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이는 성인 중에서 가장 맑은 자이다. 그는 불의한 이들과 같이 있는 것을 관복을 입고 진흙창에 앉아있는 것처럼 여겼다. 유하혜는 성인 중에서 가장 원만한 자이다. 그는 어떤 이들과도 어울렸다. 그들은 그들이고 자신은 자신이라고 여겼던 것이다. 이윤은 성인 중에서 가장 책임 의식이 높은 자였다. 그는 백성이 힘들게 사는 것을 보면 모두 자신의 책임이라고 여겼다. 공자는 성인 중에서 가장 상황을 잘 맞춘 자이다. 물러날 때와 있어야 할 때를 항상 잘 맞췄다.』(맹자)

 

 

최근 신영복 선생이 돌아 가신 뒤, 사회의 큰 어른이 점점 줄이들고 있다는 것을 우려하는 목소리들이 있더군요. 그렇게 된 가장 큰 이유는 지성사회가 자본의 논리에 물든 탓이라며 자성을 촉구하더군요. 사회의 큰 어른이 갖춰야 할 덕목을 소개했는데 네 가지를 들었어요. ① 시대 변화를 촉발할 탁월한 성취 및 지성과 통찰 ② 불의에 맞서 싸울 비판과 저항 정신 ③ 반대자와 약자에 대한 관용과 베풂 ④ 당대와 호흡하는 유연한 사고 (이상 한국일보 2월 20일자 참조). 큰 어른의 덕목을 보니 맹자가 평한 인물중 백이는 ②의 덕목에 해당할 것 같고, 유하혜는 ③의 덕목에, 이윤은 ①의 덕목에, 공자는 ④의 덕목에 해당할 것 같더군요. 보편적 가치는 예와 이제가 크게 다르지 않은 것 같아요.

 

 

큰 인물은 그 사회의 빛과 소금같은 존재지요. 혹자는 큰 어른이라는 존재가 전근대적 가치의 소산물로 '어른없는 사회'가 오히려 바람직하다고 보기도 하더군요(상기 신문기사 참조). 그러나 아직은, 특히 우리 사회같은 경우, 큰 어른의 존재가 필요하지 않은 가 싶어요. 모든 것이 천박한 자본의 논리대로만 움직여 인간과 생명의 가치가 자꾸 도외시되고 있기 때문이죠. 이런 가치 전도의 상황을 일깨워줄 이는 역시 큰 어른이 아닌가 싶은 거예요. 일례로, 청계천 복원은 박경리 선생이 제안을 했기에 가능했던 것이죠. 청계천 복원에 자본의 논리가 전혀 작용하지 않은 것은 아니지만 생명의 가치가 우선시 되었던 것은 분명해요. 청계천 복원은 큰 어른의 영향을 보여주는 좋은 사례라고 생각되요. 이런 어른들이 자꾸 줄어들고 있다고 하니 참 안타까운 일이에요.

 

 

사진의 작품은 어느 음식점에서 찍은 거예요(왼쪽). "춘풍대아능용물 추수문장불염진(춘風大雅能容物 秋水文章不染塵)" 이라고 읽어요. "봄 바람 같은 큰 아량은 능히 모든 대상을 품을만 하고, 맑은 가을 물같은 문장은 더러움에 물들지 않았네"라고 풀이 해요. 이런 아량과 문장을 쓰는 분이 바로 큰 어른이겠죠. 본래 추사 선생의 작품인데 글씨 쓴 이가 자신의 필체로 옮긴 거예요. 원래의 작품과 대조해 보면 재미있을 것 같아 같이 놓아 보았어요(오른쪽, 유홍준의 『완당평전』에서 인용). 액자의 내용을 보며 문득 '큰 어른'이 그리워 몇 마디 주절거렸네요.

 

 

한자의 뜻과 음을 알아 볼까요? 春은 봄춘, 風은 바람풍, 大는 큰대, 雅는 우아할아, 能은 능할능, 容은 수용할용, 物은 만물물, 秋는 가을추, 水는 물수, 文은 글월문, 章은 글장장, 不은 아니불, 染은 물들일염, 塵은 티끌진이에요.

