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톱으로 툭 튀면 쨍하고 금이 갈듯

새파랗게 고인 물이 만지면 출렁일듯

저렇게 청정무구를 드리우고 있건만

- <벽공>, 이희승

 

맑은 가을 하늘 사진을 하나 찍었네요. 소나무와 어울리니 맑은 하

늘 빛이 더 선명한 것 같죠? 하늘을 우러러보다 문득 고등학교 때 

배웠던 시가 떠올라 읊조렸어요. 배울 당시는 별 감흥이 없었던 것

같은데 지금은 가슴에 와닿는군요. 이만큼 평이하면서도 간결하게

가을 하늘을 읊은 시도 드물지 않을까 싶어요.^ ^                      

 

위 시에 나온 낯선(?) 단어 두 개를 한자로 알아 볼까요? 한자를   

알고 나면 시에 대한 이해가 좀 더 명확해지지 않을까 싶어서요.   

     청정무구는 淸淨無垢라고 쓰고, 벽공은 碧空이라고 써요. 淸은 맑      

 을청, 淨은 깨끗할정, 無는 없을무, 垢는 때구, 碧은 푸를벽, 空은   

   빌(하늘)공이라고 읽어요. 淸淨無垢는 '맑고 깨끗하여 때가 없다'    

란 의미이고, 碧空은 '푸른 하늘'이란 뜻이에요.                       

 

어떠신가요? 한자의 뜻을 알고나니 이 시의 내용이 좀 더 명확해지

지 않으셨나요? ^ ^                                                           

          

한자들을 좀 자세히 알아 볼까요?                                         

                

은 氵(물수)와 靑(푸를청)의 합자에요. 구름이 없는 깨끗한 푸

른 하늘처럼 물이 맑고 깨끗하다란 의미에요. 淸이 들어간 예는 무

엇이 있을까요? 淸明(청명), 淸掃(청소)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氵(물수)와 爭(다툴쟁)의 합자에요. 물로 더러운 것을 깨끗

이 제거했다란 의미에요. 쟁은 음을 담당하면서(음가가 좀 변했죠.

-->정) 뜻도 일부분 담당해요. 깨끗해지려면 물과 더러운 때가  

다투게 된다란 의미로요. 淨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淨化

(정화), 自淨(자정) 등을 들 수 있겠네요.                                

 無는 본래 나무가 무성하다란 의미였어요. 林(수풀림)과 大(큰대)

와 卌(40을 표현한 것으로 '많다'란 의미)의 합자가 다듬어진 거  

에요. 지금은 본래의 뜻으로는 사용하지 않고 '없다'라는 의미로만

 사용하죠. '없다'라는 의미는 '셀 수 없을 정도로 많다(무성하다)'라

 의미에서 연역된 것으로 보여요. 無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

까요? 有無(유무), 無所有(무소유)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土(흙토)와 后(뒤후, 뒤후는 보통 '後'로 많이 표기하죠)의  

합자에요. 흙먼지 등이 바람에 날린 뒤 떨어져 켜켜이 쌓인 것[때]

이란 의미에요. 垢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垢衣(때묻은  

옷), 垢面(때묻은 얼굴)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玉(구슬옥)과 石(돌석)과 白(흰백)의 합자에요. 白은 음을  

담당하는데, 소리값이 좀 바뀌었죠(백-->벽). 푸른 빛깔이 도는,   

옥처럼 질좋은 돌이란 의미에요. 碧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 碧溪水(벽계수), 碧眼(벽안, 외국인의 눈을 가리키죠)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穴(구멍혈)과 工(장인공)의 합자에요. 솜씨좋게[工] 파낸  

'굴'이란 의미에요. 단순한 굴이 아니고 거주지로서의 '굴'을 의미 

해요. 구멍이란 의미는 굴이란 의미에서 연역된 것이지요. 하늘이

란 의미도 마찬가지에요. 空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空

    間(공간), 蒼空(창공)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를 풀어 보실까요?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쓰시오.                                      

                          

맑을청, 깨끗할정, 없을무, 때구, 푸를벽, 구멍공(하늘공)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쓰시오.                

 

    (   )面, (   )所有, (   )眼, (   )掃, (   )化, (   )間                

    

3. '가을 하늘'로 4행시를 지어 보시오.                                

