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4월이 되면 그녀는
가와무라 겐키 지음, 이영미 옮김 / ㈜소미미디어 / 2023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바야흐로 결혼은 필수가 아닌 선택의 시대다. 가와무라 겐키는 《4월이 되면 그녀는》에서 타인과의 사랑은 분명 번뇌의 연속임을 알면서도 인간은 왜 '사랑'을 하고 '결혼'을 하는지 현실감있게 전하는 동시에 인생에서 '사랑'이 사라졌을 때, 우리는 어떻게 해야할지 잔잔하게 그려낸다.
수의사 야오이는 약혼남과 파혼하고 정신과 의사 연하남 후지시로에게 왔으나, 9년 만에 후지시로의 전 여자친구 하루로부터 편지가 오면서 야요이는 결혼을 앞두고 돌연 잠적한다. 후지시로는 죽음을 앞둔 하루의 편지를 야요이가 읽고 떠났음을 안 뒤에서야 야요이와의 관계에서 상실된 감정이 무엇인지 알게되는데...
왜 인간은 사랑을 하는 걸까.
누군가를 사랑하고 있다. 지금 여기로 밀려드는 파도 같은 그 감정은 입에 담은 순간부터 막연한 꿈이 아니라 현실이 된다. 상대의 반응에 마음이 흔들린다. 슬픈 결말을 피하고 싶기에 마음은 혼란스럽다. 괴롭다. 고통스럽다.
그런데도 인간은 사랑을 한다. 왜일까.
《 4월이 되면 그녀는 》, 가와무라 겐키
저자 가와무라 겐키는 '사랑'이 점점 사라지는 시대를 걱정한다. 불과 몇 해전만 하더라도 결혼은 안해도 연애는 했다면, 이제는 연애마저 안하는 시대가 도래했기 때문이다. 청년들이 결혼을 미루는 이유로 대개 경제적인 원인을 꼽는다. 그러나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느끼지 않는 여성일수록 현재의 자유로움을 결혼이라는 굴레에 가두고 싶지 않기 때문에 결혼을 미루기도 한다. 우리에게 '사랑'은 어떤 의미인걸까?
"결혼해서 행복한 사람, 불행한 사람, 몇 번씩이나 결혼한 사람, 하고 싶어도 못 하는 사람, 할 수 있지만 일부러 안 하는 사람. 다양한 사람들이 있었는데, 난 어느 쪽에도 들어가는 않는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중략)
역시 난 나 자신이 제일 소중한 거에요. 그런데도 누군가와 계속 함께한다니, 그건 좀 무리 아닐까요?"
"그런데도 결혼하는 건 다들 외로워서야. 우쭐거리며 큰소리치는 척할 뿐이지, 혼자가 무서운 거지."
우리는 자신을 사랑하기 때문에 연애와 결혼을 하지 않는다고 하지만, 저자는 '사랑할 때 비로소 사랑 받았다'며 누군가를 사랑하지 않는 것은 나를 사랑하지 않는 것과 같다고 말한다. 또한 영원할 것만 같던 사랑이 결국 끝나는게 당연함을 안다면, 한 순간에 불과한 사랑이 아니라 영속성을 지니기 위해 노력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담담하게 전한다.
오래된 연인들은 '사랑'의 설렘보다 익숙함과 정으로 만난다. 사랑의 감정이 무뎌진 채 결혼을 해도 행복할지 고민하는 현실적인 남녀의 연애사에 하루의 편지를 통해 프라하, 유우니, 인도를 넘나드는 영상미가 더해지며 《4월이 되면 그녀는》 의 1년이라는 시간을 아름답게 그려낸다.
누군가는 일상에서 사랑으로 도피하기도 하지만, 누군가는 사랑으로부터 도망치기도 한다. 《4월이 되면 그녀는》 판타지적인 연애소설이 아니라 사랑과 결혼에 대해 고민하는 청춘들의 생생한 이야기가 고스란히 전해져 좋았다.
현실감 있는 캐릭터 덕분에 6년 전에 출간된 책이 새 옷을 입고 나왔음에도, 현재의 우리나라 실정과 더 비슷해서인지 현실적으로 다가온다. 미혼 남녀라면 더 공감하며 읽을 수 있는 연애소설이다.
사랑은 감기와 비슷하다.
감기 바이러스는 어느새 몸속으로 침투하고, 알아챘을 때는 이미 열이 난 상태다. 그러나 시간이 지날수록 그 열은 사라져간다. 열이 났던 게 거짓말처럼 여겨지는 날이 온다. 누구에게나 피할 수 없이 그 순간이 찾아온다. p.58
누군가를 사랑하고 있다는 감정이 한순간이란 걸 지금은 알아요.
그때의 난 그것이 영원하리라 믿었어요. 너무나 어리고 무방비했죠. p.77
인간이란 존재는 정말 무서워요.
미워하는 사람보다 곁을 지키면서 사랑해주는 사람에게 가혹하게 상처를 입히니까. p.117
사랑을 끝내지 않는 방법은 하나뿐이다.
그것은 손에 넣지 않는 것이다.
절대로 자기 것이 되지 않는 것만 영원히 사랑할 수 있다. p.186
그런데 내 생각은 그래요. 사람은 누구도 사랑할 수 없다는 걸 깨달았을 때, 고독해진다고. 그건 자기 자신을 사랑하지 않는다는 거니까. p.232
나는 사랑했을 때 비로소 사랑받았다. p.2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