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시한의 열두 달 북클럽 - 순한 맛부터 매운맛까지 소설책부터 벽돌책까지 전천후 지식인이 되는 책읽기
이시한 지음 / 비즈니스북스 / 2022년 1월
평점 :
책덕후들이 믿고 찾는 큐레이터 북튜브 <시한 책방>은 무려 6만여 명의 구독자가 사랑하는 채널로 운영자 이시한은 <이시한의 열두 달 북클럽>에 『해리 포터』부터 『사피엔스』에 이르기까지 소설, 과학, 고전 분야를 두루 섭렵하며 분야의 경계를 넘어 어떤 책이든 다 읽은 것처럼 만들어주는 독서 레슨으로 안내한다.
내가 밤새워 읽은 책은 어떤 책인지, 기억에 남는 고전은, 의미 있는 베스트셀러· 밀리언 셀러 책은 어떤 책이 있는지 등의 질문을 던지고, 이 책들은 어떤 시대 흐름을 지니고 우리에게 어떤 의미를 주었는지 생각해 보게 한다.
책을 읽지 않는 이들마저 대다수의 책장에는 꽂혀 있지만 완독률은 3% 남짓 되는 책 <정의란 무엇인지>가 베스트셀러가 되게 된 배경은 무엇인지, 2000년 파울로 코엘료 앓이를 하게 만든 책 <연금술사>가 지금도 사랑받는 이유는 빠르게 변하는 세상 속에서 흔들리는 자아가 책의 메시지가 필요하기 때문이라 꼽는다. 아울러 명불허전 전 세계 고전인 <어린 왕자>가 모호함 덕분에 시대가 바뀌어도 달리 해석되면서 사람에게 울림을 준다는 점에서 고전이라고 이야기한다. 이처럼 우리가 읽어왔던 수많은 책들이 인생 책, 고전, 밀리언셀러, 과학 책, 벽돌 책등 분류에 따라 소개되며 책 세상으로 한바탕 여행하고 온 기분이다.
이외에도 예술사 비하인드스토리 못지않은 책에 얽힌 비하인드스토리로 재미를 더한다. 『위대한 개츠비』가 2차 세계대전에 참전하는 군인에게 보급하는 진중문고에 선정되는 운과 함께 참전 군인 개츠비가 거부로 성공하고 한순간에 물거품처럼 꺼져 버리며 대공황과 맞물리는 시대적인 공감대가 위대한 개츠비의 성공 배경이라 소개한다.
<이기적 유전자>에 대한 오해 사례로는 드라마 '스카이캐슬'에서 서울대를 준비하는 모범생 캐릭터가 '자신이 1등 하고 싶은 이기적 욕망에 충실한 것이 이 책에 의하면 자연스러운 것이다.'라는 독서토론 장면을 잘못된 해석의 대표적인 예로 꼽는다. 제목의 오해로 인해 리처드도킨슨이 '불멸의 유전자' 혹은 '이타적인 운반자'라는 제목으로 해야 했을지 모르겠다는 서문을 수록해 눈길을 끈다. 유전자는 이기적이고, 그런 특성 때문에 개체 간에는 이타성이 나타나며, 개체가 이타적인 행동을 하는 이유는 유전자 보존 차원에서 필요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개인적으로 독서 패턴 자체가 책 편식이 없는 데다 권수에 집착하기보다는 책에서 에센스를 뽑아 내 삶에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읽다 보니 독서가 점점 더 즐거워지고 다독하기 수월해지는 것 같다. 평소 책을 고를 때도 문학 인문 경제 등 고루 돌아가며 읽는 편이다. 선호하는 분야만 읽다 보면 생각이 편향될 수 있기에 균형 잡힌 관점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때로 과학 책 같은 별식이 필요하다는 저자의 의견에 전적으로 공감하는 부분이다.
1년에 100~ 200권 이상 완독하다 보니 주변에서 책 추천을 부탁하거나 인생 책이 무엇이냐고 많이들 묻는다. 그럴 때면 고민에 빠지게 된다. 독서량이 늘고 특히 양서를 많이 접함에 따라 인생 책도 리스트에 계속 추가되어 한 권을 딱 꼽아서 얘기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저자는 '인생 책은 매년 바뀌는 것이 좋다'라며 인생 책이라는 타이틀을 너무 아껴 두지 말고, 오히려 과감하게 남발하라고 권한다. 매년 인생 책이 바뀐다면 그만큼 자신의 독서 경험이나 생각의 폭이 성장했다는 증거일 수 있다며 '왜 인생 책인지' 답하는 과정에서 이미 읽은 책을 좀 더 깊이 있게 자기 것으로 만드는 경험을 하게 될 것이라 덧붙인다.
아직 책 읽기가 습관이 되지 않았다면, 완독에 집착하지 말고 관심 있는 분야를 시작으로 필요한 부분을 골라 읽으면서 수시로 책을 읽는 환경을 조성하면 자신만의 책 읽는 루틴이 만들어진다. 독서하면서 오롯이 느끼는 힐링을 만끽해 보면 아마도 책 읽는 재미에 빠질 수밖에 없게 될 것이다. <이시한의 열두 달 북클럽>은 책을 읽고 싶은데, 어떻게 읽으면 좋을지 아직 방향 잡기 어려운 분들이 읽으면 많은 도움이 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