 

                  

       어떤 명상 책을 보니, 돌멩이 하나를 주워 거기에 이름을 붙인 뒤        

     (예: 쉼, 보다, 느낌 등등) 일하거나 공부하는 책상 옆에 놓고 명상을 

     해보라고 하더군요. 이따금씩 그 돌을 보며 그 이름의 의미를 생각해

    보라는 것이지요. 해보니, 괜찮더군요. ^ ^ 마음이 다소 맑아지는 느

    낌? 님께도, 한 번 권해 드리고 싶어요. ^ ^                               

 

 내일 뵙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주말, 모처럼만에 비가 왔죠. 행사가 잡혀 있던 분들은 반갑지 않았겠지만 농사짓는 분들은 무척 반가웠

을 것 같아요. 저는? 반가웠어요! 텃밭에 배추를 몇 포기 심었거든요. ^ ^

 

비오는 것을 보며 안사람이 말했어요. "기우제 지낸 효험이 있나봐!" "그러게!"

지난 주 인근의 팔봉산을 갔다가 기우제 터에 대추 3개 밤 3개 놓고 절을 했거든요. ^ ^

 

위 사진은 방금 말씀드린 기우제 터에요. 해설판이 옆에 있어 찍었어요.

 

 

*호산록(湖山錄) : 서산 지역을 다룬 사찬(私撰: 개인이 편찬) 읍지. 

참고 : http://seosan.grandculture.net/Contents?local=seosan&dataType=01&contents_id=GC04100018

 

기우제를 지내던 날, 문득 인디언들의 기우제 이야기가 떠오르더군요. 인디언들의 기우제는 항상 효험이

있었대요. 왜냐구요? 비가 올 때까지 기우제를 지냈기 때문이죠! ^ ^ 뭔가 소망하는 것을 기원할 적에는

이런 정도의 정성이 필요한 것 같아요. 지성(至誠)이면 감천(感天) 아니겠어요? ^ ^

 

다음에 팔봉산을 찾을 때 또 한번 기우제를 지내볼 생각입니다. ^ ^

 

오늘은 '기우제'의 한자를 알아 보도록 하죠.

 

祈는 빌기, 雨는 비우, 祭는 제사제라고 읽어요. 하나씩 자세히 알아 볼까요?

 

 

는 示(神의 줄임자, 귀신신)과 斤(도끼근)의 합자에요. 斤은 음을 담당하는데 음가가 좀 변했죠(근 

-->기). 신에게 복을 빈다는 의미에요. 祈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祈禱(기도), 祈願(기원) 등 

을 들 수 있겠네요.

는 비가 오는 모양을 표현한 거에요. 一은 하늘, 巾은 구름, 점 4개는 빗방울을 표현한 거에요. 雨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雨傘(우산), 雨中(우중)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肉(고기육)과 又(手의 약자, 손수)와 示(神의 약자, 귀신신)의 합자에요. 손에 고기[음식물]를   

(을) 들고 신에게 드리는 행위를 표현한 것이에요. 이런 행위를 '제사'라고 하지요. 祭가 들어간 예는 무 

엇이 있을까요? 祭器(제기), 祭典(제전)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를 풀어 보실까요?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빌기, 비우, 제사제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   )禱, (   )中, (   )器

 

3. 기우제에 쓰일 제문을 하나 작성해 보시오.

 

 

이 번 가뭄은 예견된 것이고 앞으로 상당 기간 지속될 수 있다고 하더군요.

걱정입니다. ㅠㅠ  그나저나, 이럴 때 쓴다고 22조나 들인 사대강 물은 어떻게 되고 있는지,

영 꿩 궈먹은 소식이네요? 잘 쓰이고 있는데, 과문(寡聞)한 탓에 저만 모르고 있는 건가요?

 

내일 뵙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여보, 빨간 불!"

 서둘러 브레이크를 밟았다. 간신히 섰다. 한숨을 돌리... 꽝! 앞자리에 앉았던 아이가 앞으로 튕겼다. 뒷목이 뻐근했다. 문을 열고 나왔더니 상대편은 사색이 되있었다. 뒤를 보니 범버가 쑥 들어갔다. 바퀴와 범버가 거의 밀착 상태였다. 틈을 벌렸다. 운행할 만 했다. 약간의 수리비를 받고 보냈다. 처가집에 갔더니, '그게 뭐냐 ...'고 흥분들 했다.

