유근이란 분과 절친이었다고 해요. 하여 이 작품으로 그를 위로하고 격려한 것이지요. 아름다운 우정이 곁들여졌기에 더욱 빛나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어요.

 

자 오늘은 '當默而默 近乎時 當笑而笑 近乎中'까지만 보도록 하시죠. 마땅당(當) 잠잠할묵(默) 말이을이(而) 잠잠할묵(默) 가까울근(近) 어조사호(乎) 때시(時) 마땅당(當) 웃을소(笑) 말이을이(而) 웃을소(笑) 가까울근(近) 어조사호(乎) 가운데중(中), 당묵이묵 근호시 당소이소 근호중(當默而默 近乎時 當笑而笑 近乎中)이라고 읽어요. '침묵해야 할 때 침묵하고 웃어야 할 때 웃는 것은 시중(時中)의 도리에 근접한 것이다'란 의미에요. 시중(時中)은 본래 붙어다니는 말인데 여기서는 침묵과 웃음에 하나씩 나눠 놓았어요. 그러나 해석할 때는 붙여서 해석해야 의미 전달이 잘되요. 그래서 '시중(時中)의 도리에 근접한 것이다'라고 풀이한 거에요.

 

상황에 맞게 행동하는 시중(時中: 때에 적중하다. 여기서 中은 가운데가 아니라 적중하다란 의미에요)의 도리는 옛분들이 최고의 미덕으로 여겼던 가치관이지요. 자신은 말은 할 수 없고 단지 침묵과 웃음만 지을 수 있을 뿐이지만 이것을 상황에 맞게 표현한다면, 그것만으로도 충분히 시중의 가치를 구현할 수 있다고 말하고 있는 것이지요. 때론 침묵과 웃음이 말보다 더 큰 울림을 줄 수도 있으니, 그것을 상황에 맞게 표현한다는 것은 매우 큰 가치의 실현이라고 할 수 있을 거에요.

 

자, 설명은 여기까지만 드리고 이제는 한자를 좀 자세히 알아 볼까요? 이미 다룬 글자들은 빼도록 하겠어요. ^ ^

 

은 밭[田: 밭전]과 밭이 서로 막딱드리고 있다는 뜻이에요. 尙은 음을 담당하는데 소리값이 좀 변했죠(상-->당). 當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應當(응당), 該當(해당)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犬(개견)과 黑(검을흑. 여기서는 잠잠히/ 조용히의 의미로 사용됐어요)의 합자예요. 개가 조용히 사람을 따라간다는 의미지요. 默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沈默(침묵), 默想(묵상)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본래 턱수염을 그린 거에요. 여기서 의미가 연역되어 (수염이 턱에 이어져 있는 것처럼)앞말과 뒷말을 이어준다의 의미로 사용하게 되었지요. 순접과 역접의 두가지 의미로 사용해요. 위의 글에서는 순접의 의미로 사용되었죠.

은 辶(쉬엄쉬엄갈착)과 斤(도끼근)의 합자에요. 도끼가 나무에 밀착하여 나무를 쪼개듯 상대에게 가서 부합(附合)한다는 의미에요. 가깝다란 의미는 여기서 파생된 것이지요. 近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近似(근사), 원근(遠近)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兮와 丿의 합자에요. 兮는 말을 잠깐 멈추고 기운을 고르는 의미이고, 丿은 남은 소리를 마저 낸다는 의미에요. 합쳐서 의문투로 말을 매듭짓는다는 의미지요. 乎는 대개 문장끝에 사용하여 의문문이나 반어문을 만드는 기능을 담당해요. 위의 글에서는 그런 의미로는 사용하지 않고, '~에'라는 대상을 표현하는 의미로 사용했어요.

는 日(날일)과 寺(관아사, 보통은 '절사'로 사용하죠)의 합자에요. 관아에서 처리하는 일이 공명정대하고 분명하듯 여러 날이 누적되어 분명하게 변화된 모습을 보여주는 절기(사계절)란 의미에요. '때'란 의미는 사계절이 변화된 모습을 보여주는 '때'란 의미로 사용된 것이지요. 時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四時(사시), 時節(시절)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오늘은 문제를 아니 내겠어요. 너무 힘드실 것 같아서요.^ ^ 대신 오늘 배운 문장을 소리내어 한 번 읽어 보시지요. ^ ^

 

當默而默 近乎時 當笑而笑 近乎中

 

내일 뵙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멋있죠? ^ ^

 

추사 김정희 선생의 글씨예요. 예산에 있는 추사기념관(추사 고택 옆에 있어요. 고택과 기념관 관람료 무료 ^ ^)에 들렀다가 찍었어요. 시내계(谿) 뫼산(山) 없을무(無) 다할진(盡), 계산무진(谿山無盡)이에요. '시내(계곡)와(과) 산이 가없이 펼쳐져 있다'란 의미지요. 글씨를 한참 응시하고 있으면 끝모를 검푸른 계곡 숲에 들어와 있는 느낌이 들어요. 정말 멋진 작품이에요!

 

기념관에는 추사 김정희 선생의 어록이 몇 개 장식물로 되어 있는데, 이런 어록이 있더군요.

