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디서 많이 본 글씨 아닌가요? 원래의 형태로 보실까요?

 

 

네, 안중근 의사의 글씨로 널리 알려진 바로 그 내용이에요. 일일부독서구중생형극(一日不讀書

  口中生荊棘)이라고 읽지요. '하루라도 글을 읽지 않으면 입 속에서 가시가 돋는다'라는 뜻이지    

요. 한 글자씩 읽어 보실까요? 한일, 날일, 아니불(부), 읽을독, 글(책)서, 입구, 가운데중, 날생,  

 가시형, 가시(나무)극. 지금은 글을 읽는다고 할 때 '눈으로 읽는 것'을 떠올리지만, 과거에 글을

   읽는 것은 '소리내어 읽는 것'을 말했지요. 하여 하루라도 글을 읽지 않으면 입에 가시가 돋는다   

        고 한 것이에요. 지금 같으면 눈에 가시가 돋는다고 해야 와닿을 것 같네요. ^ ^                                 

 

 정확하진 않습니다만, 제가 듣기론, 안의사께서는 사형 당일까지도 책을 읽으셨다고 하더군요.  

  만일 그것이 사실이라면 안의사의 이 유묵(遺墨)은 그분의 지행일치를 보여주는 가슴 서늘한 작  

품이에요. 한갖 붓을 희롱한 작품이 아닌 것이지요.                                                                

 

음, 최근에 새삼스럽게 발견한 것인데 눈으로만 읽는 것하고 소리내어 읽는 것 하고는 확실히 차

이가 읽는 것 같아요. 특히 시(詩)가 그런 것 같아요. 좀 저질 비유인데, 시는 읽으면 읽은만큼 옷

   을 벗는 것 같아요. 시의 속살을 보려면 많이 읽는게 좋겠다는 걸 확실히 알겠더군요. 좀 빗나간    

 얘기지만, 시(집)가(이) 안팔리는 이유를 알겠어요. 요즘처럼 바쁜 시대에 누가 시를 반복하여 읽

 겠어요. ㅠㅠ 저같은 한량(?)이나 반복하여 읽죠. 그렇다고 시의 속살을 다 드러내어 표현하면 그

건 시가 아니니, 이래저래, 요즘 시대에 시는 외면당할 수 밖에 없는 운명인 듯 싶어요. ㅠㅠ       

 

한자를 좀 자세히 알아 보실까요? 讀, 書, 荊, 棘만 알아 보도록 하죠. 나머지는 잘 아시죠? ^ ^    

 

은 言(말씀언)과 賣(儥의 줄임 글자, 팔육)의 합자에요. 물건을 팔 때 손님을 소리쳐 부르며 

파는 것 처럼 계속 소리를 내어 글을 읽는다는 의미에요. 讀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朗

讀(낭독), 讀破(독파)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聿(붓율)과 曰(諸의 줄임 글자, 모두제)의 합자에요. 만사(萬事, 여러가지 일)를 죽백(竹 

帛, 대나무나 비단)에 붓으로 써 놓은 것[글]이란 의미에요. 書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 經書(경서), 書籍(서적)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艹(풀초)와 刑(형벌형)의 합자에요. 형벌을 받을 때 고통스러운 것처럼 사람에게 고통을

  가하는 풀이란 의미에요. 그게 바로 '가시'지요. ^ ^  荊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荊蠻(형 

만, 중국 남방의 오랑캐), 荊布(형포, 가난한 사람이 입는 옷)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일상의 쉬운 

예는 들만한 게 없어요. ^ ^                                                                                                   

은 나무에 가시가 빽빽히 난 모양을 그린 거에요. 冂冂은 가시, 木木은 나무를 그린 것이지  

 요. 棘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棘人(극인, 친상중에 있는 사람의 자칭), 棘針(극침, 살을

에는 듯한 바람의 형용)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일상적인 쉬운 예는 찾기가 어려워요.                 

