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슨 광고 간판일까요?

 

왼쪽은 '떡가게' 간판이고 오른쪽은 '가구점' 간판이에요. 전서체로 씌여있어 알아 보기가 쉽지 않죠? 왼쪽은 숨길비(秘) 준걸준(儁) 비준(秘儁)이라고 읽고, 오른쪽은 납작할편(扁) 나무이름백(柏) 편백(扁柏)이라고 읽어요. 비준(秘儁)은 떡가게 상호인 '빚은'을 한자로 표기한 것 같은데, 비준(秘儁)은 '(떡을) 빚는다'는 의미와는 무관해요. 비준(秘儁)은 '숨겨놓은 인재'란 의미에요. 왜 이런 표기를 했는지 이해가 안되네요. 혹, 숨은 명인들이 떡을 빚는다는 만든다는 의미에서 그렇게...? 편백(扁柏)은 잘 아시죠? ^ ^

 

개별 한자를 좀 자세히 알아 볼까요?

 

는 본래 祕로 표기했어요. 祕는 示(神의 약자, 귀신신)과 必(閟의 약자, 으슥할비)의 합자에요. 파악하기 어려운 신비스러운 일이란 의미지요. 秘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秘密(비밀), 秘話(비화)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보통사람보다 뛰어난 인물[亻]이란 뜻이지요. 오른쪽은 음을 담당해요. 俊(준걸준)과 같은 자에요. 지금은 俊으로 더 많이 사용하죠. 儁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儁傑(준걸), 儁才(준재)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戶(문호)와 冊(책책)의 합자에요. 죽간[冊: 책은 죽간을 엮어 놓은 모양이에요]에다 글씨를 쓰는 것 처럼 문짝에다 크게 써놓은 글씨란 의미에요. 扁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扁鵲(편작, 춘추시대의 유명한 의사죠), 扁桃腺(편도선) 등을 들 수 있겠네요. 扁이 납작하다란 뜻으로 사용하게 된건 편백나무의 잎사귀가 납작한데서 유래됐어요. 편백나무의 잎사귀를 한 번 볼까요?

 

 

은 木(나무목)과 白(흰백, 여기서는 명백하다란 의미로 씌였어요)의 합자에요. 사시사철 푸른 색을 띄며 시들지 않는[白] 양지를 등지고 자라는 음목(陰木)이란 의미에요. 柏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側柏(측백) 정도를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를 한 번 풀어 볼까요?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숨길비, 뛰어날준, 납작할편, 나무이름백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     )桃腺,  (     )密,   (     )傑,     側(     )

 

3. 본인이 가게를 하나 냈다고 가정하고 그 가게의 이름을 한자로 써 보시오.

 

 

최종천 시인의 '떡에 관하여'란 시가 생각나네요.

 

, 이라고 부를 때마다 느껴지는 게 있다/ 떡은 덕이 단단히 쌓여서 된 것인 듯함/ 떡을 나누어 먹는 것은 덕을 나누는 것과 같다 (중략)실컷 얻어터져도 멍들기는 고사하고/ 더 맛있어지는 그 덕성을/ 어찌 좀 본받을 수가 없을까 (중략)떡은 이렇게 배가 부른데/ 덕은 먹을 수 없어 유감이구나 (중략)새로 문을 연 가게에서 떡이 날라져 왔다/ 덕은 이렇게 떡을 통해 나타난다.

 

떡을 먹으며 떡의 덕도 함께 먹어 몸과 마음이 다 배불렀으면 좋겠네요. ^ ^ 내일 뵈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 간판들을 보고 있으면 무슨 생각이 드시는지요?

 

저는 우리나라와 외세의 관계가 생각나네요. 주변 강대국[큰 영어 간판]에 둘러싸인 조그마한 우리나라[작은 간판]의 지정학적 위치와 힘의 역학관계 그리고 그로 인한 영향의 수수관계[한자와 영어 혼용 간판]를 보여주는 것 같애요. 아무래도 그 모습은 긍정적인 모습보다는 부정적인 모습이 더 강하죠.