 

 

서예의 특징을 간결히 말해준 것 같아요. 서예는 단순히 붓의 기교만으로 이루어지는 예술이 아니라 학문의 뒷받침이 있어야 가능한 예술이라는 것이지요. 아울러 추사 자신이 그만큼 학문을 닦았다는 자부심의 표현이기도 하겠지요. 저는 평생 붓을 못들 것 같아요? 왜냐구요? 여직껏 읽은 책이 1천권도 못되기 때문이죠. ^ ^

 

자, 한자를 좀 자세히 알아 볼까요? 아, 그전에 '계산무진(谿山無盡)'의 글씨체는 무슨체일까요? 그렇죠. 예서체에요. 자, 그럼 한자를 자세히 알아 볼까요? 山과 無는 전에 다뤘으니 빼도록 하겠어요. ^ ^

 

谿는 골짜기(谷: 골짜기곡)를 흘러 내리는 물이라는 뜻이에요. 奚는 음을 담당해요. 소리값이 좀 바뀌었죠(해-->계). '溪'로도 표기해요. 어제 나왔었죠. ^ ^ 谿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谿谷(계곡), 谿壑欲(계학욕, 만족을 모르는 욕심이란 의미에요)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皿(그릇명)과 燼(타나머지신)의 합자에요. 燼은 약자 형태로 들어갔지요. 타고나면 남는 것이 없듯이 그릇 속에 남아 있는 음식물이 깨끗이 다 비워졌다란 의미에요. 盡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盡力(진력), 盡人事待天命(진인사대천명, 사람으로서 할 수 있는 일을 다하고 하늘의 명을 기다린다)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를 한 번 풀어 보실까요?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시내계, 다할진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     )人事待天命,  (     )

 

3. 다음 동영상을 틀고 10분간 명상하시오.^ ^

 

     

 

                                                  추사 김정희 선생도 이런 어린 시절이 있었겠죠? ^ ^

 

 

 

                                                                               내일 뵈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 흔적도 태안읍 백화산에 있어요. 혹시 기억하시는지 모르겠군요? '항아리의 풍경을 찾아서'중 '태을낙조(太乙落照)'란 구절이 있었던 것을. 기억 안나신다구요? ^ ^ 괜찮습니다. ㅎㅎ 이 흔적은 그 태을(암) 주변에 있어요. 한일(一) 웃을소(笑) 시내계(溪), 일소계(一笑溪)라고 읽어요. 무슨 뜻일까요? 한 번 웃는 시내? 한 번 웃게 만드는 시내? 아닙니다. ^ ^

 

먼저 '호계삼소(虎溪三笑)'란 고사를 말씀드려야 겠네요. 동진(東晉)시대 여산(廬山)에 혜원(慧遠)이란 고승이 있었는데 산문을 나서지 않는 것을 철칙으로 삼았어요. 그가 머물던 거처 앞에 호계(虎溪)라는 시내가 있었는데, 어떤 손님이 와도 그 시내까지만 배웅하고 돌아섰지요. 그런데 단 한번 자신도 모르게 그 시내를 넘은 적이 있었어요. 당대의 유명한 문사인 도연명(陶淵明)과 도사인 육수정(陸修靜)이 왔을 때 이들을 배웅하다 자신도 모르게 호계를 넘어선 거에요. 의기가 통하는 대화에 빠져 호계를 넘어선 것을 몰랐다가 뒤늦게 알아 차렸어요. 세 사람은 서로 쳐다보며 한바탕 크게 웃었지요. 여기서 생긴 고사가 '호계삼소(虎溪三笑)'예요. 흔히 어떤 일에 열중하여 평소의 습관이나 규칙에서 벗어난 것을 비유할 때 쓰지요.

 

그런데 '호계삼소'는 사상과 종교의 차이를 넘어선 포용과 관용의 의미로도 사용해요. 세 사람이 각기 유불도(儒佛道)를 대표하는 사람들인데 이들이 금기[호계]를 넘어서 하나로 회통[삼소]했다는 의미로 사용하는 것이지요.

 

자, 이제 일소계(一笑溪)의 의미를 말씀드려야 겠네요. 그래요, 짐작하신 것처럼 일소계(一笑溪)란 '세 사상(유불도)을 하나로 회통시켜 웃음짓게 만드는 시내'란 뜻이에요. 이 각자(刻字)의 흔적 주변에는 불교를 대표하는 태을암과 도교의 의미를 담은 '태을동천(太乙洞天)'이란 암각과 유교와 관련된 '감모대(感慕臺)'란 석조물이 있어요. 이 유적들의 중앙에 이 일소계란 각자(刻字) 바위가 있지요. 물론 시내물도 흐르구요(그런데 수량이 미미해요). 일소계란 각자(刻字)의 의미가 꽤 깊다할 수 있겠죠?

 

자, 한자를 좀 자세히 알아 볼까요? 一은 빼도 되겠죠? ^ ^

 

는 대나무[竹: 대죽]가 바람을 맞아 소리를 내고 휘청거리듯, 기뻐서 소리를 지르며 요절복통한다는 의미에요. 夭는 음을 담당하는데 음가가 조금 바뀌었죠(요-->소). 笑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笑門萬福來(소문만복래), 呵呵大笑(가가대소: 크게 소리내어 웃는다는 뜻이지요)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계곡 사이로 흐르는 물[氵: 물수]이란 뜻이에요. 奚는 음을 담당해요. 소리값이 약간 바뀌었죠(해-->계). 溪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碧溪水(벽계수), 淸溪(청계)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오늘은 문제를 한 번 풀어 보실까요? ^ ^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웃을소, 시내계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碧(     )水,   (     )門萬福來

 

3. 다음 영상을 틀어 놓고 5분간 명상하시오.

 

     

 

오늘은 여기까지 입니다. 내일 뵙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