 

정리 문제를 풀어 보실까요?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읽을독, 글(책)서, 가시형, 가시(나무)극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  ), (  )籍, (  )布, (  )針                      

 

3. 독서에 관한 격언 하나를 소개해 보시오.                                                                           

                                                                                                                                                                                                                                                      

날씨가 많이 흐리군요. 이런 날 따뜻한 차 한잔과 마음을 따뜻하게 하는 책 한 권이 있으면 더없

이 행복하겠죠? ^ ^  내일 뵈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벌써 이 해도 달력 한 장을 남겨 놓고 있군요. 연초에 계획하셨던 일들은 잘 마무리 하고 계신지요? 못하고 계시다구요? 저런, 제가 도와 드릴 수는 없고 … 다만 잘 마무리하시라고 축원은 해드릴게요. 만사형통하소서! ^ ^

 

 사진은 어느 칼국수 집에 갔다가 찍은 거에요. 숟가락통 뚜껑에 씌여있는 글씨에요. 亨은 형통할형, 通은 통할통, 형통이라고 읽어요. 말 그대로 '잘 통한다'란 의미지요. 음식점에서 '형통'은 무엇일까요? 손님이 많이 오는 거겠죠. 통 뚜껑이 온통 상처 투성이인 걸 보면 이 음식점은 '형통'한 것 같아요. ^ ^ 손님이 많아 자주 사용하다보니 생긴 상처일테니까요. 영광의 상처랄까요?

 

 우리는 보통 '형통'이라고 하면 아무런 장애없이 모든 일이 순조롭게 풀리는 것을 떠올리는데, 그건 이상(理想)으로나 가능하지 현실로는 불가능한 거에요. 타인(물)과 교통(交通)하는데 어찌 순조롭게 일이 풀리겠어요. 타인(물)과의 교통에 장애가 따르는 것은 당연한 거에요. 왜냐구요? 본인도 본인 자신을 모르는 경우가 허다한데 하물며 타인(물)을 어떻게 알아 잘 통할 수 있겠냔 말이지요. 타인과의 교통은 고통스러울 수밖에 없는 거에요. 이런 점에서 '형통'이란 상처위에 피는 꽃이라고 할 수 있어요. 상처를 입으면서도 상대를 이해하려 노력한 산물이 '형통'이니까요. 사진의 숟가락통이 그것을 온몸으로 보여주고 있잖아요? ^ ^

 

한자를 좀 자세히 알아 볼까요?

 

은 高(높을고)의 줄임 형태와 豆(제기두)의 줄임 형태가 결합된 글자에요. 제기에 음식을 가득 담아[高] 신에게 드린다는 의미에요. 형통하다란 의미는 여기서 연역된 거에요. 신에게 풍성한 음식을 드린 일로 신의 축복을 받아 일이 잘 풀린다는 의미로요. 亨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亨途(형도, 평탄한 길), 吉亨(길형, 길하여 사물이 잘 형통함)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일반적인 쉬운 예는 찾기가 힘들어요.

은 辶(걸을착)과 甬(湧의 약자, 샘솟을용)의 합자에요. 막힘없이 솟아나오는 샘처럼 아무런 제약을 받지 않고 다닌다[辶]는 뜻이에요. 通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疏通(소통), 通路(통로)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를 풀어 보실까요?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쓰시오: 형통할형, 통할통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쓰시오: 疏(  ), 吉(  )

 

3. 한 해를 마무리하면서 가장 신경 써야 할 일이 무엇인지 말해 보시오.

 

 

거듭, 남은 한 해 계획하셨던 일들이 잘 매듭지어 지기를 기원드려요. 상처에 좌절하지 마시구요. ^ ^  내일 뵈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남당(南塘) : 인성(人性)과 물성(物性)은 다르다고 봅니다.                                           

외암(巍巖) : 그 근거는 무엇입니까?                                                                           

남당 : 성(性)은 이(理)가 기(氣)안에 들어와 있는 것으로 기의 품수(稟受)에 따라 인(人)

과 물(物)이 달라지듯, 성도 다를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외암은 어떻게 생각하시는

지요?                                                                                                                      

외암: 저는 인성과 물성이 같다고 봅니다. 남당도 말씀하셨다시피 성은 이가 기안에 들어

와 있는 것입니다. 비록 기의 품수에 따라 인과 물이 다르다고는 하나, 본원적인 이는 차 

이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인성과 물성은 같다고 봅니다.                                    

