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게 뭐예요!"

 

 예식이 끝난 후, 예식장 주인을 찾아가 버럭 소리를 질렀어요. 음식이 모자라 굶은 사람, 거의 맹물에 가까운 갈비탕을 먹은 사람, 과일 서너 쪽 밖에 못먹은 사람… 예약할 때 100명의 초과 인원까지 감당할 수 있다고 자신있게 말하더니 초과 인원은 고사하고 예약 정원까지도 음식을 못먹게 했으니 화가 날 밖에요. 예식을 끝낸 신랑이 나설 자리는 아니었지만 도저히 참을 수가 없었어요.

 

20년 전의 제 결혼식 사건이에요. 지금이야 대부분 부페식으로 하객 대접을 하니 음식 모자라 예식장 주인과 얼굴 붉힐 일은 없죠. 사실 저 결혼할 때도 예식장 주인과 음식이 부족해서 마찰을 빚는 경우는 흔치 않았던 것 같아요. 제가 좀 특수한 경우죠.

 

사진은 예식장에 갔다가 받은 식사권(食事券)이에요. 식사권은 받아드니 불현듯 옛 일이 생각나 중얼거렸어요.

 

그나저나 요즘의 예식은 '인륜지대사(人倫之大事)'의 축하 잔치라기 보다는 기계화(?)된 행사 같다는 느낌이 들어요. 식장에서는 몇 분에 한쌍식 신혼부부를 찍어내고(?), 부페에서는 부조액에 해당하는 음식물을 공급하고 있는 것 같거든요. 식사권을 받아들 때 이런 생각이 더해요. 너무 지나친 생각일까요? 의미와 편의가 조화를 이루는 것은 쉽지 않은 것 같아요.

 

한자의 뜻과 음을 알아 볼까요? 食은 먹을 식, 事는 일 사, 券은 문서 권이라고 읽어요. 한 글자씩 좀 자세히 알아 볼까요?

 

은 A(集의 옛 글자, 모을 집)과 皂(쭉정이 조)의 합자예요. 여러 종류의 곡식을 모아서 익힌 밥이란 뜻이에요. '먹다'란 의미는 여기서 연역된 거예요. '밥을 먹다'란 의미로요. 밥(먹을) 식. 食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粉食(분식), 雜食(잡식) 등을 예로 들 수 있겠네요.

 

는 두가지로 설명해요. 하나. 旂(깃발 기)의 약자와 冊(책 책)의 약자와 又(手의 원형, 손 수)의 합자로, 손으로 깃발을 잡거나 간책(簡冊)을 들고 기록하는 일을 한다는 의미이다. 둘. 史(역사 사)와 之(갈 지)의 축약형이 결합된 글자로, 순리와 정도에 따라[之] 치우치지 않게 기록하는[史] 일을 한다는 의미이다. 둘 다 일리가 있죠? 일 사. 事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事態(사태), 事跡(사적) 등을 예로 들 수 있겠네요.

 

은 쌍방이 반씩 나눠 가진 약속의 내용을 새긴[刀: 칼 도] 목판이란 의미예요. 일종의 계약서죠. 刀이외의 부분은 음을 담당해요. 문서 권. 券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證券(증권), 福券(복권) 등을 들 수 있겠네요.

 

 

1. 다음의 한자를 허벅지에 열심히 연습하시오.

 

    밥(먹을) 식     일 사    문서 권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   )態   證(   )   雜(   )

 

3. 예식과 관련한 에피소드가 있으면 소개해 보시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성취감을 안겨주는 한자 책은 없을까?”
“한자를 제대로 설명한 한자 책은 없을까?”
“읽으면서 익힐 수 있는 한자 책은 없을까?”
“이동하면서 익힐 수 있는 한자 책은 없을까?”
“한자는 모르지만, 상식은 꽤 있는데, 이런 눈 

 높이에 맞는 한자 책은 없을까?

 

 

『길에서 주운 한자』는 이런 질문에 답하는 책이다. 일상에서 취재한 한자 자료들을 가지고 거기서 느낀 감정과 생각을 풀어내고, 취재한 한자의 어원과 활용 예를 설명한다. 마무리로 저자 특유의 복습 방법인 ‘허벅지와 손바닥 쓰기’를 통해 한자를 몸에 익히도록 한다. 300쪽이 넘는 적지 않은 분량이지만 내용이 짤막짤막하여 성취감을 맛보며 읽을 수 있다.

