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하루를 48시간으로 사는 마법 - 방송국 헤르미온느 이재은의 삶을 빛나게 하는 마법의 주문
이재은 지음 / 비즈니스북스 / 2021년 12월
평점 :
누구에게나 공평하게 주어진 하루를 48시간처럼 살아갈 수 있다면 마다할 사람이 있을까. <하루를 48시간으로 사는 마법>은 방송국 헤르미온느 이재은 아나운서의 30분 시간관리법으로 새벽 루틴 만들기부터, 30분 시간관리법, 마인트 컨트롤 방법까지 기적의 하루 관리 습관 노하우를 전한다.
살아가는 하루하루가 쌓이면 내 인생 또한 내가 주도해서 꾸려 갈 수 있다. p.51
새벽 기상의 기쁨과 매력에 빠진 저자 이재은 아나운서는 라디오 생방을 하면서 만난 수많은 사람들을 토대로 일찍 일어나는 사람이 원하는 걸 얻는 이유에는 공통점이 있음을 발견한다.
1. 자기 자신을 다스릴 줄 안다. 그들은 게으름, 나약함 등의 단어와는 거리가 멀다. 시간이 부족하다거나 환경이 어려워서라는 핑계를 대지 않는다. 주어진 상황이 어려울지라도 자신의 한계를 뛰어넘어 매일매일 최선의 결과를 만들어낸다.
2. 이들은 행동한다. 생각만하거나 기다리지 않는다. 목표를 세우고, 작은 일부터 차근차근 실천하고 노력한다.
3. 이들은 계속 발전한다. 아침에 허겁지겁 쫓기듯 시작하지 않고 저녁엔 쓸데없는 곳에 에너지를 낭비하지 않는다. 자기관리를 철저히 하고 자기계발을 위해 시간을 투자한다. 하나라도 더 많이 배우고 더 많이 시도하고 노력한다. 4. 새벽을 여는 사람들은 밝고 긍정적이다. 일상은 바쁘고 분주해도 마음은 늘 여유롭다. 그래서인지 말 한마디도 친절하고 따뜻하다.
한국의 오프라윈프리가 되겠다는 야심찬 목표를 세우고 달려온 이재은 아나운서가 하루를 48시간으로 살기 위해 매일 활용하는 노트를 공개한다. 그녀는 30분 시간관리법을 어떻게 그녀의 삶에 적용하고 있는지 보여준다. 30분 단위로 고정된 스케줄을 채우는데, 30분 단위로 계획을 세우면, 한 시간 단위로 계획을 세울 때보다 구체적이고 세분화해서 작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하루 스케줄을 평가하면서 내가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했는지, 낭비했는지 점검해볼 수도 있다. 점검의 시간을 거치면 스케줄러는 일기장이되고, 업무 노트가 되기도 한다. 또한 끊임없이 공부하는 그녀의 스크랩 노트는 왜 우리가 평생 공부해야 하는지 동기부여가 된다.
잰느미온느라 불리는 이재은 아나운서는 하루에 무려 7개의 일간지를 읽으며 스크랩하고 공부한다. 신문 하나를 정독하는 것도 1시간반에서 2시간은 족히 걸리는데, 이는 그녀가 얼마나 자신의 시간을 충실히 살아내고 있는지 보여주는 동시에 수년간 뉴스 앵커 자리를 지키는 프로의 향기가 느껴진다. 그녀는 하루하루가 의미없이 흘러가고 세상에 내 뜻대로 되는 일이 없는 것 같다면 새벽에 일어나보라고 권한다. 새벽기상은 내 의지로 할 수 있으며 하루를 내 것으로 만드는 가장 좋은 방법이기 때문이다.
슬럼프 없이는 성장도 없다. 슬럼프는 나를 고통스럽게 하고 망하게 하는 장애물이 아니라 나를 더 단단하게 단련시키는 훈련의 과정일뿐이다. 더 큰 그릇으로 만들어내기 위한 연단의 시간이라는 사실을 기억하자. 누구도 광야를 통과하지 않고는 원하는 목적지에 이를 수 없다. 그러니 어떻게 하면 광야를 피해 갈까가 아니라 어떻게 하면 오늘의 광야를 조금 더 즐겁게 지날 수 있을까 고민하는 편이 훨씬 지혜로운 방법이다. p.235
미라클 모닝을 다시 시행하면서 새벽 5시 반에 읽은 <하루를 48시간으로 사는 마법>은 작가와 삶의 결이 같아서인지 참 편안하게 읽혔다. 스케줄러에 QT를 작성하고, 포스트잇을 적극 활용하는 문구덕후를 비롯해 사고의 흐름에서 유사점이 많았다. 그녀가 새벽기상으로 많은 것을 얻은 이들은 행동한다고 하듯, 30분 단위로 쪼개서 살아가기는 알고는 있지만 실천하지는 않았던 부분이라, 앞으로 스케줄러를 작성할 때는 30분 단위로 써나가면서 타임터너의 삶을 살아가자 다짐해 본다. 연말에 읽어 나가는 책들만 봐도 2022년은 정말이지 삶을 정돈하고 규모있게 살아갈 것만 같은 기분이 든다. 잃어버린 열정과 에너지, 체력을 되찾고 싶다면 지금 당장 새벽 기상에 동참해보길 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