 

 

낯선 글자를 좀 자세히 알아 볼까요?

 

는 隹(새 추)와 牙(어금니 아)의 합자예요. 본래 까마귀의 한 종류인 갈가마귀를 의미하는 글자였어요. 지금 갈가마귀는 鴉(갈가마귀 아)로 표기해요. '우아하다'란 의미는 본뜻에서 연역된 거예요. 갈마귀의 자태와 나는 모습이 우아하다란 의미로요. 우아할 아. 雅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優雅(우아), 雅趣(아취)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본래 곰을 그린 거였어요. 지금 곰은 熊(곰웅)으로 표기하죠. '능하다'란 의미는 본뜻에서 연역된 거예요. 곰이 힘이 세고 상대를 잘 대적한다란 의미로요. 能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能力(능력), 能率(능율)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宀(집면)과 谷(골짜기곡)의 합자예요. 집이 가족을 품고, 골짜기가 물을 받아 들이듯, 수용한다는 의미예요. 수용할 용. 容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容納(용납), 受容(수용)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牛(소우)와 勿(말물)의 합자예요. 만물이란 의미예요. 만물 중에서 일상적으로 대하며 가장 덩치가 큰 것이 '소'라 牛(소우)로 뜻 부분을 나타냈어요. 만물 물. 勿은 음만 담당해요. 物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萬物(만물), 物體(물체)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木(나무목)과 氵(물수)와 九(아홉구)의 합자예요. 치자나무의 액으로 포목을 아홉 번 물들였다는 의미예요. 물들일 염. 染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染色(염색), 染料(염료)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鹿(사슴록)과 土(흙토)의 합자예요. 사슴들이 달려가면서 일으킨 흙먼지라는 의미예요. 티끌 진. 塵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塵埃(진애. 티끌), 吸塵(흡진, 먼지를 빨아 들임)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를 풀어 볼까요?

 

 

1. 다음의 한자를 허벅지에 열심히 연습하시오.

 

    우아할아   능할능   수용할용  만물물   물들일염   티끌진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    )體   (    )色   (    )力   優(    )   吸(    )   受(    )  

 

3. 다음 시를 읽고 느낌을 말해 보시오.

 

    만 리 길 나서는 길

    처자를 내맡기며

    맘 놓고 갈 만한 사람

    그 사람을 그대는 가졌는가.

 

    온 세상 다 나를 버려

    마음이 외로울 때에도

    ‘저 마음이야하고 믿어지는

    그 사람을 그대는 가졌는가.

 

    탔던 배 꺼지는 시간

    구명대 서로 양보하며

    ‘너만은 제발 살아다오

    그 사람을 그대는 가졌는가.

 

    불의의 사형장에서

    ‘다 죽여도 너희 세상 빛 위해

    저만은 살려 두거라일러 줄

    그 사람을 그대는 가졌는가.

 

    잊지 못할 이 세상 놓고 떠나려 할 때

    ‘저 하나 있으니하며

    빙긋이 웃고 눈을 감을

    그 사람을 그대는 가졌는가.

 

    온 세상의 찬성보다도

    ‘아니하고 가만히 머리 흔들 그 한 얼굴 생각에

    알뜰한 유혹을 물리치게 되는

    그 사람을 그대는 가졌는가.

                             

    (함석헌, '그 사람을 가졌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님은 그토록 애지중지 아끼시던 땅을 차리 마을회관 건립의 터로 희사하셨으니, 한평의 땅 문제로 송사가 그치지 않는 요즘 세태 속에서 만인의 귀감이 되는 사례라 아니할 수 없습니다.』

 

우와 예란 나라에서 경계 소송이 일어나 해결책을 찾으러 문왕을 찾아 갔어요. 그런데 문왕의 영지에 들어선 순간 그들은 자신들의 송사 문제가 얼마나 저급한 일인가를 깨닫게 됐어요. 문왕 영지의 사람들은 서로 경계를 양보하고, 걸어갈 때 상대에게 먼저 길을 내주며, 노인이 짐을 지고 다니는 것을 보지 못했기 때문이에요. 두 나라 사람은 법의 공정한 집행보다 법적 문제 자체를 야기시키지 않는 상황이 더 중요하다는 것을 깨우친 것이지요. 달리 말하면 정치란 이욕의 원만한 분배 조정보다 사회 정의를 앞세워야 한다는 가르침을 보고 배운 것이지요. 두 나라 사람은 문왕을 만나지 않고 되돌아 갔어요.