 

개인의 삶이 관계 속에서 지속되듯 국가의 삶도 관계 속에서 지속되기에 타국과의 영향 수수는 운명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애요. 유아독존이란 있을 수 없는 것이죠. 다만 문제는 힘의 균형이 맞지 않는데서 오는 불협화음인데, 주로 강대국이 약소국에게 힘 -- 물리적이거나 문화적인 -- 을 행사하는데서 비롯되는 것이죠. 약소국이 강대국에게 힘을 행사하긴 어렵잖아요? 이것을 불가피한 전제로 본다면 불협화음을 해결하는 열쇠는 약소국의 자세에 있는 것 같애요. 그들과의 관계를 원만히 유지하면서 내정을 모범적으로 이끌고 독자성을 유지하려 한다면 강대국도 존중의 염(念)을 갖고 함부로 대하지 못하지 않겠어요? 이야기가 이렇게 흐르면 최종 결론은 이렇게 이르게 되겠죠? 약소국은 정말 제대로 된 지도자를 뽑아야 한다! 그에게 국가의 명운이 달렸기 때문이다!

 

간판 두 개를 놓고 너무 침소봉대(針小棒大: 바늘같이 작은 것을 몽둥이처럼 큰 것 같이 이야기함)해서 이야기 했네요. ^ ^ 자, 한자를 좀 자세히 볼까요?

 

는 전에 한 번 다뤘어요. 다시 한 번 해볼까요? 宀(집면)과 豕(豭의 줄임 글자, 수퇘지가)의 합자예요. 사람이 거주하는 집이란 의미지요. 집에서 보통 돼지를 키웠기에 豕를 더하여 의미를 강화한 것이지요. 豕는 음도 담당해요. 집가. 家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家口(가구), 家家戶戶(가가호호)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도 전에 한 번 다뤘어요. ^ ^ 그래도 다시 한 번 해보도록 하죠. ^ ^ 業은 본래 큰 거치대란 의미였어요. 윗 부분은 톱니 모양으로 생겨 무엇인가를 걸 수 있게 만들어 놓은 장치이고 나머지 부분은 받침대를 나타낸 거에요. 보통 종이나 북을 거는 용도로 사용했죠. 이 글자의 일반적 의미인 '일'은 거치대에 종이나 북을 설치한다는데서 연역된 의미에요. 일업. 業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業務(업무), 事業(사업)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오늘은 이미 배운 글자들을 복습한 것이라, 문제를 아니내도 되겠지요? 대신 노래를 하나 들으면서 마치도록 하죠. 내일 뵈요~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하양물감 2015-03-29 09: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노래 한곡 ^^ 좋아요

찔레꽃 2015-03-29 09: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괜찮죠? ^ ^
 

 

 

불금이었는데 한 잔들 하셨는지요? ^ ^ 저는 집에서 반주로 딱 한 잔 했어요. 술을 일삼아(?) 먹는 건 제겐 너무 과분(過分: 분수에 어울리지 않음)한 일이라.

 

오늘부터 얼마간 길거리에서 캐스팅한 한자들을 보도록 하겠어요. 요즘은 영어 표기가 대세인 것 같아요. (그러고 보니 저도 '캐스팅'이란 말을 썼네요 ^ ^) 그렇지 않은 표기들은 왠지 시대에 뒤떨어진 듯한 느낌을 주는 것 같.아.요. 그래서인지 한자가 들어간 간판이 그리 많지도 않거니와 그런 간판을 쓴 가게들은 좀 후미진 곳에 있더군요. 이것도 어떤 시대 흐름을 보여주는 거겠죠?

 

오늘은 고기집과 술집 간판을 캐스팅했어요. 왼쪽 사진은 고기집, 가운데와 오른쪽 사진은 술집 간판이에요. 新은 새신, 水는 물수, 宮은 집궁, 夢은 꿈몽 이에요. 간판을 쪼란히 이어 놓으니 엉뚱한 생각이 나네요. 장 개업한 갈매기 집에 가서 고기 맛 좀 보고 水宮에 가서 거나하게 마시며 환적인 불금을 보낸다~ ㅎㅎ

 

자, 한자를 좀 자세히 보실까요?

