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서산. 사진 출처 : http://snayper4502.blog.me/150093664774
개눈에는 똥만 보인다죠?
지난 주 보령 남포에 있는 지인을 방문했어요. 지인과 대화를 나누는 중에 지인의 서가에 있는 책 중에 『보령의 한시』란 책이 눈에 들어 오더군요. 대화 중간에 살짝 책을 떠들어 봤더니 낯익은 분의 반가운 시가 실려 있더군요. 정약용 선생의 '등오서산절정(登烏棲山絶頂)'이란 시였어요. 오서산에 오른 적이 있었기에 나의 느낌과 선생의 느낌엔 어떤 차이가 있을까 궁금해지더군요.
碧落苕嶢石作臺 벽락초요석작대 하늘 높이 솟은 산 석대에 올라오니
山河萬里鬱盤回 산하만리울반회 만리에 펼친 산하 얼기설기 얽히었네
錦川秋色橫雲斷 금천추색횡운단 금강의 가을 빛은 구름 가려 끊기었고
吳粤天光過海來 오월천광과해래 오월의 하늘 빛은 바다 넘어 비쳐드네
魯聖乘桴良有以 노성승부양유이 뗏목 타고 오시려던 공자님 까닭이 있고
周王遷國亦悠哉 주왕천국역유재 주왕의 천국 또한 깊은 생각 있었다네
神京北望知何處 신경북망지하처 북쪽 하늘 바라보니 서울은 어드메뇨
煙靄蒼蒼數雁哀 연애창창수안애 푸르스름 안개 속에 기러기 소리 애달파라
1구와 2구는 그다지 특별한 느낌이 없어요. 높은 산에 오르면 일반적으로 보게 되는 풍경을 그렸거든요. 본 내용을 시작하기 전 호흡을 고르는 단계라고 볼 수 있어요. 호흡을 고른 선생은 무엇을 바라보고 무엇을 생각했을까요?
3구에서 6구까지는 선생의 바라본 본격(?) 풍경과 생각을 그린 것인데, 재미있는 것은 선생이 동서남북 방위별로 풍경과 생각을 드러냈다는 점이에요. 시 어디에도 방위를 표현한 단어는 없지만 내용상 방위를 드러내고 있어요. 3구는 오서산에서 바라 본 고즈녁한 금강의 가을 경치를 표현했는데 이는 남쪽의 풍경이에요. 4구는 서해 건너 손에 잡힐듯한 중국 땅을 그렸는데 이는 서쪽의 풍경이에요. 5구는 실물 풍경이 아니라 관념의 풍경을 그렸는데 이는 동쪽의 풍경이에요. 공자는 도가 땅에 떨어진 자신의 시대를 한탄하며 뗏목을 타고 바다로 나가고 싶다 했어요. 그런데 공자가 가고 싶어했던 곳은 동이(東夷)였어요. 따라서 공자 운운의 내용은 동쪽 풍경을 그린 것이죠. 6구 역시 실물 풍경이 아니라 관념 풍경인데 이는 북쪽의 풍경이에요. 백제의 문주왕은 한성[서울]에서 웅진[공주]으로 수도를 옮겼는데 한성은 남쪽의 웅진과 상대가 되는 북쪽에 있어요. 따라서 주왕 운운의 내용은 북쪽 풍경을 그린 것이죠.
사방으로 바라 본 실물 풍경과 관념 풍경을 통해 선생은 은연중 자신의 시대를 비판하고 있는 듯 보여요. 더없이 아름다운 산하이지만[3,4구] 떠나고 싶을 정도로 도(의)가 땅에 떨어진 세상이며[5구] 기득권의 발호가 극심하기에 천도(遷都)같은 과감한 개혁이 필요한 때라고 보고 있는 것 같거든요[6구]. 이런 해석이 다소 견강부회하게 들릴 수도 있지만, 다소 뜬금없이 등장하는 5, 6구의 관념 풍경은 이런 해석을 전제하지 않고는 이해가 쉽지 않아요.
이런 연장선에서 이 시의 매듭 부분인 7, 8구를 보면 단순한 물리적 풍경을 그린 것이 아니라 선생의 마음을 담은 추상적 풍경을 그린거라 여겨져요. 그렇다면 이 추상 풍경에 담긴 선생의 마음은 어떤 마음일까요? 그건 한 마디로 '서글픔'이 아닐까 싶어요. 보이지 않는 서울과 푸르스름한 안개로 표현된 답답한 현실에서 선생이 할 수 있는 일이란 아무것도 없기 때문이죠. 애달픈 기러기 소리는 바로 선생의 서글픈 처지를 대변한 것이라 보여요.
