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세기 네덜란드 정물화가 미술사의 한 자리를 당당히 차지하게 된 것은 인생에 대한 깊은 성찰을 담아내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정물을 통한 인생의 유한함이나 삶의 덧없음, 즉 진귀하거나 값비싼 물건, 책, 악기 또는해골이나 시계 등을 그려 넣음으로써 소유의 부질없음과 인생의 무상함을경고한 것이다. 헤다의 작품에 등장하는 정물 역시 이런 은유를 품고 있다.
고급 식기에 남아 있는 음식 찌꺼기나 금방 깨질 것처럼 보이는 유리잔, 식탁에 아슬아슬하게 걸쳐 있는 나이프와 식기의 불안한 구성 등에서 그러한면을 볼 수 있다.
 이를 바니타스 정물화‘ 라고 부른다. 바니타스는 덧없음‘ 을 뜻하는 라틴어로 구약성서의 "헛되고 헛되도다. 세상만사 헛되다" 라는 말에서 유래됐다고 한다. 바니타스 정물화의 은유 방식은 이후 서양 회화의 중요한 표현법으로 자리 잡는다.

뭉크는 이 그림의 내용을 이렇게 고백했다.
두 친구와 길을 걸어가고 있었다. 해가 지더니 갑자기 하늘이 핏빛으도 물들었다. 슬픔의 숨결이 느껴졌다. 가슴 아래로 찢어질 듯한 고통,
 나는걸음을 멈추고 담벼락에 기댔다. 피로가 온몸을 엄습해왔다. 바닷가 위있는 구름에서 핏방울이 뚝뚝 떨어지고 있었다. 친구들은 계속 걸어갔지만 나는 불안에 떨면서 가슴속의 아물지 않은 상처 때문에 벌벌 떨고 서 있었다. 바로 그때 공기를 가르는 거대하고 괴상한 소리가 들렸다." <뭉크의 절규>

동양화는 동양의 회화라는 말이다. 중국을 중심으로 하는 아시아 전체를 동양이라 부르니까, 동양화는 국적이 불분명한 아시아 전체의 그림을말하는 것이다. 그런데 왜 이런 말이 우리 그림을 지칭하게 되었을까.
이 말은 일본이 우리 문화와 정신을 말살하려는 일제 강점기의 문화 정책에 따라 붙여준 것이다. 서양에서 들어온 회화를 서양화‘ 라 하고 그에대응하는 의미로 만들어낸 것이다. 그러니까 우리나라 미술은 고유한 국가의 독자적인 것이 아니라는 억지가 담겨 있는 말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일본은 우리를 영원한 속국으로 지배하겠다는 속내를 동양화라는 이름 속에숨기고 있는 셈이다. 이처럼 수치스러운 이름을 우리는 아무 거리낌 없이 여전히 쓰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금 이 순간의 행운
매튜 퀵 지음, 이수영 옮김 / 중앙books(중앙북스) / 2014년 6월
평점 :
절판


"아니.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는 중요하지 않아. 너에게 무슨 일이 일어나든 견딜 수 있는 마음을 달라고 기도해. 이 세상에 일어나는 사건들은 그게 전부거나 최종 결과가 아니라 단순히 지나가는, 하찮은 변수들일 뿐이라고 마음으로 쭉 믿어야 해. 매일 우리 삶에 들어오고 나가는 것들 위에 더 큰 목표가, 이유가 있어.
아직은 이해할 수 없거나 보이지 않을지 몰라. 어쩌면 인간의 정신으로는 완전히 이해할 수 없을지도 모르지. 하지만 신은 우리모두를 어떤 더 위대한 것을 향해 이끌어가고 있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파우스트 1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1
요한 볼프강 폰 괴테 지음, 정서웅 옮김 / 민음사 / 199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주님 : 그가 지상에 살고 있는 동안에는
네가 무슨 유혹을 하든 말리지 않겠다.
인간은 노력하는 한 방황하는 법이니까.˝