살다보면 利(이)의 충족 보다 義(의)에 따른 희생이 사람들의 마음을 더 훈훈하게 한다는 것을 느낄 때가 있어요. 위 비석에 나와있는 주인공도 그런 일을 하셨기에 사람들의 칭송을 받는 것 같아요.

 

한자로 된 부분을 읽어 볼까요? 韓은 나라한, 仁은 어질인, 敎는 가르칠교, 頌은 기릴송, 德은 덕덕, 碑는 비석비, '한인교 송덕비'라고 읽어요. 무료로 땅을 희사한 한인교라는 분의 덕을 기리는 비석이에요. 혹자는 "별 쓸모없는 땅이니까 기증했겠지!"라는 얄팍한 생각을 할 수도 있겠지만, 설사 그렇다 하더라도, 비석에 나와있는 말처럼 "요즘 세태"에서는 쉽지 않은 일이죠.

 

敎 · 頌 · 德 · 碑가 좀 낯설어 보이죠? 자세히 살펴 보도록 할까요?

 

는 爻(본받을 효)와 攵(칠 복)의 합자예요. 윗사람이 지도해주는[攵] 것을 아랫 사람이 본받는다[爻]는 의미예요. 가르칠 교. 敎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敎育(교육), 敎導(교도)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公(공 공)과 頁(머리 혈)의 합자예요. 공개된[公] 용모[頁]란 의미예요. 용모는 얼굴이 대표기에 頁로 뜻을 삼았지요. 公은 음도 담당해요(공-->송). 지금은 '기리다'란 뜻으로 사용해요. '기리다'란 뜻은 본의미에서 연역된 거예요. 용모가 훌륭해 칭찬할 만 하다는 의미로요. 기릴 송. 頌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讚頌(찬송), 稱頌(칭송)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彳(걸을 척)과 直(곧을 직)의 약자와 心(마음심)의 합자예요. 정직한 마음이 표출된 행위라는 의미예요. 덕 덕. 德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道德(도덕), 德行(덕행) 등을 예로 들 수 있겠네요. 德은 悳으로도 표기해요.


는 石(돌 석)과 卑(낮을 비)의 합자예요. 일의 편의를 위해 설치한 키작은 돌이란 의미예요. 시간을 알아보기 위해 혹은 희생용 동물을 묶어놓기 위해 또는 하관할 장소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하던 돌을 가리켜요. 후에 공적을 기리는 내용을 담은 키큰 돌의 의미로 바뀌었죠. 비석 비. 碑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碑石(비석), 碑銘(비명)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를 풀어 볼까요?


1. 다음의 한자를 허벅지에 열심히 연습하시오.


    가르칠 교   기릴 송   덕 덕   비석비 


2. (    )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    )   (    )導   (    )銘   (    )


3. '한인교 송덕비'를 한자로 써 보시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백마강에 고요한 달밤아/ 고란사에 종소리가 들리어오면/ 구곡간장 찢어지는 백제꿈이 그립구나/아아아아 달빛 어린 낙화암의 그늘 속에서/ 불러보자 삼천궁녀를~"

 

* 구곡간장(九曲肝腸) : 굽이굽이 서린 창자라는 뜻으로, 깊고 깊은 마음속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백제는 삼국 중에서 유독 더 애상적인 느낌을 전하는 나라예요. 대중가요에도 그런 정서가 여실히 묻어나죠. 그런데 백제를 그런 느낌으로만 바라보는건 다소 아쉬운 느낌이 들어요. 흥망성쇠야 어느 나라나 있게 마련인데 최후의 비극적 색채만을 가지고 전체의 색채인양 여기는 것은 불공정한 것 아닌가 싶은거죠.