선생의 이 시는 오서산 등반 그 자체에 비중을 둔 서경시라기 보다는 오서산 등반을 빌미로 답답한 현실과 서글픈 자신의 위상을 반추한 서정시라고 보는 것이 맞을 듯 싶어요.
저는 오서산에 올랐을 때 탁 트인 서해 바다 풍경에만 마음을 빼앗겼지 선생처럼 시대를 고민하진 않았어요. 아니 고민할 생각조차 하지 않았어요. 경치좋은 산정에 올라서도 시대를 걱정하며 자신을 반추하는 선생의 시를 대하니 과시 선생은 시대의 양심이었다란 생각이 들어요. 어설프게 산에 오른 느낌을 비교하려 했던 것이 부끄러웠어요.
어려운 한자가 많네요. 너무 많이 공부하면 머리가 아프니 조금만 공부해 보도록 하죠. 苕, 盤, 桴, 悠, 靄만 좀 자세히 살펴 보도록 하죠.
苕는 艹(풀 초)와 召(부를 소)의 합자예요. 능소화라는 뜻이에요. 艹로 뜻을 나타냈어요. 召는 음을 담당하면서(소→초) 뜻도 일부분 담당해요. 능소화는 고목(高木)을 타고 높이 올라가는데, 이것이 흡사 바람을 부르는 듯한 모습으로 보인다는 의미로요. 능소화초. 높다라는 뜻으로도 사용하는데, 이는 능소화가 고목을 타고 높이 올라가는데서 나온 의미예요. 높을 초. 苕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陵苕(능초, 능소화의 별칭)와 苕苕(초초, 높은 모양) 등을 들 수 있겠네요.
盤은 皿(그릇 명)과 般(옮길 반)의 합자예요. 쟁반이란 의미예요. 皿으로 뜻을 표현했어요. 般은 음을 담당하면서 뜻도 일부분 담당해요. 필요에 따라 이리저리 쉽게 옮길 수 있는 것이 쟁반이란 의미로요. 쟁반 반. 서리다(헝클어지지않게 빙빙 둘러서 포개어 감다)란 의미로도 사용하는데, 이는 쟁반의 외형에서 연역된 의미예요. 서릴 반. 盤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小盤(소반), 盤松(반송) 등을 들 수 있겠네요.
桴는 木(나무 목)과 孚(孵의 약자. 알깔 부)의 합자예요. 마룻대(용마루 밑에 서까래가 걸리게 된 나무)란 뜻이에요. 木으로 뜻을 표현했어요. 孚는 음을 담당하면서 뜻도 일부분 담당해요. 알을 깔 때 어미 닭이 알 위에서 알을 품듯 마룻대는 기둥 위에서 서까래를 걸게하는 물건이란 의미로요. 마룻대 부. 뗏목이란 의미로도 사용하는데 본뜻에서 연역된 거예요. 마룻대가 기둥위에 있듯 뗏목은 물 위에 떠있는 물체란 의미로요. 뗏목 부. 桴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棟桴(동부, 마룻대), 桴筏(부벌, 뗏목) 등을 들 수 있겠네요.
悠는 心(마음 심)과 攸(아득할 유)의 합자예요. 생각이[心] 길고 멀다[攸]란 의미예요. 근심할 유. 멀 유. 悠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悠長(유장, 길고 오램), 悠久(유구) 등을 들 수 있겠네요.
靄는 雨(雲의 약자, 구름 운)과 謁(藹의 약자, 우거질 애)의 합자예요. 구름이 뭉게뭉게 피어 오른다란 의미예요. 피어오를 애. 靄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靄靄(애애, 구름이 피어 오르는 모양), 靄散(애산, 구름이 흩어짐)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를 풀어 볼까요?
1. 다음의 한자를 허벅지에 열심히 연습하시오.
苕 능소화초. 높을 초 盤 쟁반 반. 서릴 반 桴 뗏목 부 悠 근심할 유. 멀 유 靄 피어오를 애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 )苕 ( )松 ( )筏 ( )長 ( )靄
3. 다음을 읽고 풀이해 보시오.
神京北望知何處 煙靄蒼蒼數雁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