 

 수년 후.

 

 "어어어..." 꽝!

 야간 도로. 시야가 안 좋았다. 무단횡단하는 할아버지를 뒤늦게 발견... 정신이 없었다. 문을 열고 나왔더니 할아버지가 일어 서신다. 괜찮다며 가란다. 안된다며, 병원으로 모셨다. 연락을 받고 온 사람들. 자녀들 보다 친척들이 더 흥분했다. 경찰에서 조사 받았고 별무없이 끝났다.

 

 사진은 시숙댁에 걸려있는 액자를 찍은 거에요. 적선지가 필유여경(積善之家 必有餘慶)이라고 읽어요. 선을 쌓은 집에는 반드시 남은 경사가 있다란 의미지요. <명심보감>에 나와요. 이와 짝을 이루는 글귀도 <명심보감>에 나오지요. 적불선지가 필유여앙(積不善之家 必有餘殃). 불선을 쌓은 집에는 반드시 남은 재앙이 있다. 당대에 쌓은 선과 불선의 여파는 그 자손들이 누리게 된다는 교훈이에요.

 

 이 액자를 대하니 과거 교통 사고 피해와 가해 경험이 떠올라 적어 봤어요. 두 사건이 아무 상관성이 없을수도 있지만 -- 당대와 후대가 아닌 수 년일 뿐이며 자손이 아닌 본인에 관계된 것이니까요 -- 전 굳이 연관시켜 보고 싶더군요. 피해 당사자에게 관대하게 -- 지금 생각하면 좀 어리숙했던 것 같기도 하지만... ^ ^ -- 했던 것이 가해 당사자가 됐을 때 좋은 보답으로 돌아오지 않았나 싶은 거지요.

 

 동양(중국)에서는 야훼나 알라같은 특정한 신을 상정하지 않은 대신 '하늘'이라는 그 어떤 의지처를 마련했지요. 불의와 선행에 대해 그 '하늘'은 반드시 응답한다고 생각했죠. 그렇게 생각하지 않고서는 심적 부담을 덜거나 희망을 갖기 어려웠을 것 같아요. 이런 비합리적인(?) 생각을 철저히 부정한 사람도 있었지만 대부분은 긍정적으로 수용했죠. 그리고 여전히 우리의 심성 속에 살아 있구요. 시숙댁의 이 액자 글씨가 그 한 증표라고도 볼 수 있을 것 같아요. (너무 비약이 심한가요? ^ ^)

 

한자를 좀 자세히 알아 볼까요? 오늘은 낯선 글자만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 ^ 이런,  낱글자를 안 읽었군요. 積은 쌓을적, 善은 착할선, 之는 어조사지, 家는 집가, 必은 반드시필, 有는 있을유, 餘는 남을여, 慶은 경사경입니다.

 

은 禾(벼화)와 責(구할책, 꾸짖을책으로도 많이 사용)의 합자에요. 벼 등의 곡물을 널리 구해 저장해 놓는다는 의미에요. 積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蓄積(축적), 過積(과적)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羊(양양)과 言(말씀언)의 합자에요. 서로 말하는 것이 양처럼 화순(和順: 온화하고 순함)하다는 의미에요. 이런 것이 '좋은'거죠. ^ ^ 善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善行(선행), 선심(善心)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八(여덟팔, 八은 넷씩 둘로 나눠 놓았다는 의미에요)과 弋(杙의 약자, 말뚝익)의 합자에요. 분리의 한계점을 정하는 말뚝이란 의미에요. '반드시'란 의미는 여기서 연역된 것이지요. 必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必勝(필승), 必然(필연)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食(먹을식)과 余(나여)의 합자에요. 余는 음을 담당해요. 풍족하게 먹어 배가 부르다란 의미에요. '남다'라는 의미는 여기서 연역된 것이지요. 배가 부르기에 더 먹을 수 없어 남겼다란 의미로요. 餘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餘談(여담), 餘裕(여유)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를 풀어 보실까요?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착할선, 반드시필, 남을여, 쌓을적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    )談, 蓄(    ), (    )勝, (    )心

 

3. 다음을 한자로 써 보시오.