 

백제는 한 · 중 · 일을 잇는 허브 무역지로 성장한 해상 강국이었어요. 이러 면모는 "백제"라는 이름에도 나타나죠. 百濟(백제)라는 이름 이전에 백제는 伯濟(백제) 혹은 十濟(십제)로도 불렸는데, 이 세 이름에서 공통적으로 변하지 않은 한자는 濟(제)에요. 濟는, 잘 알려진 것처럼, "건너다" 혹은 "나루터"라는 의미지요. 이 나라가 해양 국가 임을 드러내고 있는 것이죠. 그리고 伯, 十, 百 등에는 "으뜸, 많다, 최고" 의 의미가 함의 되어 있어요. 따라서 "百濟"란 나라 이름은 말 그대로 "해상 강국"이란 의미가 되는 거죠. 비록 비극적으로 막을 내린 나라이긴 하지만, 애상적 느낌으로만 대할 나라는 결코 아니란 것을 알 수 있죠.

 

사진은 "백제원"이라고 읽어요. 고창에서 찍은 음식점 간판이에요. 百은 일백백, 濟는 건널제, 園은 동산원이라고 읽어요. 園은 흔히 음식점 이름에 붙는 가든을 한자로 번역한 것 같아요. 간판이 형편없이 낡았어요. "백제"라는 이름이 없으면 그나마 괜찮을텐데 "백제"라는 이름이 들어간 낡은 간판을 대하니 왠지 왜곡된 백제 인식이 간판에 드러난 것만 같아 좀 아쉽더군요.

 

한자를 좀 자세히 알아 볼까요?

 

은 一(한일)과 白(흰백)의 합자예요. 一은 여기서 하나라는 뜻보다 일정한 한계라는 의미로 사용됐고, 白 역시 하얗다는 뜻보다 명백하다란 의미로 사용됐어요. 종합하여 명백하게 한계를 짓는 수(數)란 의미예요. 돈을 셀 때 100을 중심적인 액수로 정한데서 이런 의미를 갖게 됐어요. 百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百萬(백만), 百姓(백성) 등을 들 수 있을까요?

 

는 氵(물수)와 齊(가지런할제)의 합자예요. 하북성 찬황현에서 발원하여 민수(泯水)로 들어가는 물이름이에요. '건너다, 나루터'란 의미는 본 뜻에서 연역된 거에요. 濟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救濟(구제), 經世濟民(경세제민, 세상을 다스리고 백성을 구제함)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口(에워쌀위)와 袁(옷길원)의 합자예요. 긴 옷처럼 넓게 과일 나무들이 심어져 있고 주변과 경계를 짓는 울타리가 쳐있는 장소란 뜻이에요. 과수원이란 의미지요. 동산이란 의미는 본뜻에서 연역된 거에요. 일종의 작은 과수원이란 의미로요. 園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庭園(정원), 園丁(원정, 정원사)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를 풀어 보실까요?

 

1. 다음의 한자를 허벅지에 열심히 연습하시오.

 

    일백백   건널제   동산원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   )姓   庭(   )   經世(   )民

 

3. 다음을 한자로 쓰고 뜻을 말해 보시오.

  

   구곡간장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가요, ○○○가요!"

 

어릴 적, 비가 올 듯한 어둑어둑한 날씨면 이웃 집 아주머니는 항상 "○○○가요, ○○○가요!"하며 중얼거렸어요. 그러면 어머니는 "비가 올라는가 보구나!" 하셨죠. 예전엔 동네에 실성한 사람이 있어도 대수롭지 않게 여겼던 것 같아요. 저는 이웃 집 아주머니를 "실성했다"고 생각해 본 적이 없어요. 그저 그런가보다 생각했죠. 지금은 실성한 사람을 전염병균처럼 여기지만 예전에는 불쌍한 사람으로 품어주었던 것 같아요.

 

이웃 집 아주머니는 날이 궂은 날을 빼고는 평소에는 멀쩡하셨어요. 살림도 잘하셨고 -- 주변에서 칭찬할 정도로 -- 무엇보다 요리를 잘하셨죠. 뭔가 색다른 것을 하면 담 너머로 저를 부르며 아버지께 드리라고 했어요. 아주머니가 잘하시는 요리 중의 하나가 부침개였어요.