 


일례로‘어떤 법무법인’에서 지은이는 ‘昭憲(소헌)’이란 자료를 다루는데, 우선 법에 얽힌 자신의 경험담과 우리 사회의 법 감정에 대한 생각을 풀어낸다. 자연스럽게 자료 글자에 대해 친밀감을 갖도록 돕는 것이다. 그리고 昭와 憲이란 한자의 구성 원리와 의미를 설명하고 활용 예를 제시한다. 읽으면서 한자를 습득하도록 돕는 것이다. 마무리로 昭와 憲을 허벅지와 손바닥에 써보도록 권한다. 이동하면서도 한자를 익힐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이상의 내용은 결코 길지 않다. 성취감을 맛보며 읽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길에서 주운 한자』는 시중에 난무하는 화려한 비주얼의 한자 책도 아니고, 한 권으로 모든 것을 끝낼 듯한 만능의 한자 책도 아니며, 현학을 과시하여 독자를 기죽이는 한자 책도 아니다. 극히 소박한 한자 학습서일 뿐이다. 그러나 이상의 책들에 비해 결코 뒤지지 않는 책이다. 취재 자료의 사진으로 볼거리를 제공하고, 제한된 양이긴 하나 꽤 많은 양의 한자를 다루며, 중학생 이상의 독자를 상정하여 내용을 풀어가고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이 책이 갖는 또 하나의 장점이자 미덕은 정확한 자원 설명으로 한자에 대해 바른 지식을 전달하고 있다는 점이다.


 

『길에서 주운 한자』는 지은이가 책머리에 인용한 맹자의 말 ― 진리는 가까운 곳에 있다 ― 처럼 가까운 곳에서 한자 학습의 정도를 찾으려한 노력의 산물이다. 저자의 겸손한 말 ― 심심풀이로 시작한 흠 많은 책 ― 과 달리 내공이 깊은 책이다. 길 가는 이들과 한자 학습에 관심이 있는 이들에게 일독을 권한다.


 


출판사에서 낸 『길에서 주운 한자』에 대한 소개 글이에요. 좋은 이야기만 잔뜩 써 놓아 좀 멋쩍어요. 이 장점 이외의 나머지는 다 단점이라고 보시면 될 것 같아요.

 

 

오늘 한자 공부는 소개 글에 나온 '昭憲'을 알아 보도록 하죠. 예전에 다뤘던 것이라 기억하시는 분도 계실 것 같아요. 복습하는 셈 치고…. 昭憲(소헌)은 '법에 밝다' 혹은 '밝은 법'이란 의미예요. 한자를 좀 자세히 알아 볼까요?

 

 

는 日(날일)과 召(부를소)의 합자에요. 해가 밝게 비춘다는 의미에요. 召는 음을 담당하면서 뜻도 일부분 담당해요. 부른다는 것은 소리가 상대방에게 이른다른 뜻인데 밝은 햇살이 비춘다는 것은 그처럼 햇살이 사람과 사물에 이른다는 것을 뜻한다는 의미로요. 昭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昭詳(소상, 분명하고 자세함), 昭昭(소소, 밝은 모양)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害(해로울해)의 약자와 目(눈목)과 心(마음심)의 합자에요. 본래의 뜻은 '민첩하다'란 의미에요. 눈과 마음으로 해로운 일들을 잘 살피고 헤아려 민첩하게 대응한다란 의미지요. '법'이란 의미는 본뜻에서 연역된 거에요. 해로운 일에 민첩하게 대응하듯, 일의 잘잘못을 민첩하게 판별해주는 것이 '법'이란 의미로요. 憲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憲法(헌법), 憲章(헌장)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를 풀어 보실까요?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허벅지에 써 보시오: 밝을소, 법헌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허벅지에 써 보시오: ( )法, ( )詳

 

 

 

3. 법 때문에 기뻤던 일 혹은 괴로웠던 일이 있으면 하나씩 소개해 보시오.