 

은 斤(도끼근)과 木(나무목)과 辛(매울신, 여기서는 음만 담당)의 합자에요. 본래 땔감이란 의미예요. 땔감의 주재료는 나무이고, 그것을 마련할 때는 도끼를 사용하기 때문에 木과 斤을 사용한 것이지요. '새롭다'라는 의미는 후에 붙여진 뜻인데, 땔감을 새로 장만했다란 의미로 붙여진 것이 아닌가 싶어요. 新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新聞(신문), 新世界(신세계)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아시죠? ^ ^ 그래도 다시 한 번 알아 볼까요? 흐르는 물을 그린 것이지요. 중심부는 수량이 풍부하기에 물줄기가 끊이지 않고 흐르는 형태로 표현했어요. 양쪽의 가장자리는 수량이 적기에 이따금 끊기거나 물체에 부딪혀 물이 튀기에 끊어진 형태로 표현했지요. 水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食水(식수), 水量(수량)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도 아시죠? ^ ^ 그래도 다시 한 번 알아 볼까요?  宀(집면)과 呂의 결합이에요. 宀은 집의 전체적인 외곽을, 呂는 창호를 표현한 것이에요. 宮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宮闕(궁궐), 宮中(궁중)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瞢(어두울몽)의 줄임글자와 夕(저녁석)의 합자에요. 본래 '흐릿하다'란 의미에요. 저녁[夕]이 되어 어스름이 깔리면 어둑어둑하여[瞢] 사물이 흐릿하게 보이지요. 꿈이란 의미는 여기서 연역된 것이에요. 꿈이란 대개 모호하고 불분명하잖아요? 夢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夢幻(몽환), 現夢(현몽, 꿈에 나타남)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자, 정리 문제를 풀어 볼까요?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꿈몽, 물수, 집궁, 새신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    )聞,  (    )水,  (    )闕,  (   )幻

 

3. 술과 관련된 본인의 에피소드를 하나만 말하시오.


오늘은 여기까지 입니다. 이장희씨의 '한잔의 추억'을 들으며 헤어지도록 하죠. 내일 뵈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해장국으로 뭘 드시는지요?

 

갑자기 왠 해장국? ^ ^   하하, 오늘 볼 내용이 해장국하고 관련이 있어서요. 한자를 읽어 볼까요? 누를황(黃) 콩두(豆) 싹아(芽) 나물채(菜), 황두아채에요. 황두는 흔히 메주콩이라 불리는 콩을 가리키며 황대두라고도 부르지요. 아채는 발아시킨 나물이란 뜻이에요. 황두아채란, 콩나물이란 뜻이에요 ^ ^ 위 사진은 콩나물 해장국집 간판이에요.

 

제가 먹어본 해장국 중에는 콩나물 해장국이 가장 숙취해소에 좋은 것 같더군요. 님께서는 무슨 해장국을 드시는지요? 아, 술을 안먹기 때문에 해장국을 드실 일이 없다구요? 에이, 술도 좀 드셔야죠. 그래야 술 만드는 사람도 먹고 살 것 아니에요 ^ ^  해장국 만드는 사람도 먹고 살구요 ^ ^  죄송합니다. 실없는 소리해서 ㅠㅠ

 

자, 한자를 자세히 좀 알아 볼까요?

