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스크바의 신사
에이모 토울스 지음, 서창렬 옮김 / 현대문학 / 201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백작의 부모님이 돌아가셨을 때 대공이 백작에게 얘기해준 ‘역경은 여러 가지 형태로 나타나며, 인간은 자신의 환경을 지배하지 않으면 그 환경에 지배당할 수밖에 없다.‘ ˝

백작은 그 오랜세월을 호텔밖으로 나갈 수 없는 환경이었지만 오히려 환경의 지배를 벗어나 진짜 자기만의 생활을 하는 멋진 신사였다.
시작은 좀 지루했지만 점점 백작의 매력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착한 딸 콤플렉스 - 착해서 고달픈 딸들을 위한 위로의 심리학
하인즈 피터 로어 지음, 장혜경 옮김 / 레드박스 / 2009년 12월
평점 :
절판


˝아이들에겐 적절한 양의 좌절이 필요하다. 다시 말해 너무 과하지도, 너무 모자라지도 않을 만큼의 좌절이 아이의 성장에 꼭 필요한 법이다. 일찍부터 건설적이고 창의적으로 실패에 대응하는 방법을 배운 사람만이 인생을 자립적으로 살아가는 데 필요한 ‘영혼의 근육‘을 키울 수 있는 법이다.˝

동화 ˝거위 치는 소녀˝를 비유로 의존적 인격장애의 억압된 감정들에 대해 이야기 해준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카알벨루치 2019-02-01 22: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몽이엉덩이님 명절연휴 잘 보내시고 아름다운 시간의 퍼즐로 수놓으시길 바랍니다~

몽이엉덩이 2019-02-01 22:4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님도 명절 잘 보내시고 날씨가 차니 감기 조심하세요
 
웃는 남자 - 상 열린책들 세계문학 85
빅토르 위고 지음, 이형식 옮김 / 열린책들 / 200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읽은 고전 중에서 이렇게 인내심이 필요했던 적은 없었다. 아마 포기하는 사람도 있지 않을까 싶다. 여섯파트 정도로 이야기가 나누어지는데

첫째파트는 콤프라치코스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
예전 귀족사회에서는 아이들을 납치해 얼굴과 몸을 기형으로 만들어 데리고 다니는 게 유행이었다고 한다. 이 이야기는 좀 충격적이었다.

두번째 파트는 우르수스와 호모에 관한 이야기다.
박학다식한 우르수스는 마술사이기도 하고 의사이기도 한 철학자라고 하는게 맞겠다. 그리고 호모는 늑대이다. 마차를 개조해서 호모와 같이 다닌다.

세번째 파트는 콤프라치코스에 납치되었다가 포클랜드 바닷가에 아이를 버리고 떠난 배에 대한 이야기이다. 근데 굳이 이야기가 필요한지 모르겠다.

네번째 파트는 그윈플렌의 이야기다.
세번째 파트에서 나오는 바닷가에 버려진 그 아이다.
눈이 오고 바람이 부는 밤에 신발도 신지 않은 이 아이는 맨발로 허허벌판을 걷다가 죽은여인의 팔에 안겨 있는 갓난 아이를 품에 안고 인가를 찾아 끊없이 걷다 우르수스를 만나게 된다.

다섯째 파트는 빅토르 위고는 프랑스 사람인데 잉글랜드 역사를 이야기한다. 황당.
잉글랜드 역사가 나중에 무슨 연관이 있는지 정말 궁금하다.

뒤에 조금 그윈플렌과 데아의 이야기가 나온다
데아는 죽은 여인의 아기이다.
아 2권은 좀 재미가 있었으면 좋겠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 2019-01-29 18: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앗ㅋㅋㅋㅋ 저도 이거 읽을때 그랬어요! 하권은 상권이랑 비교하면 훨 재밌어요 ㅎㅎ

몽이엉덩이 2019-01-29 18:0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진짜 포기할까 진지하게 고민했지요. ㅋ

- 2019-01-30 11:30   좋아요 0 | URL
포기하지마시구 과정을 즐기소서. 대작이 활활타옵니이다!

몽이엉덩이 2019-01-30 11:40   좋아요 4 | 댓글달기 | URL
지금 하권은 잘 넘어가네요. 응원감사합니다.

파크뷰404호 2022-06-06 14: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 지금 읽고 있는데 너무 포기하고 싶어요 ㅠ 뒤에 역사까지 서술한다니... 지금 멈춰야하나요 ㅠㅋㅋㅋ

몽이엉덩이 2022-06-06 15: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ㅋ 이겨내면 끝을 볼 수 있을겁니다. 화이팅 ㅋㅋ
 

근대는 신과 피안에 대한 믿음뿐 아니라 현실에 대한 믿음까지도 상실하는데, 이러한 상황은 인간 삶을 극단적인 허무 속에 빠뜨린다. 유사 이래 삶이 오늘날처럼 덧없었던 적은 없었다. 극단적으로 덧없는 것은 인간 삶만이 아니다. 세계 자 체도 그러하다. 그 어디에도 지속과 불변을 약속하는 것은 없다. 이러한 존재의 결핍 앞에서 초조와 불안이 생겨난다. 노동하는 동물이 어떤 유에 속하고 자신이 속한 유를 위해 노동하는 것이라면 여기에는 동물다운 느긋함이 생겨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후기근대의 자아는 완전히 개별적으로 고립되어 있다. 죽음의 기술로서 죽음에 대한 공포를 덜어주고지속의 감정을 불러일으켜야 할 종교도 이제 그 시효가 다 됐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작가는 왜 이렇게 아픈 소설만 쓰는 걸까?
책 읽는 초반부터 가슴을 아리게 하더니 결국 눈물나게 하는구나.
너를 먹는다는 글이 이렇게 아플수가 있구나.


만약 네가 먼저 죽는다면 나는 너를 먹을 거야.
청설모가 되기 위해 들어온 이곳에서, 구가 말했다.
그래야 너 없이도 죽지 않고 살 수 있을 거야.
나를 먹을 거라는 그 말이 전혀 끔찍하게 들리지 않았다.
네가 나를 죽여주면 좋겠어. 병들어 죽거나 비명횡사하는 것보다는 네 손에 죽는 게 훨씬 좋을 거야.
우리는 서로를 바라본 채 모로 누워 팔과 다리와 가슴으로상대를 옭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