 

 

☆ 홍보용으로 출판사에서 받아 놓은 책이 좀 있어요. 연락처를 댓글에 남겨 주시면 무료로 보내 드릴게요. 관심있으신 분들께선 연락 주셔용~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순오기 2016-05-10 09: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출간 축하드려요!💐
엊그제 여기에 댓글 쓰다가 염치없는 거 같아 지웠는데...^^

찔레꽃 2016-05-10 11: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되려 제가 염치없습니다. 바쁜실텐데...
 

 

"한자 좀 쉽게 배울 수 없니?"

"글쎄..."

 

오래 전 한 친구가 '한자'를 배우고 싶은데 쉬운 방법 좀 알려 달라고 했어요. 난감하더군요. 조금씩 꾸준히 해야 한다고 밖에 말할 수 없는데, 그런 말은 해봤자 친구 귀에 들리지도 않을 것 같더군요.

 

이후 친구의 말은 제게 숙제가 됐어요. 공부 시기를 놓친 이들이 한자를 쉽게 익힐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 생각하게 된 것이지요.

 

이제 그 답에 가까운 것을 얻게 됐어요. 이번에 펴낸 제 책이 그거예요. 천천히 제 책을 읽으면 -- '천천히'가 매우 중요해요 --한자를 어렵지 않게 익힐 수 있어요.

 

한자에 대해 애툿한 마음을 갖고는 있으나 배움의 시기를 놓친 이들에게 제 책은 좋은 벗이 될 것이라고 봐요.

 

공부 시기를 놓친 이들이 책 사기에 부담되지 않도록 책 가격도 저렴하게 매겼어요. 380쪽이 넘지만 가격은 12,000원 이에요. 할인을 받으면 1만원에 살 수 있도록 일부러 그렇게 매겼어요. 사진도 많고 편집도 시원하며 내용들이 짤막짤막해서 읽기에 부담이 없어요. "지은이의 다정다감한 이야기를 듣다 보면 자신도 모르게 한자의 매력에 빠져든다."란 광고 문구는 단순한 미사여구는 아니랍니다. ^ ^

 

이런 좋은 책을 어찌 아니 홍보 할 수 있겠어요? ^ ^ 임들께서도 저의 홍보에 동참해 주시지 않겠어요? 홍보에 동참해주실 아름다운 임들께서는 댓글 -- 책을 받아보시기 편한 주소 -- 남겨 주셔요. 당.연.히 무료로 보내 드려요. 짤막한 서평이라도 남겨 주시면 백골난망일 것 같구요.^ ^ 

 

한자 공부를 해보실까요? 책 표지에 나온 '군말'의 한자어인 '췌언(贅言)'에 대해 알아 보도록 하죠.

 

는 敖(놀 오, 여기서는 '내놓는다'란 의미)와 貝(조개 패, 여기서는 '돈'의 의미)의 합자예요. 물건을 내놓고 돈을 빌린다는 뜻이에요. 전당을 잡힌다는 의미지요. 이 글자의 일반적인 뜻은 '군더더기'인데, '전당 잡힌다'는 본뜻에서 연역된 거예요. 구차스럽게 물건을 맡기고 돈을 빌린다는데서 군더더기란 의미가 나온 것이지요. 군더더기는 본질에서 벗어난 다소 구차스러운 것이잖아요? 전당할 췌, 군더더기 췌. 贅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贅行(췌행, 쓸데없는 행위), 贅子(췌자, 빚보증으로 채권자의 집에 맡긴 아들)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二(上의 초기 형태, 위 상)와 舌(혀 설)의 합자예요. 혀로부터 나오는 것이 말이란 의미예요. 말씀 언. 言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言行(언행), 言論(언론)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를 풀어 볼까요?

 

1. 다음의 한자를 허벅지에 열심히 연습하시오.

 

    군더더기 췌   말씀 언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   )論   (   )行

 

3. 자신이 습관적으로 사용하는 '췌언'이 있으면 말해 보시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cyrus 2016-05-06 18: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제 생각에는 한자 공부에 왕도는 없다고 봅니다. 저는 무식하게 여러 번 쓰면서 암기했습니다. ㅎㅎㅎ 몇 년 간 한자 공부를 안 하니까 몇 몇 한자는 까먹었습니다.

