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최소 노력의 법칙 - 더 쉽고, 더 빠르게 성공을 이끄는 힘
그렉 맥커운 지음, 김미정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21년 10월
평점 :
본질에 집중하는 삶에 대해 이야기한 <에센셜리즘>의 저자 그렉 맥커운은 신작 <최소 노력의 법칙>에서 지속적인 성공을 원한다면 불필요한 단계를 없애라고 말한다.
수월하게 더 많은 것을 달성하고, 지치지 않고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면 인생을 살아가기 훨씬 쉽지 않을까. 저자는 <최소 노력의 법칙>에 어떻게 하면 더 쉽게 집중할 수 있는지, 어떻게 하면 필수 활동을 더 쉽게 해낼 수 있을지, 마지막으로 어떻게 하면 최소한의 노력으로 최선의 성과를 거둘 수 있을지 이야기한다.
모자란 것에 집중하면 가진 것도 잃어버리고,
가진 것에 집중하면 모자란 것도 채워진다.
불평이 늘어날수록 불평거리가 더 쉽게 들어오는 것처럼, 감사가 늘어날수록 감사할 일이 더 많아진다. 즉, 내가 어떤 생각을 하고, 어떤 환경에 놓여있느냐에 따라 긍정적인 순환이 일어날 수도 있고, 부정적인 악순환이 반복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통제할 수 없는 것은 받아들이고, 감사하는 습관을 지니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최소 노력의 법칙은 3단계로 나눌 수 있다.
1단계는 수월한 상태로 신체적으로 편안하고, 정서적으로 홀가분하며 정신적으로 에너지가 가득한 상태를 말한다. 이 상태에서는 가장 중요한 일을 손쉽게 집중할 수 있다. 수월한 상태로 만들기 위한 노력으로는 '왜 이렇게 힘들까?'라는 생각보다 '쉬운 방법이 있다면?'하며 뒤집어 생각하고, 일과 놀이가 공존할 수 있음을 받아들여 순간순간을 즐긴다, 계속 짊어질 이유가 없는 정서적인 짐을 내려놓고 원한에 대한 의무를 해제한다, 아무것도 하지 않는 기술을 익혀 낮잠을 자거나 충분히 쉬어준다, 머릿속 잡동사니를 정리하기 전에 물리적인 주변 환경부터 깨끗이 정돈하고 현재에 머무는 힘을 길러 알아차릴 수 있도록 한다.
2단계는 수월한 행동으로 더 적은 노력으로 더 많이 성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필수적인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에 우선 그 일의 완료된 상태를 분명히 정의 내리고, 가장 분명한 행동을 첫 단계로 삼아 최소한의 노력으로 최대한의 정보를 얻는다, 단계를 간소화하지 말고 아예 없애버림으로써 전체 절차를 간소화한다, 제로 드래프트 방식으로 빈 종이에 일단 무슨 단어든 적어보며 전진시킨다, 손쉬운 페이스를 정해 페이스를 찾는다.
3단계는 수월한 결과로 원하는 것을 최소한의 노력으로 원하는 결과가 꾸준히 흘러들어오도록 만드는 단계다. 배우기를 게을리하지 않아 나만의 지식을 개발함으로써 무한한 기회를 얻고, 쉽게 이해하고 반복할 만한 이야기를 전하며 협동한다, 필수 활동을 최대한 자동화하여 머릿속 공간을 확보하고, 신뢰를 쌓으며, 문제가 발생하기 전에 예방한다.
저자는 <최소 노력의 법칙>에서 삶은 우리 생각처럼 그렇게 힘들고 복잡할 필요가 없다는 사실을 반복해서 주지시킨다. '지켜야 할 약속과 잠들기 전 가야 할 길이 있다'라는 로버트 프로스트의 시구를 인용하며, 그 길에서 어떤 난제와 장애물을 만나더라도 늘 더 수월하고 간단한 길을 찾을 수 있다고 강조한다.
최소한의 에너지를 사용하면서 목표를 달성하는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기초 다지는 과정이 중요하다. 성과 내기 위해 자신을 100%, 120% 사용하다 보면 어느새 번아웃되기 쉽다. 그러나 이제는 적절한 휴식도 능력이다. 건강을 잃은 성공이 과연 가치가 있을까? 나를 지키면서 성과 내는 나만의 루틴을 만들어 놓으면 노력들이 서로 연결되어 부가적인 가치를 창출하게 된다. 루틴을 반복할수록 최소 노력으로 원하는 결과를 얻기 쉬워지는것이다. <최소 노력의 법칙>은 업무 현장에서는 물론이고, 효율적인 인생을 살아가기 위해서 일상에도 적용할 수 있는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