 

은 田(밭전)과 光(빛광)의 옛글자가 결합된 것이에요. 토지의 색깔이 누렇다란 의미지요. 黃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黃金(황금), 黃菊(황국)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제기의 일종으로 고기를 담는 그릇을 나타낸 글자예요. 一을 뚜껑, 口는 담는 부분 ㅛ는 밑받침을 나타낸 것이지요. 콩이란 의미는 콩의 새싹이 이 제기의 모양과 유사한데서 파생된 것이에요. 豆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豆乳(두유), 豆腐(두부)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풀초)와 牙(어금니아)의 합자예요. 입 안에서 처음 나오는 어금니처럼 초목에서 처음 나오는 것[싹]이란 의미지요. 芽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萌芽(맹아), 發芽(발아)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艹(풀초)와 采(캘채)의 합자예요. 캐서 먹을 수 있는 초본과 식물이란 의미지요. 菜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菜蔬(채소), 野菜(야채)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자, 정리 문제를 풀어 볼까요?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누를황, 콩두, 싹아, 나물채

 

2. (     )안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      )金,  野(      ),  (      )腐,  發(      )

 

3. 본인이 끓일 수 있는 해장국과 그 해장국의 재료 및 특징에 대해서 말하시오.

 

 

  새싹이 돋아나는 목련 사진을 한 장 찍었네요. 

 

 

오늘은 여기까지 입니다. 내일 뵈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동학혁명군의 네 번째 강령이에요. 덜제(除) 사나울폭(暴) 구원할구(救) 백성민(民) 제폭구민(除暴救民), '포악함을 없애고 백성을 구원한다'는 의미에요. 제가 보기에 동학혁명군을 혁명군이라고 부를만한 가장 큰 근거가 되는 강령인 것 같애요. 혁명이란 하늘의 명을 바꾼다는 것이고, 그것은 포악한 정치로 민심(= 천심)이 이반된 정권을 바꾼다(없앤다)는 의미거든요.

 

그러나 동학혁명군은, 아시다시피, 정권교체까지는 발걸음을 떼지 못했지요. 단순히 탐관오리의 학정을 시정하는 것으로 스스로의 보폭을 제한했지요. 만일 동학혁명군이 좀 더 조직적으로 정권교체의 발걸음을 뗐다면 이 땅에 새로운 역사가 씌여졌을거에요. 동학혁명군이 봉기했을 때 백성들의 호응이 마른 들판에 불길 번지듯 일어났던 것은 그만큼 혁명의 기운이 충만했던 것인데... 스스로 그 기운을 꺾은 것이지요.

 

자, 한자를 좀 자세히 알아 볼까요? 이미 다룬 民은 빼도록 하겠어요. ^ ^

 

는 阝(阜의 변형, 언덕부)와 余(徐의 약자, 천천히서)의 합자에요. 본래 대궐의 계단을 의미하는 글자에요. 언덕을 오르듯 계속 올라가고 또 천천히 걸어야 안전한 설치물이란 의미지요. '덜다'란 의미는 계단을 오를 때 밑의 계단을 버리고 윗 계단으로 발걸음을 옮기는데서 연역된 의미에요. 除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除去(제거), 加減乘除(가감승제, 더하기 빼기 곱하기 나누기란 뜻)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日(날일)과 出(날출)과 卄(拱의 옛글자, 손맞잡을공)과 米(쌀미)의 합자에요. 해가 나왔을 때 두 손에 쌀을 들고 햇빛에 말린다는 뜻이에요. '사납다'란 의미는 여기서 연역된 것이에요. 해가 나왔을 때 얼른 말려야 하기 때문에 급하게 서두를 수밖에 없고, 서두르다 보면 사나워지지 않겠어요? 暴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暴動(폭동) 暴力(폭력)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求(裘의 초기 형태, 갖옷(털옷)구)와 攵(칠복)의 합자에요. 몸을 잘 보호해주는 갖옷처럼 상대가 안전할 수 있도록 강제적인 수단[攵]을 사용하여 조치한다란 의미에요. 救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救援(구원), 救助(구조)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자, 정리 문제를 풀어 볼까요?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덜제, 사나울폭, 구원할구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     )動, (     )援,   (     )去

 

3. 당신이 생각하는 가장 시급히 고쳐져야 될 정치 경제 사회적인 문제가 무엇인지 말하고 그 대책도 말해 보시오.

 

자, 오늘은 여기까지 입니다. 내일 뵈요~ ^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