 

   적선지가 필유여경

 

 

오늘은 여기까지 입니다. 내일 뵙겠습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자, 오늘도 저와 한 잔 하시죠? 날도 궂은데 잘 됐군요. 오늘은 곡주를 한 잔 올릴까 합니다. 맛이 어떠신가요? 한 잔 더 따르라고요? 첫 잔에 반하셨군요. ^ ^ 첫 잔에 반하셨으니, 계속 드셔야 겠네요? 이제 자리에서 일어나지 못하실 거에요. 은근히 도수가 세거든요. 이 술의 별명은 '앉은뱅이 술'이에요. 맛좋고 도수 높아 자꾸 먹다 취하면 못일어난데서 붙여진 별명이지요. 정식 이름은 한산(韓山) 소곡주(素麯酒)에요.

 

韓은 나라한 山은 뫼산 素는 흴소 麯은 누룩곡(본음은 '국'이에요) 酒는 술주. 한산은 지명이에요. 모시 생산으로도 유명한 곳이죠. 소곡주라는 술이름은 누룩을 적게 사용하여 술빛이 맑고 깨끗한데서 붙여진 것이라고 해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전통주중의 하나지요.

 

한자를 좀 자세히 알아 볼까요? 배운 글자도 있는데, 복습삼아 다시 한 번 훑어 보도록 하시죠? ^ ^

 

은 韋(가죽위)와 倝(우물난간간)의 약자가 합쳐진 글자에요. 짐승과 어린 아이의 접근을 막기 위에 부드러운 가죽으로 묶어 우물위에 설치한 격자형 난간이란 의미에요. 韓은 후일 이 의미로는 사용되지 않고 국호(國號)로만 쓰이게 되었는데, 국호의 의미는 햇살이 비치는 곳이란 의미를 강조하여 사용된 것으로 보여요. 倝에는 햇살이 사방으로 비친다는 의미도 있거든요. 韓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大韓民國(대한민국), 韓非子(한비자)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잘 아시죠? ^ ^ 산들이 연이어 있고 그 아래 계곡이 있는 모습을 나타낸 거에요. 山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山岳(산악), 登山(등산)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섬세한 결의 하얀 비단이란 의미에요. 이 글자의 아래 부분은 비단의 재료가 되는 실을 나타낸 것이고, 위는 과실이 무성하게 매달린 모양을 형용한 것이에요. 과실이 무성하게 매달린 것처럼 많은 실을 사용하여 섬세하게 짠 하얀 비단이란 의미지요. 지금은 '하얗다'란 의미로만 사용하죠. 素는 '바탕'이란 의미로도 많이 사용하는데, 본 뜻에서 연역된 의미에요. 하얀 것은 모든 색의 기본이란 의미로요. 素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素服(소복), 素質(소질)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麥(보리맥)과 䒼(잠박곡)의 약자가 합쳐진 거에요. 술의 재료인 쌀이나 보리를 발효시키는 물질, 누룩이란 의미에요. 누룩은 잠박(채반 비슷한 물건. 본래 누에를 기를 때 사용)에다 놓아 곰팡이 균이 생기게 하기 때문에 䒼을 추가시켰어요. 麯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麯室(곡(국)실, 누룩을 뜨게 하는 방), 麯生(곡(국)생, 술)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본래 酉 만으로 술의 의미를 나타냈는데, 후에 술의 형태[액체]와 주원료의 의미를 강조하여 氵(물수)를 추가한 것이에요. 酉는 술이 들어있는 술병을 그린 거에요. 酒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淸酒(청주), 酒邪(주사, 나쁜 술버릇)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를 풀어 보실까요?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나라한, 뫼산, 흴소, 누룩곡(국), 술주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   )室, (   ), (   )民國, (   ), (   )

 

3. 본인이 아는 유명한 술과 그 유래에 대해 말해 보시오.