 

18세기 조선 유학은 인물성동이론이란 주제를 놓고 치열한 논전을 벌였지요. 그 논쟁을 

촉발시킨 두 인물은 남당(南塘) 한원진(韓元震)과 외암(巍巖) 이간(李柬)이에요. 둘 다  

한 스승 -- 권상하(權尙夏) -- 밑에서 배웠지만 견해가 달랐지요. 인물성동이란 주제를 

 놓고 근 10년에 걸쳐 서신을 통해 논전을 펼쳤지요. 이들의 논전을 호락(湖洛)논쟁이라  

고도 하는데, 남당을 지지하는 이들이 주로 호서지방(충청도)에 거주했고 외암을 지지  

   하는 이들이 주로 낙하지방(서울근교)에 거주했기 때문이에요.                                      

                                

오늘 우연히 남당 한원진 선생의 사당을 들리게 되었어요. 서산에서 광천으로 가는 길

에  남당 선생의 사당인'양곡사(暘谷祠)'를 안내하는 간판이 있길래 들려 보았지요. 한

시대를 풍미한 논전의 주인공을 모신 사당치고는 너무 고즈넉하여 쓸쓸하기조차 하더 

군요.                                                                                                                   

 

 

서원이나 향교 혹은 이런 사당을 들를 때마다 드는 생각인데, 보존에만 신경쓸 것이 아니

 라 재활용에 더 신경을 써야 하지 않을까 싶어요. 대학이나 유관 기관과 연계하여 뭔가 학

                 술적으로 의미있게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았으면 하는 마음이에요.                                            

 

暘谷祠의 暘은 해돋이양, 谷은 골짜기곡, 祠는 사당사에요. 暘谷은 동네 이름인데 '양지 

  바른 곳' 혹은 '해돋는 곳'이란 의미에요. 치열한 논전의 주인공을 모신 사당치고는 그 이 

            름너무 평범한 것 같아요. ^ ^                                                                                             

 

한자를  좀 자세히 알아 볼까요?                                                                              

 

은 日(해일)과 昜(陽의 옛글자. 볕양)의 합자에요. 구름이 걷히고 해가 나와 밝게 비

  춘다란 의미에요. 暘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일상적인 예로는 들만한게 없고, 드

문 예로 暘烏(양오)를 들 수 있겠네요. 暘烏는 태양의 이칭(異稱)이에요.                       

은 골짜기를 표현한 것이에요. 八과 八은 골짜기를 그린 것이고 口는 골짜기로 들어

 가는 입구를 표현한 것이에요. 谷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谿谷(계곡), 峽谷(협곡

)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示(祀의 약자, 제사사)와 司(詞의 약자, 말씀사)의 약자에요. 제물은 별로 마련하

지 못하고 축원의 말은 길게 하는 봄철의 제사란 의미에요(봄철은 번식과 파종의 시기이

 기 때문에 제물을 마련하기 어렵죠). 사당이란 의미는 본 뜻에서 연역된 거에요. 제사를  

 드리는 장소란 의미로요. 祠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祠堂(사당), 祠宇(사우) 등 

  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를 풀어 보실까요?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해돋이양, 골짜기곡, 사당사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谿(    ), (    )烏, (    )堂            

 

3. 인물성동이에 대한 본인의 생각을 말해 보시오.                                                      

 

 

인물성동이 논쟁은 얼핏보면 비현실적인 추상적 논쟁같지만 잘 보면 인간과 인간을 둘

러싼 대상에 대한 인식과 가치에 대한 논쟁이기에 단순히 공리공담으로 치부하기 어려

운 점이 있어요. 모든 사상이 그렇듯이 이 인물성동이 논쟁도 18세기의 시대 상황과 밀

접한 관련이 있을 거에요. 18세기는 병자호란 이후 청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 싹트던 시

 기였죠. 오랑캐[후진문화]로 치부한 청의 막강한 현실적 힘에 대해 새로운 인식이 필요

  한 시기였던 거죠. 인물성동이 논쟁을 이런 선상에서 보면 결코 비현실적 추상논쟁으로

보이지 않을 거에요. 더 이상 상세한 얘기는 그만… ^ ^                                              

 

내일 뵈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 과자 좋아 하시나요? ^ ^ 저는 그리 썩… 아내가 사왔길래 하나 먹어 봤는데, 역시나… 어렸을 때 소풍갈적에 이따금 사갔던 기억이 나네요. 자, 이 과자의 이름은? 네, 연양갱(鍊羊羹)이에요. ^ ^ 鍊은 이길련('이기다'란 의미는 물을 붓고 반죽하여 만든다란 의미에요), 羊은 양양, 羹은 국갱이에요. 직역하면 '이긴 양고기 국'이란 뜻이죠. 이긴 양고기 국이라니, 우리가 먹는 그 과자와는 너무 거리가 먼 이름아녜요?