 

사진의 한자는 "전선생"이라고 읽어요(밑에 친절하게 음을 달아 놓았군요).  煎은 지질(달일)전, 先은 먼저선, 生은 날생이에요. 전(부침개)에 관한한 누구못지 않은 실력을 갖췄다는 의미로 '선생'이란 호칭을 사용한 것 같아요. 허락을 받고 사진을 찍으려 가게 가까이 갔더니 아직 개점을 안하고 내부공사중 이더군요. 개점 후에 한 번 들려봐야 겠어요. 옛날 이웃 집 아주머니 솜씨와 비교해 맛이 어떨런지 궁금하네요.

 

煎이란 한자가 좀 낯설어 보이는 군요. 자세히 알아 볼까요?

 

은 灬(火의 변형, 불화)와 前(앞전)의 합자예요. 불 가까이[前] 대고 볶는다는 의미예요. 지진(달이)다는 의미는 본뜻에서 연역된 것이지요. 煎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煎茶(전다, 차를 달임), 煎油(전유, 지짐질하는 기름)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를 풀어 보실까요?

 

1. 다음의 한자를 허벅지에 열심히 연습하시오.

 

   지질(달일)전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쓰시오.

 

   (   )

 

3. 맞으면 ○, 틀리면 × 하시오.

 

   가. 호박전은 신라시대부터 있었다. (    )

   나. 김치전은 고려시대 유행했다.    (    )

   다. 감자전은 임란이후 유행했다.    (    )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cyrus 2016-02-16 18: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나 문항은 X 같습니다. 고려시대에 김치가 나올 수 없습니다. 고추가 임진왜란 이후에 들여온 걸로 알고 있습니다.

찔레꽃 2016-02-17 09: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짝짝짝, 맞으셨어요! ^ ^ 호박, 김치, 감자는 임란이후 전래된 식품이라고 해요.
 

 

 

광천에 있는 오서산(烏棲山)에 올랐다가 찍은 사진이에요. 전망대 설명이 너무 장황해서 아래와 같이 고쳐 보았어요.

 

 오서산은 해발 791m, 평지돌출형 산으로 금북정맥의 최고봉이며 위용과 기상이 빼어난 호서 제일의 영산이다. <삼국사기>를 비롯 중국의 지리서에도 소개된 산이며 백제 부흥군의 정신적 구심점이 된 곳이기도 하다. 오서(烏棲)란 이름은 태양신의 전령사인 까마귀[삼족오(三足烏)]가 사는 신령스런 산이란 의미로 우리 민족의 태양 숭배 사상과 관련된 이름이다. 본래 이 곳엔 정자가 있었으나 태풍 곤파스(2010)로 부서진 뒤 전망대로 조성되었다. 서해안 일대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멋진 전망대이다.

 

아무리 좋은 내용이라도 읽히지 않으면 무용지물이죠. 전망대 설명판의 내용은 더없이 좋은데, 너무 장황해서 읽는 이들이 외면할 것 같더군요. 관광지에 가면 이따금 2% 아쉬운 안내판들을 보게 되요. 담당자들이 이런 곳에도 관심을 둬야 진정한 관광지가 될 것 같아요.

 

烏棲山의 烏는 까마귀오, 棲는 깃들일서, 山은 뫼산이에요. 棲가 좀 낯설어 보이는군요. 자세히 살펴 볼까요?

 

는 木(나무목)과 妻(아내처)의 합자예요. 아내가 남편 집에서 편안하게 살 듯 새들이 나무 위에서 편안하게 살기 위해 만든 집이란 의미예요. 새집이란 의미죠. 깃들이다란 의미란 "편안하게 살다"란 본 뜻에서 나온 거에요. 棲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棲息(서식), 巖棲(암서, 속세를 떠나 산 속에서 사는 것)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를 풀어 보실까요?

 

1. 다음의 한자를 허벅지에 열심히 연습하시오.

 

   깃들일서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    )

 

3. 다음을 손바닥에 한자로 써 보시오.

 

   오서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