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 전자의 2분기 영업 실적이 8조원이라죠? 그런데 이중 절반이 밧데리 문제를 일으킨 갤럭시 노트7 교체에 사용될 거라고 하더군요. 밧데리만 교체해 줘도 될 것을 기기 교체라는 무리수(?)를 둔 이유는 무엇일까요? '신용' 때문이겠죠. 당장은 손해보는 것 같지만 '신용'이 가져올 장래의 이익을 감안한 결단인 것이죠. 잘한 결정인 것 같아요(어이구, 그런데 왜 백혈병 인정은 그렇게도 늦장을 부렸지? 돈이 안돼는 문제라서 그랬나?).
봄철에 아내는 약간 이상하면서도(?) 감동적인 편지 한 장을 받았어요.
저희 벌꿀은 자연주의를 지향하기때문에
최소한의 돌봄(집 넓혀주기, 통 갈아주기, 여왕교체, 월동, 말벌퇴치...등)을 제외하고 내버려두는 방치양봉을 합니다.
그래서 설탕 급이는 겨울에도 어떤 경우에도 안 합니다. 벌들의 건강을 위해서라고 보시면됩니다. 겨울에 넣는 설탕은 꿀에는 섞이지 않을 수도 있겠지만 겨우내 그 꿀을 먹은 여왕이 낳은 수 많은 생명들의 건강을 위한 것이기도하죠.
그래서 벌통내에 있는 것들의 외부방출을 최소화하려고 합니다.
프로폴리스도 꽃가루, 로열제리도...
그래서 꿀흉년이 들면 꿀을 뜨지 않습니다.
벌들의 먹이로 일정정도의 꿀은 남겨둬야하니까요~
지금이 그 때이네요.
아카시아꽃이 개화 후 이틀동안 폭염(80여년만이라는)을 맞아 나무에서 말라버리는 대참사(?)를 겪게 되었지요.
자연이 주는 만큼만 가져오려하는데 올 봄은 그것마저 허락해주지 않네요.
너그러운 마음으로 양해해 주시고
아카시아와 밤꿀이 섞인 여름꿀, 가을꿀을 기다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죄송합니다.
약속한 시기에 벌꿀을 공급하지 못해 미안하다는 사과 편지예요. 왜 이런 편지를 보낸 것일까요? '신용' 때문이겠죠. 일시적으로 돈을 탐하여 가짜 꿀을 공급했다 신용을 잃으면 진짜 큰 이익을 잃게 되니까요. 차라리 사과 편지를 보내고 욕(?)을 먹는 것이 낫다고 판단한 거겠지요.
얼마전 위 편지에서 약속한 꿀이 도착했어요. 아내가 한 번 맛보라고 주기에 먹어 봤더니 정말 일반 꿀과는 맛이 다르더군요. 뭔가 '깊은 맛'이 느껴졌어요(아, 그 맛을 적합한 수사로 그려낼 수 있다면 좋을텐데. 우이, 나의 빈곤한 어휘력!) 그 깊은 맛에는 분명 양봉하는 분의 진솔한 마음도 들어있을 거예요.
아인슈타인이 그랬다죠? 꿀벌이 없어지면 4년 안에 인류도 없어질 거라고. 꿀벌이 없으면 식물이 불임되고 식물이 불임되면 동물이 먹을게 없고 동물이 없으면 사람도... 전자파와 환경 오염으로 꿀벌의 개체수가 줄고 있다는 이야기는 끊임없이 나오지만 개선의 모습은 별반 눈에 띄지 않는 것 같아요. 이런 상황에서 양봉하는 분들은 정말 '고군분투(孤軍奮鬪)'한다는 생각이 들어요. 위 편지의 주인공되는 분도 마찬가지겠지요(부디 힘 내시길!).
아내한테 꿀을 먹을 때 정성껏 먹고 한 방울도 흘리지 말라고 했어요(요즘 아내가 좀 흘리는 버릇이 있어서). 아내가 뚱한 표정으로 대답했어요. "아, 이게 얼마짜린데 흘려~!" "…"
사진에 나와 있는 한자를 좀 알아 볼까요?
封은 土(흙 토)의 중복자와 寸(마디 촌)의 합자예요. 규정[寸, 본래는 길이의 단위이지만 여기서는 의미를 확대하여 규정, 법 등의 의미로 사용됐어요]에 맞게 제후에게 토지를 나눠 준다는 의미예요. 봉할 봉. 봉하다란 의미는 나눠 준다는 의미도 되고 단단히 잠근다란 의미도 돼요. 전자는 본뜻이고, 후자는 연역된 의미라고 볼 수 있어요. 나눠준 토지의 경계를 분명히 하여 지킨다란 의미로요. 封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封建(봉건), 封合(봉합) 등을 들 수 있겠네요.
蓋는 艹(풀 초)와 盍(덮을 합)의 합자예요. 풀을 엮어 덮었다란 의미예요. 덮을 개. 蓋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覆蓋(복개), 蓋棺事定(개관사정, 사람이 죽고 난 후 그의 현부(賢否)를 평가한다는 말) 등을 들 수 있겠네요.
封蓋는 말 그대로 '봉하여 덮는다'란 의미인데, 꿀벌이 벌집에 꿀을 채우고 스스로 밀랍으로 봉하여 채운 꿀을 숙성시키는 것을 말해요. 이 때문에 봉개꿀은 천연 꿀이란 의미로 쓰여요.
蜂은 虫(벌레 충)과 夆(逢의 약자, 만날 봉)의 합자예요. 벌이란 뜻이에요. 虫으로 뜻을 표현했어요. 夆은 음을 담당하면서 뜻도 일부분 담당해요. 벌은 무리지어 다니는 습성이 있는데 그것을 夆으로 표현한 것이죠. 벌 봉. 蜂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蜂蜜(봉밀), 養蜂(양봉) 등을 들 수 있겠네요.
匠은 匚(상자 )과 斤(도끼 )의 합자예요. 목공용 도구[斤]를 이용하여 가공한 목공예품[匚]이란 의미예요. 후에 그런 목공예품을 전문적으로 만드는 기술자란 의미로도 사용하게 됐어요. 지금은 거의 이 의미로 사용하고 있죠. 장인 장. 匠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匠人(장인), 巨匠(거장) 등을 들 있겠네요.
翁은 羽(깃우)와 公(공 공)의 합자예요. 조류의 목 부분에 난 털이란 의미예요. 羽로 뜻을 표현했어요. 公은 음을 담당하면서(공→옹) 뜻도 일부분 담당해요. 높이 존경받는 사람을 公이라고 하는 것처럼 새의 높은 부분에 있는 털이란 의미로요. 어른신 옹. 翁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老瓮(노옹), 翁姑(옹고, 시아버지와 시어머니)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플 풀어 볼까요?
1. 다음 한자를 허벅지에 열심히 연습하시오.
封 봉할 봉 蓋 덮을 개 蜂 벌 봉 匠 장인 장 翁 어르신 옹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覆( ) ( )合 老( ) ( )蜜 ( )人
3. '신용'에 감동했던 사례가 있으면 한가지 소개해 보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