 

 

 

 한산은 사촌들이 살아서 친근함이 느껴져요. 그래서 그럴까요? 소곡주도 남다르게 느껴집니다. ^ ^ 

 

 사진은 사촌이 저의 어머님께 선물한 공작선(孔雀扇)이에요. 한산 사촌 중 한 분이 공작선 제작에 일가견이 있었어요. 이제는 사촌도 어머님도 다 먼 길을 떠나셨지요.

 

 갑자기 울적해 지는군요. 안사람한테 공작선을 부치라고 하고 저도 소곡주 한 잔 할랍니다. 자, 같이 드시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저와 술 한잔 하시죠?"

  "오잉, 소주 한 두잔 밖에 못한다는 이가 왠 술?"

  "하하, 그래도 이따금 술이 생각날 때가 있죠. ^ ^ 오늘은 제가 매실주 한 잔을 대접해 드릴까 합니다. 어떠신지요?"

  "겨우, 한 잔?"

  "아, 서운하신가요? 그러면 한 병을 대접해 드리겠습니다. 만족하신가요?"

  "흠, 그 정도는 되야 ^ ^"

  "자, 그러면 한 잔 따라 올리겠습니다." 

 

  사진은 시중에서 파는 과실주 병마개에요. 눈설(雪) 가운데중(中) 매화매(梅),설중매(雪中梅)라고 읽지요. '눈속에 핀 매화'라는 뜻이지요. 매실을 주원료로 한 과실주에요. 병 속에 매실이 몇 개 들어 있더군요. 운치있는 술 이름에요. ^ ^

 

  눈 속에 핀 매화, 예로부터 선비의 지조(절개)를 상징하는 대상으로 상찬(賞讚)을 받아 왔지요. 자연에서 삶의 교훈을 배웠던 선인들은 눈 속에 핀 매화에게서 그런 교훈 -- 지조(절개) -- 을 배운 것이지요.

 

그러나 달리 생각해보면 눈 속에 핀 매화는 철부지에요. 철을 모르는 것이지요. 철을 모르면 고난을 자초하지요. 눈 속에 꽃을 피우다니, 얼마나 고통스럽겠어요. 인생도 그렇지 않은가요? 시류를 거스르면 힘들지요. (아, 제가 부화뇌동하며 살자는 말을 하는 것은 아니에요. 그저 일반적인 삶의 행태를 말한 것이지요.)

 

그러나 역시 고난을 자초하는 그 희생 정신은 고귀해요. 꽃이나 사람이나 모두. 온갖 꽃이 죽은 겨울에 홀로 꽃을 피워 뒤 이을 봄의 만개를 준비하는 매화나 자신의 희생으로 뒤 이을 만인의 행복을 준비하는 선각자는 정말 고귀하고 아름다운 존재이지요.

 

자, 한자를 좀 자세히 알아 볼까요? 이런, 예전에 다 배운 한자군요. ^ ^ 그냥, 복습삼아 쓱~ 한 번 훑어 보시지요? ^ ^

 

은 雨(비우)와 彗(비혜)의 줄임 글자가 결합된 것이에요. 비가 구름 속에서 응고되어 내리는 것으로 빗자루로 쓸 수 있는 것이란 의미에요. '눈설'이라고 읽죠. 雪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雪害(설해), 積雪(적설) 등을 예로 들 수 있겠네요.

 

은 口와 丨을 합친 것인데, 口는 상하좌우의 사방을 의미하고 丨는 위에서 아래로 꿰뚫어 좌우를 균평하게 나누었다는 의미에요. 이 글자의 원래 의미는 '안[內]'이란 뜻인데 위도 아니고 아래도 아니며 좌도 아니고 우도 아닌 그 '안'이란 뜻이지요. 그게 '가운데' 아니겠어요? 中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中國(중국), 中庸(중용)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木(나무목)과 每(매양매)의 합자에요. 木이 매화나무란 뜻을 나타내고 每는 음을 나타내요. 梅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梅花(매화), 梅實(매실)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는 아니내도 되겠지요?

 

 작년에 심은 매화나무에서 올해 매실이 열려 매실주를 담갔어요. 색깔이 제법 매실주 틔를 내더군요. 다음에는 직접 담근 이 매실주를 한 잔, 아니 한 병 대접하도록 하겠습니다. ^ ^ 

 

 내일 뵈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