찔레꽃 2016-05-07 09: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사실, cyrus님 학습법이 정석이죠. ㅎㅎㅎ. cyrus님, 제가 책을 한 권 보내 드리고 싶은데 받기 편하신 주소를 알려 주실 수 있을런지요? 그간 글을 쓰는데 cyrus님의 방문이 큰 힘이 되었거든요. 부담갖지 마시고 받기 편하신 주소 알려 주셔요. 허접한 책이나마 감사의 보답으로 보내 드리고 싶어요.

cyrus 2016-05-08 11:59   좋아요 0 | URL
찔레꽃님 답글을 이제야 봤습니다. 북플 답글 알림이 뜨지 않아서 못 보고 지나칠 뻔 했어요.

갑자기 책을 보내주신다고 말씀하셔서 깜짝 놀랐습니다. 사실 이웃분들의 글을 처음부터 끝까지 다 읽지 않아요. 빨리 읽거나 아예 안 읽는 경우가 많아요. 그래도 정성 들여 쓴 글은 `좋아요`를 꼭 누릅니다. 찔레꽃님처럼 매일 꾸준히 기록하는 분들을 좋아해요. 그리고 많이 자극받습니다. 마음만 받을께요. 공짜로 한자 공부하는 마당에 선물까지 받으면 제가 공짜를 좋아해서 대머리 될 수 있어요. ㅎㅎㅎ

찔레꽃 2016-05-08 16: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런, 아쉽네요. ㅠㅠ 꼭 드리고 싶었는데... ^ ^
 

  한 때 머리를 길러 묶고 다닌 적이 있어요. 세상사가 내뜻대로 되는게 하나도(?) 없다고 생각해서 내 머리는 내 마음대로 해볼 수 있지 않겠나 싶어 그랬지요. (참고로 저는 남자입니다.) 그때를 돌아보면 "내가 왜 머리를 길렀지?" 하는 생각이 들어요. 지금은 머리를 기를 생각 추호도 없어요. 뒷목 간지럽고 손질하기 귀찮아서요. 하하하.

 

 

  중늙은이가 되어 지나온 시간을 돌아보니 뭔가 열심히 살아온 것 같긴 한데 왠지 허전해서 책을 한 권 냈어요. 뭔가 잡히는게 있을 것 같아서요. (참고로 저는 글을 잘쓰는 사람이 결코 아닙니다.) 조금 더 시간이 지나면, 예전에 머리 길렀던 경험처럼, "내가 왜 책을 냈지?" 자문하게 될지도 모르겠어요. 하하하.

 

 

  하여간 촌스런(이런, 하늘에 계신 부모님이 야단치시겠네요) 제 이름을 달고 책이 한 권 나왔는데, 홍보를 아니할 수 없어 이렇게 블로그를 통해 임들께 멋적은 홍보를 하게 됐어요.

 

 

 홍보용으로, 출판사에서 얼마간의 책을 인수 받았어요. 혹 읽어 보고 싶으시면 댓글 -- 받으시기 편한 주소지 -- 남겨 주셔요. 당.연.히. 무료로 보내드리겠습니다. 짤막한 서평이라도 남겨 주신다면 그야말로 '황공무지'할 것 같구요.

 

 

 아, 오늘도 한자 공부를 빼놓을 순 없죠. 표지에 나온 단어 중 '선물'이란 단어를 좀 자세히 알아 보도록 할까요?

 

 

'선'은 한자 표기를 '膳'으로 해요. 은 月(肉의 변형, 고기 육)과 善(착할 선)의 합자예요. '반찬'이란 의미예요. 반찬 중에서 가장 좋은 반찬이 '고기'이기에 月로 뜻을 삼았지요. 善은 음을 담당하면서 뜻도 일부분 담당해요. 반찬은 '좋고 맛있는 것'을 으뜸으로 삼는다는 의미로요. ('착하다'란 의미를 확대시켜 적용한 것이지요.) 선물이란 의미는 본뜻에서 연역된 거예요. 밥먹는 것을 돕는 맛있는 반찬처럼, 상대를 배려하기 위해 마련한 좋은 물건이란 의미로요. 반찬 선, 선물 선. 膳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膳夫(선부, 요리사), 膳賜(선사, 남에게 선물을 줌)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물'은 한자 표기를 '物'로 해요. 은 牛(소 우)과 勿(말 물)의 합자예요. '만물'이란 의미예요. 여러가지 색깔의 소[牛]라는 뜻에서 의미가 확대되어 만물이란 의미로 사용하게 됐다고 보기도 하고, 만물 중에서 가장 쉽게 보고 가장 덩치가 큰 것이 '소'인지라 소[牛]로 뜻 부분을 삼았다고 보기도 해요. 勿은 음을 담당해요. 만물 물. 物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萬物(만물), 物理(물리)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를 풀어 볼까요?