 

네, 그래요. 우리가 먹는 그 과자와는 너무나 거리가 먼 이름이죠! 그러면 어째서 이런 이름을 갖게 되었을까요?

 

양갱의 원조는 羊肝餠(양간병)으로 양의 간을 닮은 떡이었어요. 양간병은 중국에서 만들어 먹던 떡으로, 주 재료는 팥과 설탕이었죠. 그런데 이 떡이 禪(선)과 함께 일본에 전해지는 과정에서 '肝'과 '羹'의 음이 일본어로는 모두 kan으로 같은 바람에 혼동되어 '羊肝'이 '羊羹'이란 문자로 와전되어 쓰이게 된 것이에요. 그리고 일본에서 와전된 말이 일제 강점기 때 우리 나라에 들어온 것이고요. 그리고 이 양갱이 처음에는, 중국에서 처럼, 떡의 형태로 찐 것이었는데 후일 한천(우무)을 추가하여 반죽 형태로 만들어져 '鍊'이란 말이 덧붙게 된 것이에요(이상 http://cafe.daum.net/culturevi 참조).                                  

 

 

 

연양갱이 출시된 것이 70년이라고 하니, 굉장히 오래된 과자에요. 일제 강점기때 까지 합치면 근 100년이되었다고 할 수 있겠네요. 입맛이라는게 참 무서운 것이에요. 한 번 길들여지면 좀처럼 바뀌지 않으니 말이지요. 이 과자도 어찌 보면 일제가 남기고 간 잔재라고 할 수 있을텐데, 이토록 오래가는 것을 보면, 식민지의 잔재를 청산한다는 것이 지난(至難)한 일이라는 것을 새삼 느끼게 되요. 너무 비약이 심한가요? ^ ^

 

한자를 좀 자세히 알아 볼까요?

 

은 金(쇠금)과 柬(가릴간)의 합자에요. 철광석을 녹여 불순물을 가려내고 정제된 쇠를 얻는다는 의미에요. 보통 '(쇠)불릴련'으로 읽죠. '이길련'은 여기서 연역된 것이에요. 鍊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鍛鍊(단련), 製鍊(제련)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양을 그린 거에요. 위의 두 점과 한 선은 양의 뿔과 머리를, 밑의 두 선은 양의 네 다리를, 가운데의 직선은 양의 몸통과 꼬리를 표현한 것이에요. 羊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羊毛(양모), 羊肉(양육)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羔(새끼양고)와 美(아름다울미)의 합자에요. 맛있는 새끼양 고기로 훌륭하게 맛을 낸 음식[국]이란 의미에요. 羹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菜羹(채갱, 나물국), 羹飪(갱임, 떡국)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를 풀어 보실까요?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이길련, 양양, 국갱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   )羹, (   )毛, 鍛(   )

 

3. 일제가 남기고 간 음식 문화를 3가지 이상 조사해 보고 이것에 대한 본인의 소감을 써 보시오.

 

날씨가 많이 추워졌습니다. 감기 조심하세요. ^ ^  내일 뵈요~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cyrus 2015-11-28 09: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한때 연양갱을 `영양갱`으로 착각한 적 있었어요. 예전에 땅콩조각이 들어있는 연양갱도 팔았는데 오리지널이 인기가 많아서 그런지 땅콩 연양갱 보기가 힘들어졌어요.

찔레꽃 2015-11-28 12: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그렇게 착각했었습니다. ^ ^ 땅콩 연양갱이라... 음, 저는 처음 들어 봅니다. ^ ^ 그런게 있었군요. 인터넷을 찾아보니 요즘에는 `젊은 취향 + 건강`으로 검은깨 연양갱이 출시 됐다는군요. 에이, 뭔 연양갱이든 제게는 다 별롭니다. ^ ^
 

가치는 상대적일까요? 절대적일까요?