˝파우스트 : 어떤 옷을 입든 이 비좁은 지상의 삶에서 나는 여전히 고통을 느끼지 않을 수 없으리라
그저 놀기만 하기엔 너무 늙었고,
소망 없이 살기엔 너무 젊었다.˝

<철학카페에서 문학읽기>에서 미리 읽어서 그런가 별 어렵지 않게 1권을 읽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마도 자코토 역시 세상에 ‘바보들‘이 있다는 것을 부인하지 않았을 것이다. 다만, 그가 내린 ‘바보‘의 규정은 남들과 다르다. 바보는 능력이 없는 자가 아니다. 바보는 다만 욕구가 멈추어버린 자들‘, ‘의지가 꺾인 자들‘이다. 의지가 꺾인 곳에서 지능은 발휘되지않는다. 불평등의 현실을 본래 주어진 것으로 받아들일 때, 또 현실사회에서 우월한 자들이 실제로 자신보다 우월한 자들이라고 생각해버릴 때, 우리는 정말 ‘바보‘가 되고 만다. 그러니까 ‘바보‘는 자신의 부족함을 아는 겸손한 사람이 아니라, 현실적 차별을 그대로 인정하고 심리적으로 수긍하기 위해 자기 능력을 부인하고 자신을무시하는 사람이다.

 반드시 알아야 할 지식을 자기 것으로 만들려고 하는 그런 호기심이 아니라 자기가 자신으로부터 멀어지는 것을 허용해주는 그런 호기심 말이다. 지식의 습득만을 보장해주고 인식 주체로 하여금 길을 잃고 방황하도록 도와주지 않는 그런 지식욕이란 무슨 필요가 있을까. 우리 인생에는 성찰과 관찰을 계속하기 위해서 자기가 현재 생각하는 것과 다르게 생각할 수도 있으며, 자기가 지금 보고 있는 것과 다르게 지각할 수도 있다‘는 의문이 반드시 필요한 순간이있다. … 그렇다면 철학(철학적 행동)이란 도대체 무엇일까. … 그것은 자기가 이미 알고 있는 걸 정당화시키는 게 아니라 어떻게, 그리고 어디까지 우리가  이미 알고 있는 것과 다르게 생각할 수 있는 가를 알아내려는 노력, 바로 그것이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스터 보쟁글스
올리비에 부르도 지음, 이승재 옮김 / 자음과모음 / 2016년 9월
평점 :
절판


˝올리브 나무 밑에 앉아 사색이 된 얼굴로 햇살을 따며 웃고 떠드는 저들을 유심히 바라보며 나는 이 미친 짓을 벌인 것을 결코 후회하지 않겠다고 다짐했다. 이토록 아름다운 그림은 실수의 산물이나 잘못된 선택일 수 없고, 이토록 완벽한 빛은 그 어떤 후회도 안기지 않기 때문이다. 결코.˝

˝아드님, 아가씨(잿두루미)와는 눈과 마음으로 말하세요. 남들과 소통할 때, 그것만큼 좋은 방법은 없어요!. 나는 그렇게 대답했고, 아니나 다르까, 아들은 몇 주 동안 한 손을 가슴에 얹고, 다른 한 손으로 새의 머리를 붙잡은 채 두 눈을 둥그렇게 뜨고 한 번도 깜빡이지 않고 계속 새의 눈을 들여다 보았다.˝

˝이 소설은 내가 겪은 실화로, 겉과 속이 모두 거짓말로 되어 있다.
인생이 흔히 그렇듯이˝

광기로 인생을 즐기는 여자와
그런 광기마저 사랑하는 남자
그리고 이런 부모를 너무 사랑하는 아들과
그리고 잿두루미 아가씨까지
이들이 그리는 너무 웃기고 괴상하고 너무 슬픈 사랑이야기들.
마지막에 눈물나게 하는 건 반칙인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