 

 

1. 다음의 한자를 허벅지에 열심히 연습하시오.

 

 

    반찬(선물) 선    만물 물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萬(   )   (   )賜

 

 

3. '선물'과 관련한 에피소드가 있으면 소개해 보시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실록(實錄): ① 어떤 사실을 있는 그대로 적은 기록 ② 한 임금의 재위 동안의 사적을 편년체로 기록한 것.

 

 

 실록의 정의가 위와 같다면 사진의 '자연 실록'이란 의미는 자연에 관한 사실을 있는 그대로 적었거나, 하느님의 위업을 편년체로 기록한 것이라고 해석해야 할 거예요. (이런, 한자를 먼저 읽었어야는데... '實綠'은 '실록'이라고 읽어요. 實은 '참 실' 혹은 '열매 실'이라고 읽고 綠은 '푸를 록'이라고 읽어요.) 그러나 여기서 사용된 '자연 실록'이 그런 의미로 사용된 것은, 당.연.히. 아니죠! (알고 계셨죠?) 하지만 그런 의미가 전혀 없다고 보기도 어려울 것 같아요.

 

 

사진의 '實綠'은 실록의 사전적 의미를 원용하여 이중 의미를 나타낸 거예요. 일종의 문자유희죠. 어떤 사실을 있는 그대로 적는 기록인 '실록'처럼, 인공을 가하지 않고 자연 그대로 키워 생산한 제품이란 의미로 사용했어요. 실록의 '록'을 '푸를 록(綠)'으로 표기하여 자연 그대로 키워 생산했다는 점을 강조했지요. (본래 '실록'의 '록'은 '기록할 록(錄)'자를 사용해요.) 여기에 '자연'이란 말까지 덧붙임으로써 자연 그대로 키웠다는 것을 재차 강조했다고 볼 수 있어요.

 

 

그런데, 이 제품이 정말 자연 그대로 키워 생산한 제품일까요? 왠지 자꾸 고개가 갸웃거려져요. 대량 유통시키는 농축산물 -- 이 '자연 實綠' 제품은 닭고기예요 -- 치고 공장제 생산 아닌 곳이 없는데, 과연 자연 방사로 닭을 키웠을까 싶은 거지요. 자연 방사로 닭을 키우면 도저히 마진이 생기지 않을 것 같거든요. 마진이 생기지 않을 생산 방식을 과연 대량 생산업체에서 선택 할까요? 전, 이 상호가 그저 상호일 뿐 실제와는 거리가 있을 거라고 봐요. 자연주의 소비 트랜드에 맞춘 상호일 뿐 실제와는 차이가 있을 거라고 보는 거죠. 명실상부한 '자연實綠'은 집에서 기르는 서너마리 닭에게나 해당될 명칭일 거예요.

 

 

한자를 좀 자세히 알아 볼까요?

 

 

은 宀(집 면)과 貫(꿸 관)의 합자예요. 집에 돈꿰미가 가득하다는 뜻이에요. '참'이나 '열매'란 의미는 본뜻에서 연역된 거예요. 허황된 거짓이 아니고 진실된 내용이 가득 들어있는 것이 '참'이고, 속이 내용물로 가득 채워져 있는 것이 '열매'란 의미로요. 참 실, 열매 실. 實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實際(실제), 果實(과실) 등을 들 수 있겠네요.

 

 

糸(실 사)와 彔(나무새길 록)의 합자예요. 본래 청황색의 비단을 뜻하는 글자였어요. 비단의 재료인 실[糸]로 뜻을 표현했고, 彔으로는 음을 나타냈죠. 후에 청색이란 의미만 남겨 사용하게 됐어요. 푸를 록. 綠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綠色(녹색), 新綠(신록)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를 풀어 볼까요?

 

 

1. 다음 한자를 허벅지에 열심히 연습하시오.

 

 

    참(열매) 실    푸를 록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   )際   新(   )

 

 

3. 자연주의 소비 트랜드를 반영한 상호를 하나 소개해 보시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