 

최근 IS테러로 전세계가 충격에 휩싸여 있죠. 우리나라도 예외가 아니죠. 대통령이 집회

참가자들을 'IS테러집단'처럼 매도할 정도 잖아요? (그래도 옥석은 구분해야 할텐데, 너

무 호들갑을 떠는 것 아닌가 싶어요.)                                                                

 

그런데 테러는 왜 일어 날까요? 여러 각도에서 분석할 수 있겠지만 자신이 믿는 가치에 

절대적 확신을 갖고 있는 것도 한 요인이지 않을까 싶어요. 이는 테러에 대해 보복하는 

 쪽도 마찬가지겠지요. 만일 상대의 가치를 인정하고 용인할 수 있다면 테러나 보복이 일

일어나지 않을 거에요. 그렇지 않을까요?                                                          

 

위 사진은 '시절가귀(時節可貴)'라고 읽어요. '귀한 시절', 혹은 '시절이 귀하다'란 의미

에요. 여기서 질문. 시절이 왜 귀할까요? 여러 이유를 댈 수 있겠지만 가장 근본적인 이

유는 생명의 유한성 때문이 아닐까요? 만일 생명이 무한하다면 시절을 귀히 여길 필요 

가 없을 거에요. 지금 못하면 다음에 또 하면 되니까요. 그러나 생명은 유한하기 때문에

시절, 달리 말하면, 시간을 귀하게 여길 수 밖에 없는 것이죠. 이렇게 보면 시간의 귀함 

      이란 가치는 절대적인 것이 아니라 상대적인 가치라고 할 수 있을 거에요.                       

 

첫 질문으로 다시 돌아 가보죠. 가치는 상대적일까요? 절대적일까요?                      

 

한자를 하나씩 읽어 보실까요? 時는 때시, 節은 마디절, 可는 가할가, 貴는 귀할귀에요.

 

한자를 좀 자세히 알아 볼까요?      

                                                                

는 日(날일)과 寺(관아사, 보통 '절사'로 많이 사용하죠)의 합자에요. 관아에서의   

 일이 분명하게 처리되듯 날[日]이 축적되어 분명하게 드러나는 계절의 변화란 의미에요.

춘하추동 사시를 가리키는 의미지요. 時가 들어간 예는 무엇일까요? 時間(시간), 時效( 

시효)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竹(대죽)과 卽(가까이할즉)의 합자에요. 대나무 줄기의 중간 중간에 생긴 마디  

란 의미에요. 마디는 윗 줄기와 아랫 줄기가 서로 가까이 만난 곳에 형성되죠. 하여 竹

과 卽을 합쳐 '마디'란 뜻을 표현했어요. 節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節氣(절 

기), 節制(절제)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口(입구)와 丁의 합자에요. 丁은 기운이 평탄하게 배출되는 모양을 나타낸 거에

요. 입에서 기운이 평탄하게 배출되는 것은 긍정적으로 말할 때겠지요. 하여 可는 '긍

정'이란 의미를 나타내요. 이 글자의 일반적인 뜻인 '가하다' '옳다'는 다 긍정의 의미

지요. 可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可否(가부), 不可(불가) 등을 들 수 있겠네 

요.                                                                                                       

는 臾(의 옛글자, 삼태기궤)와 貝(조개패)의 합자에요. 貝에는 화폐, 재물의 의 

미가 내포되어 있어요. 삼태기에 재물(화폐)를 담아 내놓아야 할 정도로 값나가는 것 

이란 의미에요. 貴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高貴(고귀), 貴賤(귀천)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를 풀어 보실까요?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때시, 마디절, 가할가, 귀할귀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  )否, (  )賤, (  )氣, (  )間

 

3. 시간의 소중함을 절실히 느꼈던 경험을 한 가지 말해 보시오.

 

 

아, 그러고 보니 위 사진을 어디서 찍었는지 말씀 안드렸군요. 위 사진은 어떤 서각

 작가의 전시회 주제인데, 차를 몰고가다 광고 현수막을 보고 찍었어요. 개눈에는 뭐

만 보인다고, 요즘 제 눈에는 한자만 보인답니다. ^ ^                                     

 

오늘은 여기까지. 내일 뵈요~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